장비사용기를 보면 내가 타보지 않은 많은 장비들의 정보를 얻음에 감사하지만, 늘 아쉬운 점은 읽다보면 모두 단점이 없는 슈퍼장비들이더군요. 그래서 스폰라이더들이 쓰는 사용기를 신뢰하지 않는 라이더들이 늘어나고 있기도 하구요. 개인적인 차이가 분명히 존재하기 때문에 사용기만으로 장비를 구입하는건 무리가 있어서, 시승이라도 꼭 해보라고 하고 싶네요.

 

라이더 스펙

경력 : 13년... 맞나? --;

자격 : KSIA Level 3 (기선전 나가면 5등안밖정도 합니다.)

 

모스의 대표모델이라고 하는 리볼버...

사람들은 이 모델에 대해 환상을 많이 가지고 있습니다. 엣지그립력, 빠른 반응성, 회전력, 빠른 베이스 등등

그러면 리볼버를 타면 정말 잘 타지는 걸까요?

 

지난 시즌 12/13 모델 리볼버를 한달가량 사용해본 사용기를 작성합니다.

 

- 엣지그립력

 

일본 고가 데크 답게 안터집니다. 일제데크가 고가임에도 사랑받는 가장 큰 이유중에 하나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리볼버>판테라Lx>앤썸... 이해 가시나요? 이 3모델은 전부 제가 사용해봤던 모델입니다.

그런데 엣지감이 영~ 어색합니다. 안터지기는 안터지는데, 슬로프를 꽉 물고 간다는 느낌이 들지 않습니다. 특히나 판테라Lx처럼 묵직한 엣지감에 익숙하신 분들은 더 어색하게 느껴집니다.

한줄로 요약하면 엣지그립력이 좋아 안터지는데 라이더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지는 않는다 입니다.

 

- 반응성 및 회전력

 

대박입니다. 리볼버는 처음 타 보는 사람들이 이구동성으로 놀라는 부분입니다. 라이더의 생각을 읽고 돌아가는 것처럼 느껴집니다.  하지만 리볼버는 그 뒤는 라이더의 능력을 요구합니다.

한줄로 요약하면 시작은 내가 했지만 끝은 니가 해라... 이런 느낌의 데크인 겁니다.

 

- 부력

데크가 슬로프에 떠 있는 정도인데요. 여러가지 데크를 타다 보면 슬로프와 붙어서 가는 데크와 떠서 가는 데크를 느낄수 있습니다. 리볼버는 후자로 슬로프에 떠서 가는 데크입니다. 그래서 숏턴과 슬라이딩에 유리합니다. 저항없이 파바박~ 하고 돌아가거든요. 하지만 그 덕분에 슬로프 사면을 라이더에게 그대로 전달합니다.

정설슬로프와 오후 망가진 슬로프를 타보세요. 리볼버의 두얼굴을 볼수 있습니다.

 

- 베이스

베이스 재질이 뭐고.. 이러건 맘먹고 공부하지 않는 이상 평범한 사람들의 평가 기준은 느껴서 빠르면 빠르다 ,느리면 느리다로 평가하면 끝이니까요.

리볼버의 베이스는 왁스 잘먹고, 빠릅니다. 이해하기 쉽게 앤썸보다 빠릅니다.--;

 

종합하면

 

리볼버는 프레스의 조절 능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최악의 데크입니다. 라이더가 프레스 조절을 못해주면 설면의 굴곡에 따라 바로 라이더를 내동갱이 칩니다. 아침 땡보딩만 하실거라면야 상관없겠네요.

 

편안하게 카빙하는 데크가 필요하다라고 하는 사람에게도 최악의 데크입니다. 이 데크는 일일이 다 반응하고, 라이더에게 그 반응에 대한 조정을 요구합니다. 피곤한 데크인거지요. 테크니컬 데크라구요? 그 말속에 숨은 뜻은 라이더가 요구하는데로 움직이지만, 라이더가 그만큼의 능력이 있어야 된다는 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리볼버는 최상급자가 자신의 퍼포먼스를 나타내려고 하거나 강습생이 진지하게 연습하려고 할때 좋은 데크라고 느꼈습니다.

