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05 Infinity Boom Box 155cm
  기타 사용 장비
  Binding : Seccer 4 Zito(M)
  Boots   : Burton Sabath(260mm)
  이전 사용 데크
  04-05 Savander A-1 157cm
  본인 신체 스펙
  179cm/70Kg

0. 스펙


  OverRall Length : 1550
  Contact Length  : 1170
  Nose Length     : 200
  Tail Length     : 180
  Waist Width     : 246
  Nose/Tail Width : 288
  Stance Width    : 500-580
  Set Back        : 10
  Sidecut Radius  : 8000
  Base            : Struc Turn / P-Tex4000
  기타 : 노즈 / 테일의 BLADE구조.
         사이드월 사이에 끼워진 러버소재등등..
         다른 사이트에 자세히 나와있으니 생략하고..^^
         사용기 위주로 적겠습니다..^o^(장비 사용기 게시판이니까..*-_-*)



Camber



1. 내구성


  Infinity 제품데크들 중에 사용기가 올라온 데크들의 사용기를 읽어보면..
  03-04 Wreck Shop이나..
  05-06 Mix Tape등... 탑시트가 약하다..라는 말씀들이 있었습니다.
  04-05 Boom Box는 말씀하신데로 만큼은 아니라도, 튼튼하지만은 않더군요..
  조심해서 다뤘다고 생각했는데, 데크 정비하면서 보니..
  군데군데 깨진 곳이 보입니다..(ㅠ_ㅠ)



Nose쪽 Insert홀(깨졌네요..ㅠ_ㅠ)


2. 라이딩


  Boom Box는 파크, 파이프, 지빙..용도라고 어떤 사이트에 소개되었더군요.
  고속 라이딩에 상당히 불리하지 않을까.. 라는 걱정을 하면서도, 좀 더 재미있는 보딩을 위해서,
  Boom Box를 선택하였습니다.
  
  저번 시즌에 같이 탔었던, 얻어 탔었던, 제 데크였던,,
  이러한 일련의 데크들은..04-05 Savander A-1, 03-04 CustomX, 04-05 Custom, 05-06 BackMan, 02-03 Seven
  입니다. 이러한 데크들에 비해, Boom-Box의 체감 무게는 무척이나 가벼웠습니다.
  
  처음, 데크의 가벼움에서 오는 떨림이 두렵긴 했지만, 두려움반 설레임 반으로 라이딩 시작~
  Savander A-1이나, Seven에 대비하여.. 슬로프를 묵직하지만, 날카롭게 가르는 느낌은 적었습니다.
  Boom Box는 데크의 노즈와 테일 부분은 말랑 말랑한데 반해..캠버부분은 상대적으로 하드한 데크입니다.
  그러한 특징 덕분인지..
  라이딩시, 깊은 프레스를 주고 얻는 리바운딩의 느낌은 상당히 재미있었습니다.
  데크의 떨림 현상도 우려하던 수준은 아니었구요.

  기존에 타던 데크가 감아주는 그립력 자체가 무지하게 훌륭한 데크였기에..
  슬로프를 칭칭감아내던 느낌은 많이 느끼지는 못했습니다만,
  기존 데크는 너무 심하게 감아내던차에 자칫 긴장을 늦출 시에 데크가 제 컨트롤
  밖에서 턴을 하게되는 느낌을 받았던 적이 많은데,
  이 데크는 제 컨트롤 안에서 적당히(참 애매한 단어군요..^^;;) 감아준다..라는 느낌 정도..
  급경사나 고속 라이딩시에, 무리없는, 슬맆 없는 턴을 할 수 있게 해줄 정도..

  실제 체감 무게에 비해, 느껴지는 고속 라이딩시의 안정성은 합격점을 줄만했습니다.

  물론, BackMan이나 A-1에서 느낄 수 있는 안정성이나 리바운딩에는 비견할바는 아니었지만요..
  (A-1이나 BackMan의 리바운딩은 감동입니다..ㅠ-ㅠ)
  
  사이드컷 레디우스가 8m인데 반해..실질적으로 느껴지는 회전반경은 같은 레디우스를 가진 타 데크(03-04 CustomX)보다 더 좁게 느껴졌습니다.
  한창 리바운딩을 이용한 에어턴..비스무리한거를 재미있게 하던 때라 그런건가..라는 생각도 해보지만...
  데크의 반응성이 떨어진다라고 느껴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렇다고, 찌르면 탁하고 나타나는 민감한 반응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는것 같구요..

