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저는 요넥스 스노우보드, ROME SDS, DYE GOGGLES 에서 라이더로 활동 혹은 놀고 있는 날아라가스~!! 라는 아주 불우한 보더입니다.

오늘은 핸드메이드 제품군중 제가 주로 타는 일본제 데크가 아니라 미쿡제 데크인 유니티의 프라이드 모델에 대한 사용기를 써보고자 합니다요.

제가 유니티란 브랜드에 대하여 처음 이야기 및 소문을 들어본것은 03-04 시즌이던가? 그 후던가? 하던 시점입니다.

이때부터 벌튼사의 데크 그립력에 대하여 안티기질을 가지게 된 저는 이 데크~저데크~등등을 전전하며 좋은 데크가 어디있나~

하면서 하이에나 같은 시절을 살고 있었습죠. 

물론 지금이나 그때나 거의 데크 스펙같은건 이곳 헝그리보더에서 거의 얻곤 했었습죠...

하지만, 그 후부터의 소문이 은근 거 좋던 데크라 신경은 쓰였으나, 수입하는곳도 모르겠고~어찌어찌 다른 브랜드를 타던 관계로 

사용은 하지 못하였으나, 핸드 메이드 인 USA 란 타이틀로 은근 라이딩에 굉장히 좋대더라~~하는 소문을 들어봤던 모델입니다요.

지인분들중 몇몇분이 타고 있으신 모델이기도 하고, 꽤 흥미가 갔던 모델인데 이번에 좋은 기회로 인해 라이딩 해보게되었습니다요.

먼저 라이더 스펙입니다.

1. 신장 : 180 cm
2. 근수 : 74 kg 가량
3. 스탠스 & 바인딩 각도 : 60 cm, 21/-9도 
4. 성향 : 89% 라이딩...

이정도 스펙을 가지고 있으며 주된 성향은 역시 라이딩 위주 입니다. 최근들어 스위치 라이딩을 깔짝대고 있으며 팽글팽글 트릭보단 한방있어보이는 트릭을 추구하고 싶긴 하나 역시 현실은 시궁창인 법입니다.....



1. 브랜드에서 설명하는 유니티의 라인업입니다. 


unity1.jpg



다른문구보다 영어로 one board to it all~!! 이란 문구가 있었는데 이놈봐라~? 하는 느낌이었죠..


다른 스펙은 굉장히 세밀하게 써있는 편입니다.


다른 스펙보다 저에겐 허리가!!! 245 라는게 굉장히 깜놀했었죠. 되게 가늘더라구요...159 사이즈인데도...



2. 탑시트~~


topseat.jpg


올해 신상모델의 경우 탑시트의 디자인은 이렇습니다...


뭔가 서핑의 모습~? 이상하게 제가 마음에 드는 데크들의 그래픽은 왜 마음에 안들까요....;;;;


(사진을 찍은 장소가 사무실내 제 보드 작업실이라 지저분한것은 양해 부탁드립니다요~)


뭐 일단 그래픽같은거야 그렇다고 치고.....;;;

세팅을 위해 인서트홀에 스탠스 길이가 써져있지 않고 레퍼런스 스탠스가 없길래 "뭐지 이건~?" 하면서 세팅을 하려고 봤는데...

엽기적인 셋백을 자랑합니다. 무려 셋백이 8센치.....!!?? 

진짜 깜짝 놀랬습니다. 아니 무슨 100% 파우더 보드도 아니고 이게 뭔...하는 느낌이었죠.

기억이 가물한데 아마 50~62던가 64던가 까지의 스탠스폭이 나옵니다. 

최대 스탠스가 62까지 나오니 그렇게 긴것도 짧은것도 아닌데 이게 뭘까...했었습니다요.



3. 베이스~!!


base.jpg



베이스의 모습입니다. 


사진의 하단으로 올수록 보이는 느낌을 주는 부분이 있는데...

엣지쪽과 가운데 부분에 보시면 약간 푸르스름~? 한 느낌을 주는 부분이 있죠~? 저 부분이 느낌상으로는 뭔가 들어간 소재로 보입니다. 

데크를 전체적으로 감싸고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 강한 플렉스를 위한 소재 같은데 안써있습니다......