 

리볼버를 타는 사람에게서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이겁니다. "적응하면 좋은 데크예요"

이렇게 묻고 싶네요. 급사 슬로프에 적응하고 싶은건가요? 데크에 적응하고 싶은건가요? 아니면 비싼 데크를 샀으니 꼭 적응해야 하나요?

저는 데크에 적응해서 타는게 아니라 가장 편안하게 자신을 받아주는 데크를 들고 슬로프에 나가는 것이 실력향상이나 안정감에도 좋을거란 생각이 듭니다. 

 

ps. 올해 모스는 가격이 미쳤네요. 트위스터 이월을 일본직구로 배송료, 관세 다해서 110에 가지고 들어왔으니까요.

엮인글 :

댓글 '40'

sabana

2013.08.27 12:38:46
*.189.235.247

솔찍한 사용기 같내요. 저도 리볼버는 아니지만 모스를탑니다만 글쓰신 것처럼 모스데크가 라이딩시 안정적이진 않지만, 테크니컬턴이란 자유도가 높을수록 더 화려하기에 이런면에서 모스를 타지않나 싶습니다. 저 같은경우 모스의 엣지그립력은 만족하고 타고있습니다. 물론 사람마다 어떻게 프레스를주고 어느정도 엣지를 세우느냐에따라 다르겟죠..물론 바인딩의차이도 한번 고려해볼만합니다.

급경사에서 안정적인거 원하시면 요넥스한번 추천해드립니다~

callsign

2013.08.27 17:56:13
*.42.30.19

맞습니다. 어려울수록 더 화려해질수 있지요.

어냥ㄴ

2013.08.27 13:21:53
*.216.68.196

모스 뿐 아니라 고가 데크들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정확히 집어 주셨네요~ 


사실 다른 리뷰가 칭찬 일색인거는 중고가격 방어를 위한 쉴드도 한몫하죠. ㅡㅡ

callsign

2013.08.27 18:34:38
*.42.30.19

그러게요. 단점이나 어려운 점을 직접적으로 말하면 안되나요?

이런 일도 있습니다. 스폰 라이더가 다른 브랜드를 까면 안된다고, 그러면 자기 브랜드 공격들어오니 서로 침묵하는...

Ricky!

2013.08.27 14:47:23
*.211.56.206

저도 언제나 얘기하는 건데.. 리볼버는 정말 심각한 성격의 데크입니다.

라이더가 잘하면 잘하는 만큼 움직여주고...

라이더가 못하면... 라이더를 버릴줄도 아는 데크입니다.

0910것부터 1213까지... 1011 모델을 제외하곤 모두 그런 성향입니다.

프레스 컨트롤/엣징 컨트롤을 제대로 할줄모르면... 리볼버는 그냥 어려운 데크입니다.


제대로 진지하게 라이딩을 배우고 싶으신분들이나

진짜 테크니컬 라이딩에 들어가시고 싶으신분들 아니면 

추천하고 싶지 않은 데크입니다. 


하지만 기본기가 탄탄한분들은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는 데크라서 

아주 재미있게 놀 수 있는 데크이기도 합니다. ^^


양날의 검 중에서도 아주 날카로운 날을 가진... 적당히란 없는... 실력이 딱 보이는 데크입니다.

callsign

2013.08.27 17:57:28
*.42.30.19

맞습니다. 리키님이 심각한 데크라고 말씀하셨지요.

그런데 왜 심각한지, 어떤면이 어려운지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이 없으셔서 제가 사족을 달았다고 생각해 주세요.

2013.08.27 15:14:18
*.35.12.106

추천
2
비추천
0

저도 위에 나오는 두 모델 우연치않게 타봤습니다. 판테라LX와 리볼버~



모스 리볼버는 Ricky!님꺼 딱 1회 타봤습니다. 재미있는 데크였어요. 물론 트릭하기는 좀 빡세기는 했지만-_-;;


비싼 값어치 한다는 느낌이었습니다. 다만 컨트롤 잘 못하시는 분들이라면 버거울수도 있을듯해요.



그리고 판테라LX의 경우 1주일 정도 타봤습니다. 많은 분들이 좋다고 극찬하던 모델이라 타봤는데 쵸큼 실망했습니다.


나이트로의 상급모델이기는 한데 타사의 동급모델보다 저한테 주는 재미는 많이 떨어졌어요.