  Struc Turn..이라는 베이스. 홈이 활주성을 좋게 해준다..라는 장비 리뷰를 본적이 있습니다.
  음...사실 요거에는 좀 회의적이군요.. Struc Turn베이스를 가진 데크를 처음 써 봄에도 불구하고,
  기존에 타던 데크에 비해 활주성이 뛰어나다..라는 느낌을 받기는 힘들었습니다.
  
  총체적으로.. 불만없는 라이딩을 즐기기..에 만족할만한 수준의 성능을 보여줬습니다.
  (
   여담이지만,
   리바운딩이나 데크의 반응성 같은게 제 컨트롤 수준과 비슷비슷해서인지,  
   이녀석으로 즐기는 다이나믹 턴은 정말 즐거웠습니다..^o^
  )



(개인적으로 가장 좋아하는 S라인 중의 하나입니다..*^^*



  
  

3. 그라운드 트릭



  트릭의 기본~
  알리~~~~

  노즈, 캠버, 테일의 플렉스가 다른 데크가 처음이어서인지, 처음엔 알리 타이밍이 어렵더군요..
  억지로 끌어올린다..라는 느낌.. 데크 바꾸고 나서, 알리 높이가 줄어버렸어..라면서 좌절하기도 했구요..-ㅅ-
  알리를 시작할때, 데크가 휘어지는 모양이, 테일만 휘어서 튀어오르는게 아니라, 캠버부분까지 잘 휘어..
  그 탄성으로 떠올라야하는데, 테일만을 이용해서 튀어오르려고 하니.. 높이가 제대로 나올리가 없드랬죠..
  테일을 충분히 누른다..라는 느낌보다 약간 더 눌러서 튀어오르는 알리가 이 데크에는 잘 맞는 알리더군요..
  뭐~ 여하튼 우여곡절 끝에.. 알리 타이밍을 잡아 떠오르는 알리..
  부담없이 손쉽게 떠오른다라는 느낌의 알리라면 맞겠군요..  무지하게 높은 알리를 기대하기는 힘듭니다.(제 실력탓이 크겠지만..--;;)
  테일 부분이 말랑한 만큼, 탄성의 손실은 있는듯 합니다...
  제가 이 녀석을 타기전까지 탔었던 데크가.. 조금은 하드한 데크여서 그런 느낌을 받았는지는 몰라도..


Infinity로 Ollie 뛰기~(큭..랜딩이 좀 구리네요..^^;;;)

  프레스 계열 트릭~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노즈와 테일이 말랑 말랑한 덕분에 프레스 계열 트릭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 할 수 있었습니다.
  실력이 허접하여...성능을 충분히 끌어내지는 못했지만..
  노즈나 테일 들고.. 쭉쭉 내려가는데 부담없이 내려 갈 수 있었습니다.

  스핀 계열 트릭~
  잘 돌아갑니다. 진짜 잘돌아갑니다. 기존에 타던 데크에 비해.. 라이딩도 살짝 떨어지고.. 알리도 떨어지고..
  데크를 잘못 바꾼건가..ㅠ_ㅠ 이런 생각을 하게될 무렵...
  스핀 계열 트릭이 제대로 먹히기 시작하면서, 완전 이쁜, 완전 사랑스러운 데크가 되어버렸습니다..ㅠ-ㅠ
  정말 깔끔하게 잘 돌아갑니다.

  기존 데크로 힘겹게 힘겹게..(주변에서 원기옥 360이라고 하더군요..-ㅅ-.. 너무 힘들게 돌린다고..-ㅅ-)
  힘겹게 돌리던 트릭이 이 데크로 바꾸고 나니.. 아주 깔끔하게 돌아가더군요..
  라이딩시에 느껴지는 체감 무게도 일조를 하는것 같고..전문적인 견해가 무척이나 부족해서, 이유를 집어낼 수는 없지만,
  
  돌리고, 뛰고, 누르는 그라운드 트릭만큼은 아주 아주 쉽게 만족스러운 느낌을 받았습니다.
  역시.. 저는 장인이 아닙니다.