저게 카본 화이버 X 코어인가? 하는 느낌인데...카본치고는 프르스름...허고...x 는 아닌거 같고...--+

뭔가 의아하지만, 저것덕에 플렉스가 9가 된듯 합니다. 굉장히 하드한 느낌입니다요.


4. 캠버~!!


camber.jpg


캠버의 모습입니다.

사진을 찍은곳이 더러운건 좀 이해하시고...;;;

가는날이 장날이라..주머니에 있는것이라곤 100원 짜리 하나 없고 오로지 챕스틱하나....;;;;;

그래서 일단 챕스틱이라도 좀 놓고 찍은 캠버입니다.

굉장히 높습니다. 최근 저는 캠버 높은 데크를 잘 타지 않았어서 "오호~이거봐라~?" 하는 느낌이었습니다.


5. 사이드월~!!

sidewall.jpg


저거시 아직도 의구심이 드는 사이드월의 모습입니다.

저건 뭘까~? 해서 한참 여기저기 뒤져봤으나 나오는건 없고...저게 그 유명한 방탄소재 피텍스 마테리얼!? 이라고 써있는 그건가??

하는 중입니다. 처음엔 "앜ㅋㅋㅋ 이거 뭐얔ㅋㅋ 자국좀 지우짘ㅋㅋ" 했는데 알고보니 자국이 아닌게 함정입니다....

전체적인 포장을 뜯은 후의 느낌은 뭐랄까...터프함? 좀 그런 느낌입니다.

요넥스 데크들은 정갈함~? 유니티 데크들은 터프함~? 좀 이런 느낌을 받았습니다요.



이렇게 여기저기 살펴보면서 데크의 세팅을 마치게 되었고, 세팅하면서 느낀점은...

뭐랄까...큰 기질? 일본데크들이 조금 세밀하고 정밀한 느낌이라면 미쿡제 뎈이라 그런지 굉장히 터프함? 거침? 그런 느낌입니다.




                                                                -본격 사용기편~!!-


이래저래 본격적인 라이딩을 시작해봤습니다.

시승슬롭은 제 메인베이스인 지산의 5번과 6번 슬롭이며 기온은 영하 -5~-1도 정도였고 설질은 괜찮았습니다.

맨 처음엔 스탠스 58cm 의 세팅을 가지고 라이딩 시~작~!!

첫번째 느낌은 "얼씨구? 뭐 이리 스탠스가!?" 하는 느낌을 바로 주더라구요. 분명 제가 최근에 쓰는 스탠스는 58 이 맞는데 재고 재고 또 재봐도 58의 스탠스가 프라이드 위에서는 엄청나게 좁은 스탠스로만 느껴집니다. 왜 인지는 모르겠으나, 아무리 생각해봐도 셋백 8센치의 위엄이 확실할것 같습니다.

도저히 적응이 안되서 2번타고 내려와서 바로 정권....아니 세팅 교체...;;;

노즈쪽을 한칸 앞으로 밀어서 60을 만들고 셋백 6센치로 재도전을 했습니다요.

아~이러니 좀 사람답게 탈것 같습니다. 


우선 플렉스는 확실히 하드합니다. 

사실 저처럼 라이딩위주의 사람들에겐 하드하고 긴 데크가 당연하게도 유리하겠지만, 전 극단적으로 하드한 데크는 별로 좋아하지는 않습니다.

그 하드함이 데크의 토션 및 노즈 테일의 반응성을 방해하기 때문인데, 그렇게까지 하드한편은 아니고, 허리는 강하고, 노즈 테일은 그보다는 무른편이나, 확실한 존재감을 보이는 플렉스라 느꼈습니다요.

어찌보면 당연한게 셋백이 이렇게 있기 때문에 우리나라같은 강설분위기에선 노즈부터 확실히 들이밀어야 할거 같은데

이놈이 만약 말랑말랑하다면!!?? 그러니 데크 믿고 콱콱 밀어라? 하는 컨셉이랄까요~?

물론 제가 제작자의 의도를 100% 알수는 없지만, 일단 강하게 진입이 가능하고 라인을 잡는데에 있어서는 좋습니다.

다음은 바인딩 세팅의 문제인데...

저는 레퍼렌스 즉, 브랜드에서 정해놓은 스펙을 따라가기 좋아하는데 프라이드는 세팅의 자유도~? 니 맘대로 해봐~?