아무래도 제 라이딩 스타일이랑 판테라랑 동떨어져서 그랬던거 같아요. 


(비가 온뒤에 빙판이 된 적이 있었는데 그때 카빙은 괜찮았어요. 다만 하루 라이딩만에 육안으로 보이는 심각한 단차가 생긴건 함정;)



장비사용기에 글을 쓰시는 분들 중에는 정말로 장비를 사용해보고 소감을 올리시는 분들도 있지만..


- 업체에서 스폰을 받아서 해당업체의 홍보를 위해 쓰시는 분

- 업체의 직원이 일반인을 가장하여 칭찬일색으로 쓰시는 분 이 많습니다.


대부분 본인이 어디 소속인것을 밝히지도 않고 자신을 숨기면서 사용기를 쓰죠. 이용안내에도 적혀있는 내용을 위반하면서


업체의 이익을 위해 잘못된 정보를 주시기 보다는


제품의 장단점을 정확히 써주셔서 소비자가 본인에게 맞는 장비를 고르도록 하는게 브랜드와 업체의 이미지를 위해 더 좋을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올해는 보드***의 광고성 사용기는 안 봤으면 하는 소망입니다)

callsign

2013.08.27 18:03:45
*.42.30.19

추천
1
비추천
0

저는 판테라Lx에 애정이 많아요. 근데 제가 아는 킁님 스타일이라면 Lx와는 안맞는게 당연한듯 보이네요...^^

류뚱

2013.08.27 15:32:04
*.138.74.218

 편하게 타실거면 king 이 나을듯해요..

 가격은 안드로메다지만

 일본 메이저 4사

 요넥스, 모스, 비씨스트림, 오가사카...

 다들 가격은 너무 비싸죠...

 

 저라면 한국에 별로 없는 비시스트림 s 커스텀으로 가고 싶네요

 

 정말 좋을듯 하네요..

callsign

2013.08.27 18:01:57
*.42.30.19

13/14 모델 킹을 타 봤습니다.

리키님 사용기대로 카빙과 슬라이딩이 잘 섞여 있는 데크더군요.

모스 데크중 한개로 시즌을 보내야 한다면 킹이 가장 좋은 모델이 아닌가 싶습니다.

(구)빨간개부리-_-

2013.08.27 15:49:24
*.223.213.218

뭔가 고도의 앤썸까;;;

제가 타본 한번타본 리볼버는(콜사인님이 언급하신 급사에서는 안타봤습니다.)

중급 슬로프에서 굉장히 편안한 라이딩을 했던게 기억나네요.

"이쪽으로 이렇게 가봐야지" 하는순간 이미 그렇게 가고있을 정도로..

시작은 내가 했으니 마무리는 네가 해. 라는 말에 동감합니다;


저를 중간 테스트 하는 데크 같달까요;;

callsign

2013.08.27 17:58:21
*.42.30.19

저 롬이랑 안싸워요...ㅠㅠ 롬 질문엔 댓글도 안단다는...--;

Vento

2013.08.27 15:57:57
*.248.189.2

추천
2
비추천
-7

주관적인 관점이 과한 사용기가 아닌가 싶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프레스 조절이 용이한 라이더에겐 최고의 데크이며 설면의 상태를 그대로  온몸으로 전달해준다".

 

단점을 쓰는 사용기긴 하지만... 이글에서 느껴지는 뉘앙스는 비판 그 이상으로 느껴집니다.

 

여튼 글 잘읽고갑니다.

callsign

2013.08.27 18:00:11
*.42.30.19

본문에서 잘타는 라이더나 진지하게 연습하는 분들에게는 좋은 선택이라고 언급했습니다.

다만 말씀하신대로 단점을 쓰다보니 전체적으로 뉘앙스가 이상해졌나 봅니다.

다음에 글 쓸때는 주의해야겠네요. 오해할수 있는 부분 지적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leeho730

2013.08.27 19:50:11
*.62.204.77

ㅎㅎ... 스폰받는 라이더가 장단점 정직하게 쓰면 스폰 못 받을지도.... -_-ㅋ



뭐 저는 어느 데크가 절대적으로 가장 좋다고 생각지 않습니다...


사람마다 맞는 데크가 있는 거 같아요... 데크들도 장단점이 있고... 