  장인은 장비를 탓하지 않지만, 저는 역시 장비 탓을 많이 합니다..-_-
  
  

4. 파크


  이 데크의 용도가, 파크, 지빙, 파이프..등의 프리스타일 용도이기에.. 충분한 위력을 발휘할거라고..상!상! 하기는 합니다만..-ㅅ-;
  펀박스 몇번 타본 정도, 파이프 벽 몇번 긁어본 정도로 평가하기가 난감하군요..-_-;
  하지만, 돌리기에 수월하다는 느낌을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박스 진입이나 박스 아웃시 데크 컨트롤 만큼은 아주~ 쉽더군요..
  

★ 총평


  여기 장비 사용기에 적힌 Infinity 데크들의 특징 중의 공통점은.. ' FUN '이라는 단어 더군요.
  저도 같은 이야기를 하고 싶습니다.
  Boom Box역시 ' FUN '한 데크입니다.
  어렵지 않은 컨트롤이 ' FUN '이라는 단어를 생각나게 만들어주는듯 합니다.
  돌리고, 재미있게 라이딩하고, 다시 튀어오르고~ 슬로프에서 프리하게, 재미있게, 하지만 라이딩도 버리기 아쉽고~~ 이런 생각을 가지신 분들에게,
  ' Boom Box '는 정말 잘 어울린다고 생각합니다.  
  이 데크의 용도에 따라..파크, 지빙, 파이프, 키커..ㅠ-ㅠ 이런것들에 들이대는 '훌륭한'사람으로 거듭나봐야할것 같습니다..-ㅅ-;

  음..그런데..내구성은 Infinity 데크의 공통적인 문제인가요??
  Infinity 데크의 내구성 지적도 Infinity 데크 사용기의 공통적인 지적이더군요..--;
  기존에 사용하던 A-1데크가 훌륭한 탑시트 내구성을 가져서 인지는 몰라도...이 ' BOOM BOX '역시 탑시트 내구성이 훌륭하다라는 말은 못하겠습니다.




Top - Base
  -----
  저번 시즌 중반에 손에 넣어, 반시즌 가량 주말보더로 즐기면서,
  이 데크의 가능성을 충분히 다 느끼지 못한듯 싶습니다.
  이것저것 테스트해보기엔 아직 실력이 많이 부족하기 때문이겠지요..

  다음시즌도 이 데크로 느낄 수 있는 'FUN'이 많이 남아있다고 생각하니.. 상상만으로도 무척 즐겁습니다..^o^
  ---


  ㅠ_ㅠ
  출근했는데..강원도 폭설 왔다더군요..ㅠ_ㅠ
  대설 주의보..켁..싱숭생숭...ㅠ_ㅠ
  강원도로 쨀까요..-0-''




댓글 '19'

정덕진

2006.04.20 10:16:50
*.6.8.106

내용 정말 잘 읽었습니다..... 읽다보니 감동이 물결치는듯...ㅋㅋ

숑나간다

2006.04.20 10:41:23
*.100.129.64

꼭 알고 싶었던 데크인데 자세한 사용기 감사드립니다
개인적으로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구르는보더

2006.04.20 12:54:58
*.102.104.204

우왓 깔끔하게 정리되있어서....읽기가 참 편하네요..감사..

Tricky!!

2006.04.20 16:00:53
*.45.62.1

한번 타보고 싶네요..붐박스.
사용기 잘 읽었습니다.

날고시퍼.·´″′˚

2006.04.20 17:08:20
*.10.174.55

정말 자세하게 잘 쓰셨네요! 잘봤습니다. ^^*

데크 파세요! ㅡㅡㅋ

파라독스

2006.04.20 22:32:13
*.104.48.127

파이프에서 붐박스 정말 괜찮은 보드입니다...

A-Boarder

2006.04.20 22:34:57
*.255.192.99

올라운드성 데크지용 ㅋㅋ 저도 정말 만족하고 있는 데크~ 특히 트릭시 좋은듯해요~
그리고 저같은 경우엔 알리도 다른 데크랑 비교해서 떨어지는 것 같진 않아요~

이정석

2006.04.21 07:46:40
*.15.164.227

표현을 잘 하시네요, 제가 타본듯한 느낌이 드네요, 잘 읽었습니다.

2006.04.21 14:50:35
*.235.208.2

괜찮다고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알리가 낮게 나온다라고 느낀거는...