그런 느낌입니다. 좋게 말하면 자유도이지만, 나쁘게 말하면 세팅값찾는라 죽어나가겠네...;;; 하는 느낌입니다요.

저는 바인딩각도는 이제 거의 바꾸지 않지만, 스탠스는 56~60 사이를 왔다갔다 합니다. 

데크별로 정확한 반응이랄까요? 포인트점? 제 신체가 줄수 있는 힘을 딱 받을수 있는점이 있어야 하는게 그 데크의 본인에 맞는 세팅값이라고 생각하고 살고 있습니다요.

그런점에서 다른 데크를 탈때는 58cm을 쓰지만, 이놈의 60cm 이 맞네요.



각설하고 본격적인 라이딩을 위해 이래저래 데크를 휘둘러 보았습죠. 

일단 이 뎈의 사이즈는 159..제 메인데크와 같은 사이즈고 유효엣지도 거의 비슷합니다. 

기본적인 세팅하면서라든가~감을 잡으면서 탔을때의 감각으로는...

셋백만 봐선 파우더용 데크같고...킥이라던가 허리를 보면 완전 카빙용..게다가 플렉스는 파이프용같고...허허 거참...

투지를 불사르달까요? 전 올라운드라고 불리는 모델보단 차라리 아주 강한 데크를 골라서 그 데크에 적응을 하던가~

아니면 데크를 적응시키는 편입니다. 

그런 점에선 프라이드는 좀 도전정신을 불러일으킵니다. 



우선 라이딩시의 그립력은 굉장합니다. 솔직히 일본데크들 타면서 유럽이나 미쿡쪽 뎈의 그립력을 좀 무시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깜짝 놀랄정도로 요넥스 부럽지 않은 그립력을 보여줍니다. 사실, 저는 눈빨을 그렇게 타지 않는 보더라서 눈이 거지같건~~좋건~~거의 비슷하게 타는 성격이라 시승슬롭의 설질이 무난하다 썼는데 다른분들의 의견을 보면 뭐 강설 어쩌고...하시더라구요...

암튼, 그런 상황에서도 큰 문제없이 그립력을 보여주는데 헤~역시 핸드메이드여!!?? 하면서 조금 놀랬습죠...

처음 엣지를 만져봤을때에는 그렇게 예리하단 느낌이 없었는데도 오히려 슬롭에선 상당히 예민한 느낌입니다. 

일제 데크완 다른 느낌인데...

제가 타는 요넥스 데크의 경우는 굉장히 편안하게 예리하다면 유니티 프라이드는 거칠게 찢는 느낌?

말이 좀 추상적이라 죄송한데, 조금 저런 느낌입니다...;;; 


반대로 베이스의 경우는 참 평이한 느낌을 줍니다. 

팩토리 왁싱이 조금 벗겨진 후의 라이딩인지라 설질이 습설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엄청나게 빠른 느낌은 아닙니다. 신터드 5~6천 정도 될려나요~? 

여담이지만, 그전까지 타던 eracer ts 가 베이스가 너무 괴물같아서 이럴수도 있습니다요.

대신 그만큼 단단한 베이스인지라 뭐 호불호가 있을듯 합니다. 



반응성 및 토션의 부분은....

역시 얇은 허리에서 나오는 반응성은 좋습니다. 어지간한 슬라이딩이나 카빙등에서 의도한만큼 돌아주니 큰 불만은 없고, 오히려 너무 앞서가지 않는게 마음에 들었습니다.

허리가 245라서 "아니 뭔 159 사이즈타는데 부츠아웃 걱정을 해야해...;;" 하면서 주의를 좀 요하는데 그만큼 말리는 감각은 참 좋습니다. 

생각보다 셋백으로 인한 턴의 루즈함이 없고 노즈부터 강하게 들이밀면 강하게 잘만 들어가네요.

짧게 끊어가는 턴을 할때도 상당히 턴의 진입이 빠릅니다. 

그덕분에 느낌은 참 희안합니다. 

노즈가 기니깐 여유있게 들어갈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확~!! 감아올려버린달까요? 아직은 잘 이해가 가지 않는 구성인데 

라이딩이 좀 색달라집니다. 허허 거 참...조금 더 적응을 한다면 어떤 모습일런지...