전 시승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근뎅... 편안하게 하는 카빙도 있나요... 경사가 완만한 초급에서 하지 않는 이상...


사용기 잘 봤습니다 꾸벅~


callsign

2013.08.28 01:04:18
*.42.30.19

leeho730님.... 스크랩해서 보게 되는 칼럼들을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데크들마다 장단점이 있고, 사람에게 맞는 데크가 있죠. 편안하게 카빙하는 데크? 그런게 있을까요? ㅎㅎ

하지만 일정부분을 데크에 맡기고 난 다른걸 신경써도 되겠구나 하는 데크들은 있더라구요.

그걸 처음 느꼈던 데크가 모스의 리볼버 레볼루션입니다. 티탄이 들어간 프리데크를 그때 처음 타봤거든요.

판테라Lx도 비슷한 성질을 보여줬었구요.

vital_꾸피

2013.08.27 21:29:55
*.70.52.244

데크가 모든걸(?) 다해주진 않는만큼.. 어느 데크라도 보더의 라이딩 스킬이 더해져야 멋진 퍼포먼스를 보여줄수 있는듯합니다ㅎ
그런면에서 보더가 상급수준의 프레셔컨트롤, 타이밍 조합이 가능하다면 제법 매력있고 좋은 데크인것같습니다^^
그것땜에 다들 열심히 스킬업 세션도 받고 트레이닝도 하고있으니깐요^^

callsign

2013.08.28 01:08:46
*.42.30.19

사실 잘타는 사람은 뭘타도 잘타죠...^^

다만 초중급자들이 심각한 데크를 고를경우 심각한 멘붕에 빠지거든요.

그리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140만원정도의 데크를 산다는 것은 정말 많은 고민과 결단을 내리고 사는 거잖아요.

그러니 많은 정보를 접해서 후회가 없어야 하겠죠.

vital_꾸피

2013.08.28 12:47:35
*.70.52.244

맞아요ㅎ 요즘 나오는 데크들 너무 비싸요;; 전 3~40만원대 데크만 쓰거든요... 그나마 이번에 구입하려는게 50만원정도 하는거라.. ^^;

JUNGINHA

2013.08.27 22:49:40
*.79.31.229

살짝 추천합니다. 댓글길게 달았다 지우다 반복 -_- 역시 난 소심한 비겁자;

헝글 장비사용기 정말 많은사람이 보는 게시판이고 특히나 초중급자들의 데크 선택에 큰 영향을 끼치는 게시판입니다.

그냥 제 경험상으로만 말씀드리면

고가장비구입시 꼭 본인에게 맞는 사이즈를 본인의 셑팅으로 시승 혹은 착용 등 사용해보고 구매하시길 추천드립니다.

물론 구력있는 라이더들의 사용기를 보면 대부분 맞는 말이고 좋은 말들입니다.

하지만 여러분의 실력이 올라갈 때 까지는 그말이 거짓말로 보일겁니다. 장담할께요 ㅡ,.ㅡ

no브레이끼

2013.08.28 00:35:57
*.246.78.7

이런 사용기좀 단점위주 .....많이 올려주세요 요즘 만이 거론되는 모스  비씨스트림 오가사카  요넥넥스 ~~이런 사용기도 있고 저런 사용기도 있고 해야  데크 선택에  더만많이 도움이 될듯하네요~~잘읽었습니다  .^^

Mr.Cool

2013.08.28 01:59:31
*.76.22.190

12/13 시즌 모스리볼버는 타기가 굉장히 편했던 느낌인데...


이번 13/14시즌은... 참 바껴도 너무바껴서... 토토로 넘어갔는데 대만족입니다 ㅋㅋㅋ

phoenix.

2013.08.28 09:24:37
*.81.129.226

좋은 면도 있는 데. 귀찮은 데크죠.

이것 저것 해줘야할게 많으니. 

허리가 할랑할랑한 데, 돌아오는 힘이 상당해요.  

보드는 내가 주인공이 되고, 즐겨야 하는 데, 자기의 룰을 고집한달까?

나름 재미는 있는 데, 제가 하고 싶은 스타일이 있고 해서, 모스 휴고랑 교환해서 재밌게 탔어요.