그전에 A-1이나 BACK MAN같은..
탄성 제대로인 녀석들로 놀아서 그렇게 느꼈던거 같습니다.^^
'A-Boarder'님 말씀대로 타 데크에 비해 뒤떨어지지 않습니다..^^
참고삼아 이 녀석으로 뛰었던 알리 첨부했습니다..^0^

정덕진

2006.04.21 15:16:10
*.6.8.106

오오....알리동영상 지댄데요? >.<

불타는낙옆

2006.04.21 17:38:44
*.236.3.225

장비 사용기 정말 잘 읽었습니다.
정리가 아주 잘 되어 있는게 왠지 boom box를 막 타야겠다... 라는 생각이 들게 하네요.

이그

2006.04.21 21:19:11
*.111.174.224

인피니티의 최강은 05-06 이그나이트 입니다.
위에분이 적어놓은신 사용기의 단점을 보안한 최상의 데크입니다.
인피니티의 데크를 최강으로 올려준 데크라 감히 말할수 있습니다.
올라운드 디렉셔널 데크... 이그나이트!

니르

2006.04.22 00:54:23
*.217.248.44

회사 맥에서는 동영상 있는지 몰랐는데...
멋집니다.^^

레메

2006.04.23 08:17:27
*.129.53.51

오~ 사용기 정말 깔끔합니다~
본받아야 할만큼 정리가 잘 되있네여 ^-^;;

한가지 궁금한점 여쭤봐도 되겠죠? ^-^;;

1 . 제가 아는 동생이 이 인피니티 데크를 탔었습니다
매번 원츄를 날렸었는데
그 내구성의 문제인지?...
데크가 작살나서 버리더군여 ㅠ_ㅜ

사용기 중간에
Boom Box는 데크의 노즈와 테일 부분은 말랑 말랑한데 반해..캠버부분은 상대적으로 하드한 데크입니다.
라고 하셨는데여
캠버부분이라 하면 데크의 중간부분을 말씀하시는거죠?..

이 데크를 탔던 동생이 레일을 걸때 봤는데
중간이 쑤욱~ 들어가던데여;;
그래서 전 소프트하다고 생각을 했었거든여;;..
(그 녀석이 무거웠나;;;.. )

상대적으로 타보신 데크와 어떻게 하드했는지 궁금합니다~

2 . 스핀 계열 트릭~
잘 돌아갑니다. 진짜 잘돌아갑니다.

이 부분을 조금만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여? ^-^;;
저도 데크에 따라 더 잘돌아간다는 느낌을 받기는 했으나
사이즈의 차이밖에 발견을 못했었거든여;

가르침을 주세여 ^-^

P.S : 알리 대박인데여!!! *.*

2006.04.23 13:23:10
*.76.163.58

큽...레메님 안녕하세요..^^.
일단..허접한 글솜씨~ 칭찬해주셔서 무지 감사합니다..^^;;
가르침을 드리기엔 실력이 너무 미천하구요..^^;; 그냥 느낌 몇 마디만 더 적어보겠습니다~

1. 상대적으로 하드하다는 말은.. 다른 데크에 비해 하드하다는 뜻이아니라..
노즈와, 테일의 플렉스에 비해 하다는 말이었습니다..^^
A-1이나, 백맨에 대비해서는 확실히 무척 소프트합니다.
'Boom Box'데크 자체는 소프트한 데크에 속한다고 생각합니다.

2. 아..^^. 제가 그라운드 트릭에는 거의 입문자이기에 어떻게 표현을 해야할까 좀 난감하기도 합니다만..
기존에 A-1으로 트릭을 했을때는, 한박자씩 늦게 돌아간다..라는 느낌이 많이 들었습니다.
떠올라서 돌아가줬으면 좋겠다..라는 시간에 아직 슬로프에 엣지가 닿아있는다..라는 느낌..
그런 느낌 때문에, 주위에서도 힘겹게 힘겹게 트릭한다라고 보았겠죠..

BOOM BOX로 트릭을 할때는, 데크와 몸이 같이 돌아갔다라는 정도?
레메님 말씀처럼 사이즈의 문제도 약간은 있을것 같습니다.
A-1을 탔을때, 데크 사이즈는 157이었지만, 실측 사이즈는 156CM정도 됐었던것 같은데,
이펙티브 엣지는 무지 길었습니다.(1243mm)

A-1 155CM (1220mm) - Boom Box 155cm(1170mm)
==> 같은 사이즈 임에도 불구하고, 50mm가량 차이가 납니다.
요 이펙티브 엣지의 차이가 트릭을 수월하게 할 수
있다라는 느낌에 일조하지는 않을까요..??