높은 캠버 또한 주의해야지...;; 하는 생각을 가지고 탔는데 역시...제 라이딩이 최근 캠버로 인한 리바운딩을 죽이면서 하는지라

다행스럽게 굇수같이 튀어오르진 않습니다. 

오직 캠버도 허리도 카빙만을 위한 세팅이랄가요~? 깊은 라인을 그리는데에는 아주 좋습니다. 

쫘악~!! 빨려들어가게 만드는 라인은 아주 좋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말하면 159 의 사이즈인데도 얇은 허리덕에 약간씩 부츠가 걸리는 느낌은 줍니다. 

제가 토턴에 트라우마가 있어서 깊게 누르다가 부츠걸려서 날아간게 한두번이 아닌지라 조금 무서워서 쫄았습죠...

엣지 체인징시에 나오는 느낌도 괜찮고...라인도 마음에 들고...좋습니다.


토션은 하드합니다...;;;

암만 봐도 카탈로그 상에서 볼때는 분명 X 자라는데 직접 육안으로 볼대는 ㅣㅣ   이런 구조로 보여서 심리적인 느낌탓인지 굉장히 하드한 느낌을 주는 토션입니다. 

프레싱계열이라던가 휙휙 잡아돌린다기 보다는 감고 감고 또 감는 세팅이랄까요~? 말아올리는데엔 일가견이 있다는 느낌이고 

직선적인 움직임에 있어서의 세팅이랄까요? 적당히 돌리고 돌리는게 아니라 강하게 돌고 돈달까요~?



글을 쓰면서 생각을 해보고..또 해봐도 

전체적인 성향은 분명히 파이프 아니면 카빙용인듯...--+

전체적으로는 상당히 색다른 감의 라이딩감을 주는 데크였으며 제가 이 데크를 더 타게 된다면 아마 바인딩값부터 시작해서 

다른 세팅을 많이 바꿔야 할듯합니다.

그만큼 색다른점이 재미있습니다. 미쿡 VS 일본 의 느낌~? 어떤놈이 좋은지야 호불호가 갈릴듯하죠.




대충 이정도가 제가 짧게나마 느낀점입니다.

원래 추상적으로 글쓰는것을 좀 싫어하는데 이번엔 이상하게 추상적인 문구가 많아져서 오히려 혼란만 가중시킬까봐...;;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11'

유령 

2012.12.31 12:00:14
*.78.87.182

이월 사서 질질 끌려 다니고 있는데 이거 좀 사이즈가 변태 같더라구요..

길이길고159, 허리좁고245, 사이드컷둘레짧고7.8.. ㅎㄷㄷㄷㄷ

수연이아빠

2012.12.31 13:00:27
*.131.229.232

사용기 잘 보았습니다.

빠른반응에도 라이더를 절대 멀리 튕겨내지않는 절제력!! 미국보드스럽지 않은 그립력!

오랜기간 장수하는 이유는 분명한것 같습니다. 멋진 사용기 잘보고 갑니다.

챔피온^^

2012.12.31 14:10:35
*.131.229.232

라이딩 정말 자신있게 할수 있습니다.

반응은 물론 카빙에 정말 좋습니다.

 

[♥-츄파춥스-♥]

2012.12.31 16:17:21
*.33.186.103

저도 유니티 uls 타고 있지만 라이딩만큼은 과히 최고라 할정도로 좋더군요 시승기 잘보았습니다^^ 

Stimulus.

2012.12.31 18:00:13
*.7.194.192

저도 uls 유저고요 pride도 몇회 타봤는데 요 두제품 명기중에 명기죠..아무리 비싼 소재로 만들고 신기술이 들어가고 유명하다고 이름날리는 데크들 모조리 입양보내버린...ㅎㅎ

맛동산짱

2013.01.01 02:20:09
*.138.96.175

10/11 유니티 리버스 유저로 잘 읽고 갑니다

Shooting Carver

2013.01.01 22:09:00
*.201.123.160

가스님 반갑습니다...ㅎㅎ

판매처 좀 알수 있을까요??

보드라이더K

2013.01.02 21:03:30
*.4.194.229

학동 레몬스노우에 유니티 있더라구요

Mayonaisse

2013.01.02 11:10:55
*.209.101.137

10-11 Pride 159 2시즌째 타고있는데 이거 적응하는데 꼬박 한시즌 걸린듯 하네요. 물론 제 몸뚱아리가 허접해서 그런거도 있겠지만 말이죠.