휴고는 반시즌도 못버티고 코어가 나갔지만. ㅜㅜ

왜덱들이 성능들은 좋은 데, 내구성이 좀 약한것 같긴해요.

바람켄타

2013.08.28 12:44:36
*.122.32.50

왜덱들이라고 다 내구성이 떨어지는 건 아닌거같아요...

일본산을 크게 세가지로 나누자면...

오가사카 인근 생산, 非오가사카 생산, 중국 OEM...


제가 경험했던 일본덱들은 오가사카 이외 지역에서 생산한 것들은 내구성에 문제가 많았는데...

모스처럼 오가사카에 본류를 둔 데크들은 내구성이 굉장히 훌륭했습니다...


물론 최상급데크들은 경량화와 소재의 특수성 때문에 내구성이 달라질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만...

일반적으로...오가사카 라인들이 내구성이 떨어지진 않는 것같아요...

호분낭군

2013.08.29 12:10:12
*.39.85.18

다음의 그립력에 대한 부분이 이해가지 않습니다. 제가 이해한것이 맞나요?

--------------------------------------------------------------------------------------------------

한줄로 요약하면

엣지그립력이 좋아 안터지는데 라이더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지는 않는다

입니다.

-------------------------------------------------------------------------------------------------

(제가 읽고 이해 하는 부분입니다)

그립력이 좋아서 안터진다. 다만 라이더 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지는 않는다

 

 

불사냥꾼

2013.08.29 15:55:11
*.104.25.228

제가 모스덱은 안타봐서 모스덱말고 파나틱이랑 살로몬 xlt  탈때 그런 느낌이 들었습니다..

 

랩터랑 느낌이 다른게 파나틱하고 xlt 엣지 그립력 좋아서 엣지가 안터지기는 하는데 느낌이 눈위에서 떠서 가르는 느낌(살짝 가르는 느낌) 이라 조금 불안한감이 있었구요..  

 

랩터는 눈을 파고들어가서 가르는 묵직한 느낌이라 안정적인 느낌이었습니다..

 

아마 그런 느낌을 표현한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캠버

2013.08.29 15:44:27
*.253.57.4

오랬만에, 일본덱에 대한 무조껀적인 예찬 사용기가 아니라서 신선했습니다^^ , 이게 맞는거죠...


"일본덱은 비싼만큼 다 좋다" 이건 아니라고 생각하거든요... 장단점이 다 있을껀데요...


콜사인님의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사용기 앞으로도 부탁드립니다~!! 잘 봤습니다~ ^^;;


쏨배

2013.08.29 22:31:05
*.247.147.131

한 사람이 글을 쓰는 이상 100% 객관적일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만..

 

콜사인님의 글을 보면 최대한 객관적으로 데크의 성향을 전달하시려고 한 듯 합니다..

저 같은 일반 보더에게는 엄청난 도움이 되는 글이 분명합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다만 마지막 단락이.. 살짝.. 리볼버 유저분들에게는 거부감이 들수도 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이 글이 스타트가 되어서..

앞으로는 "좋다..좋다..좋다.."의 사용기 말고, "이건 좋고, 이건 나쁘더라"의 사용기가 많아졌으면 좋겠습니다.. ^^

 

래피드

2013.08.29 22:49:01
*.229.219.52

오히려 사용기을 접하고 꼭 한번쯤 타고픈 덱이네여~ㅎㅎㅎ

좋은글 글 감사합니닷~ ^^

추~천!!!

아닉스

2013.08.30 10:17:17
*.106.59.1

추천
1
비추천
0

아시다시피 고가의 상급 데크일수록 특징이 뚜렷해지기 때문에 장단과 호불호가 분명해집니다.

그 특징이 자신이 원하는 것인가? 또는, 자신과 맞는가?가 중요한 것이지 "비싼 거 = 좋은 거"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이월신상 0910 리볼버 3시즌 탔습니다. 글을 읽는 내내 공감이 되서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네요.

참고로, 전 리볼버가 잘 맞는 편이고, 실력을 키워준(키울 수 밖에 없게 만든?ㄷㄷ) 좋은 데크라 생각합니다


솔직 담백하면서 냉정한 평가가 돋보이는 지나치게 훌륭한 사용기 잘 봤습니다. 감사합니다!