덕분에 A-1은 Boom Box보다 멋진 그립력 느낌을 줬던것 같고, 대신 트릭할때
Boom Box에 비하여 조금은 힘들었따라는 느낌을 줬던것 같습니다.
(저도 아직 배워야할게 많아서, 조심스럽게 답변드립니다.^^;;)

P.S. : 알리 칭찬감사합니다..(__)''

제로미존스

2006.04.23 15:48:56
*.38.72.241

알리 굿인데염~~

레메

2006.04.23 16:08:14
*.129.53.51

아이코~ 정확한 답변 감동입니다 ㅠ_ㅡ
아~ 비교적이 그 비교적이었군여 ^-^

이벡티브 엣지에 대한 비교 너무 간결하고 정확하신듯하네여~
이벡티브 엣지의 길이 차이가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겠지만
제가 워낙 보드를 체계없이 혼자 막 배웠는지라... ㅡ_ㅠ 잘은 모르겠네여;;

한가지 이벡티브 엣지보다 더 크게 차지하는 비중은
실력이 아닐까 하는 생각 살짝해봅니다

그라운드 트릭이 항상 그렇듯이
하다보고 익숙해지고 가벼워지고 하는 것 처럼
그 기술이 익숙해졌기에 잘 돌아간게 아닐까 싶네여~ ^-^;;

2006.04.24 09:37:14
*.235.208.2

레메님//
저도 그 생각에 동의 합니다..^-^
확실히 꾸준히 연습한 연습량도 도움이 되었을거라고 적극 동감합니다..^^;;
실력향상이 천천히 되면서..
다루기 쉬운, 제 역량에 맞는 장비로 바꾼것까지 더해져서,
아주아주 쉬웠다고 느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hoocasi

2006.04.25 00:03:26
*.127.29.85

설명이 잘되있어서 읽기도 편하고 쉽게 이해가 가네요 ㅎㅎ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장비전반 [장비사용기 이용안내] Rider 2018-01-11 9 25251
» 데크 [수정-사진추가]04-05 Infinity Boom Box 15... file [19] A.K.A. xoon 2006-04-20 40 3925
74 데크 06-07 RIDE 최상급 NO. 4 158 <수정> file [23] Garfield™ 2007-01-06 40 5594
73 데크 06~07 idiom *burton* file [1] 까꿍~~~ 2007-01-15 41 3248
72 데크 0607 k2 www (world wide weapon) 리뷰 file [9] simsman 2007-02-03 41 7842
71 데크 05-06 살로몬 버너 에라 157 file [9] 아따 긍께 2007-03-07 41 9271
70 데크 나이트로 0607 레인 데크 [4] 요이땅 2008-03-13 42 4813
69 데크 04-05 SAPIENT PNB1 153 사용기.(Twintip) file [9] 필리핀유덕화 2006-04-28 43 5779
68 데크 07~08 Signal Matt Hammer(151) 입니다 file [10] SB 11 Matt ... 2007-03-14 43 7655
67 데크 0708 네버썸머 에보 사용기 file [4] 똥국이당 2008-03-22 43 7848
66 데크 0708 danny kass file [53] ssb 2007-04-27 43 14164
65 데크 06~07 RIDE HAVOC 159 file [6] 까꿍~~~ 2007-01-03 43 3644
64 데크 0405 0607 옵션 케빈 산살롱 허접 비교 사용... [14] 잇힝 2007-01-05 43 5141
63 데크 Allian 데크의 탑시트에 대한 사용후의 느낌... file [2] 2006-04-05 43 4243
62 데크 :+: [Acidburn79]의 01-02 m3 157 사용기.. [4] [Acidburn79] 2001-12-20 44 4141
61 데크 알파인 오카사카 168, 05/06 지극히 갠적 생... [20] 피드GO~ 2007-05-24 44 6877
60 데크 04-05 포럼 데븐월시 153 [14] 123 2007-02-15 45 5481
59 데크 0607 k2 jibpan154 사용기 file [13] weewq 2007-01-25 46 5576
58 데크 바탈레온데크 초보의초허접사용기... [5] pinkpanther-99 2007-01-16 46 6594
57 데크 효율성이 괜찮은 데크 M4 GT pro series 151 [31] 123 2007-04-15 47 8302
56 데크 0102슈퍼내츄럴157/0001드래곤156/0304커스... [7] 武道0000 2004-02-11 47 47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