제 느낌으로는 좀 고속 라이딩에 특화된 데크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저속보다는 고속에서 컨트롤이 더 잘되는 느낌입니다. 단단하고 캠버가 높아서 그런지 쫄깃한 리바운딩감도 좋고요. 

자동차로 비교하자면 광빨나는 고급 스포츠카라기보다는 오래묵고 적당히 녹슬은 머슬카의 느낌이랄까..


zephi

2013.01.02 23:04:41
*.118.4.58

작년 처음 배울 때 10-11 Pride 155 타다가 11-12 Pride 159로 갈아탔는데 정말 최고입니다.

Lib-tech TRS 167과 번갈아 가면서 쓰는데 엣지 그립력은 정말 167보다더 좋은거 같습니다.

덕분에 날이 조금만 안좋아서 빙판이 예상되면 무조건 들고가게 되는 신뢰가는 데크 입니다.

단, 이걸로 보드를 배워서 그런지 왠만한 말랑한 데크는 불안해서 못타겠더라구요..^^;;

악땅보더

2013.01.03 23:53:59
*.205.48.41

이녀석은 야생마입니다

함부로 덤비면 던져버리는

야생마
파일 첨부

여기에 파일을 끌어 놓거나 파일 첨부 버튼을 클릭하세요.

파일 크기 제한 : 0MB (허용 확장자 : *.*)

0개 첨부 됨 ( /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장비전반 [장비사용기 이용안내] Rider 2018-01-11 9 25263
1546 톨&기타 [SKULLCANDY]스컬캔디 아이콘3출시'-'* file [27] 키멜리 2012-12-21   3113
1545 데크 12-13 모뉴먼트 777 데크 사용후기입니다. file [16] 0313 2012-12-25 3 3684
1544 고글 드래곤 APX Powder / Red Ionized 개봉기 file [2] designCROWN 2012-12-26 1 2339
1543 데크 12-13 스텝차일드 SLEEZY RIDER 사용기 file [20] IXIX 2012-12-27 3 4028
1542 데크 2013 트랜스월드 선정 굿우드,2013년 좋은 ... file [9] 빽쏘, 2012-12-27   6872
1541 데크 12-13 DWD THE RAT 151 시승후기 [2] 어설픈늑대 2012-12-28 3 1336
1540 데크 12-13 UNITY PRIDE 159 [1] 라이더쫑 2012-12-28 1 1666
1539 바인딩 12-13 ROME TARGA file [1] 라이더쫑 2012-12-28 2 7098
1538 고글 APX JET 고글 X jet /Gold Ionized 개봉기 file [2] 유럽피언 2012-12-28 1 1703
1537 데크 12/13 빅보이커스텀 데크 한달사용기 file [26] IAMJK 2012-12-28 15 2520
1536 톨&기타 보드코리아/보드라인/a&a 샵 후기 및 살코... [23] 류얌 2012-12-29 1 3623
1535 데크 [12/13 DWD GENOVESE - FLAT CAMBER 사용기] file [15] 유경석 2012-12-30 5 1893
1534 데크 2013/2014 Matrix Escape 154 : 매트릭스 이... file [4] 몬두 2012-12-30 5 7514
» 데크 12-13 UNITY PRIDE 159 사용기~~!! file [11] 날아라가스~!! 2012-12-31 5 4562
1532 고글 12/13 스미스 I/OX file [1] 텐디 2012-12-31   2608
1531 데크 버즈런 1213 'EX' 데크 사용기 file [11] 김설탕 2012-12-31 2 1712
1530 데크 1213 나이트로 ROOK 154 사용기^^입니다. file [5] 리얼잡초 2012-12-31 5 1919
1529 장비전반 버즈런 1213 toy city & 1213 파이튼 Ps 121... [8] 스노이 2012-12-31 2 2095
1528 바인딩 버즈런 라이더의 버즈런 파이튼 첫사용 후기... file [9] X-ray 2012-12-31 1 4818
1527 데크 12/13 CAPITA INDOORSURVIVAL FLAT KICK 사... [6] PETAMIND 2012-12-31 3 45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