RII

2013.08.30 11:46:46
*.138.91.105

솔직한 후기이신거 같아  더욱 신뢰가 갑니다.

 

스폰 후기는 대충 읽게되더라구요..  몇번 보다보니

callsign

2013.08.30 12:08:54
*.42.30.19

지적하신것처럼 마지막 문구가 저도 마음에 걸렸었는데 기분나쁘셨던 리볼버 유저분들이 계시면 죄송합니다.

 

저의 장비론은 굳이 비유를 들자면 노멀스키와 카빙스키인데요.

카빙스키가 등장함으로서 카빙이 쉬워지니, 많은 사람들이 쉽게 카빙을 하게 되고, 다른 기술을 발전시킬수 있는 여유가 생기게 됐습니다. 그래서 장비란 라이더를 편안하게 해주는것이 좋은 장비라는 인식인거죠.

 

리볼버는 적응하면 좋은 데크이고, 또 적응했다고 하면 실력이 느는것이 맞지만, 1이 될지, 2년이 될지

그 적응기간을 인내심을 가져야 하는 것도 맞습니다. 그래서 보드를 즐기고자 하는 라이더가 선택하기에는 스트레스가 심하기 때문에 강습생이 선택하면 좋은 데크라고 했던거구요. 또 다른 보드를 탄다고 실력이 안느는 것도 아니거든요. 어쨋든 글을 쓴다는 것은 어려워요...

 

XYZ'

2013.08.30 17:47:21
*.92.57.27

콜사인님  좋은글 잘 보았어요~

작년 리볼버 사용자였습니다... 리볼버타기전에는 렌탈데크로  뒷발차기했구요~

물론 리볼버 타면서도 뒷발질 했지만요 ㅎㅎ

리볼버 처음타면서 느꼈던게 ...날카롭다 였어요

타다보니까 렌탈덱 보다는 좋구나~ 이런 느낌이였는데요...

시즌중 커스텀엑스 앤썸 에이전트 오피셜 이런데크들을 타볼 기회가 있었는데요...

먼가 ...리볼버하고는 차이가좀 있더라구요~

가장큰 느낌차이는 ...엣지 그립력이였구요.

칼럼에 올려주신 내용중에

"리볼버는 프레스의 조절 능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최악의 데크입니다. 라이더가 프레스 조절을 못해주면 설면의 굴곡에 따라 바 로 라이더를 내동갱이 칩니다. 아침 땡보딩만 하실거라면야 상관없겠네요." 요부분 아주 공감합니다.

부족한 부분도 있을수있고~ 좋은 부분도 있을수있지만,그래도 저에겐 실력향상을 가져다준 고마운 녀석입니다.

 

 

 

M리볼버

2013.08.31 03:10:54
*.215.40.165

사용기 잘 봤습니다. 오해에 소지가 다소 보이기는 하지만, 그동안 봐왔던 비싼데크가 무조건좋아. 라는식에 사용기보다는 훨씬 좋네요 ㅎ

리볼버를 타고있는 보더로써 주간적으로 느끼는건 "좋지만 위험한 데크라 생각됩니다."

실력이 뛰어나면 그만큼 성능을 발휘해 주지만, 부족하면 언제든지 설면에 주인을 내다 꽃아 버리는 데크라 생각합니다,


MIX™

2013.08.31 23:14:47
*.145.159.196

일본 데크는 꼭 한번 타 보고 싶습니다만...

너무 고가임을 고려한다면 유부남인 제게는 너무 과분해서 항상 생각만 있네요...

저는 네다섯번의 데크 체인징 후 작년부터 타기 시작한 Z1에 안착한듯요...

이제는 즐기기 위한 라이딩을 하려고합니다...

고수님들 따라가다가는 가랭이 찢어질듯 해서요  ^^

CHUBBY

2013.09.03 05:50:33
*.221.94.3

ㅎㅎㅎ 사용기 잘봤습니다^^

모스 시싱식때 리볼버 시승하면서도 느낀점이만

만만한데크는 아니고 ㅎ 야생마 같은 느낌이였는데 ㅎ

힘 이빠시 주고 정신차리고 타니 정말 좋았습니다 ㅎㅎ

지금은 모스를 안타지만 분당에 샵 들릴때마다 지름신이 온다는 ㅋ 

Luna ^____^

2013.09.03 18:49:42
*.47.163.50

저절로 무릎이 탁 쳐지는 사용기 잘 읽었습니다~

비클질 무너지면 힘들어요 ㅋㅋㅋㅋㅋ

플라잉권

2013.09.05 22:54:11
*.222.89.47

리볼버~ 분명 예민한 데크가 맞죠..

예리한 일본도의 느낌이랄까요~ 이거타다 판테라타면 4륜구동 트럭타는느낌?

일반 데크타다 이거타면 처음에 겁좀 나실거에요^^ 미친듯이 날뛰거든요..

퇴마록에 월향검같은 존재~~ㅇ,.ㅇ

하지만 분명한건 매력있는 데크라는점~~ㅎㅎ

테크니컬라이딩에 관심있으신분은 타보시는것도 좋으실거에용~~

개박살!

2013.09.20 17:02:44
*.235.10.14

잘 보고 갑니다 ~ 모스테크 타보고 싶네요

Russell

2013.10.14 16:56:34
*.128.70.17

예전에는 댓글 안남기고 이제야 남기지만 다시 읽어도 참 주옥같네요 ㅎ 타보지 않고서는 판단하는게 쉽지 않은데 보통은 장점들만 적혀있어서 데크고르는데 애를 많이 먹었습니다. 올해는 다른 데크를 골랐지만 모스 리볼버를 더 이해할 수 있는 사용기였습니다. ㅎㅎ  이런 사용기 많이 올라오면 헝글보더들에게 정말 유익할거란 생각이 드네요 ㅎ 저에겐 정말 유익한 사용기 였습니다.ㅎ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장비전반 [장비사용기 이용안내] Rider 2018-01-11 9 22702
1976 데크 인천 엑스드림스포츠 Rad-Air 첫 파우더용 ... [4] 아휘~~ 2004-02-03 24 2117
1975 데크 버즈런 데크 사용후기 돌즈오브마스터 & 화... file [9] 악귀용이 2007-01-18 24 6262
1974 데크 팔 잉여의..;; 1213 UNITY Pride 159 사용기... file [13] X-ray 2013-03-05 24 3970
1973 데크 ARBOR 社 -Woodie 시리즈 158 file [5] arvine 2005-10-09 24 2183
1972 데크 테크나인 Suerte 144 시승기 [2] boarditis 2008-01-06 24 2773
1971 데크 데크 이렇게 되면 소비자과실로 교환못받습... file [142] 팔팔빵빵 2006-11-17 24 10345
1970 데크 0506 레이븐 159 하루 사용기... ^^;;; [8] 군인아저씨.. 2006-12-22 24 2876
» 데크 단점을 쓰는 사용기 - 모스 리볼버 [40] callsign 2013-08-27 24 8576
1968 데크 제레미 데크 & 이스트바인딩 2주 사용기 [18] 보더는나의꿈 2008-01-09 24 7456
1967 데크 07-08 Benedek ERA [4] 갓츠 2007-12-10 24 3725
1966 데크 상주 한달 차 아재의 잡다한 18/19 장비 사... file [24] 순규하앍~♡ 2019-01-03 24 8234
1965 데크 로시뇰 premier 154 01-02 허접체험기.. [1] bigair 2002-01-17 24 5448
1964 데크 지난 시즌 제 장비를 소개합니다. file [41] 베어그릴스 2015-06-16 24 8985
1963 데크 02-03 GNU altered GENEtics 159 [9] 티쥐 2003-01-14 23 2814
1962 데크 01/02 RIDE TIMELESS 간단 사용기 [5] 평가맨 2003-01-20 23 2925
1961 데크 M3 SIDEWALL 사용기 file [7] 정민 2002-03-15 23 4136
1960 데크 0708 K2 Darkstar 시승기 & 평가 file [12] jayce 2008-01-15 23 5607
1959 데크 06~07 BXB SOU RED 161 [6] Forecast ERA 2007-01-10 23 3083
1958 데크 #1. "속도가 빠른보드" ?..#2. "엣쥐그립" ... [3] 노상익 2003-02-09 23 3469
1957 데크 03-04 ALLIAN- BACKMAN장비사용기 file [11] 風옹튀보더風 2003-12-28 23 28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