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 장비 구입하는 경우에 바인딩의 무게를 많이들 따지시더군요..
머.. 대략 고가의 바인딩이 가벼운게 사실이기도 하고..
높이 곰 돋아샤~ 하는 파이프나 트릭에는 가벼운게 좋을듯 한데,
라이딩 위주라면 약간의 무게가 라이딩시의 안정감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은데..
또, 바인딩의 무게가 프레스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런지...
어떻게 생각하세요?
엮인글 :

ronin

2003.10.12 20:03:28
*.111.32.189

파잎이던 슬롶이던 무게가 보딩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사용자의 경험은 열악한 장비를 능가하니까요.

Within No.5

2003.10.12 20:27:12
*.177.89.83

ㅠ.ㅠ 1년전에 완성이 되었어야 할 칼럼이 있었죠....

캐스애마021123

2003.10.12 23:25:15
*.86.224.157

흠... 그러게여... 에혀... ㅡ,.ㅜ

슬롭정복

2003.10.12 23:33:56
*.114.236.240

그렇군요........누군가가 완성을 해주시길.......

사악한악마

2003.10.13 00:21:05
*.239.104.55

음.. 무게가 보딩에 영향을 줄꺼라 생각합니다.
확실히.. 움직임이 둔해지는걸 느꼈습니다.
내가 올라타고 있는보드가 무거운게 느껴졌습니다.
중,상급 이상이면.. 충분히 느낄 수 있을거라 생각합니다.

여드름만발배불뚝흑곰

2003.10.13 02:06:07
*.113.114.93

어떤 칼럼에서 정말 많이 본 제목이라는....

[imp]

2003.10.13 03:20:19
*.116.33.157

예고는 한참전에 되있던 같던데 ^^;; 바쁘시겠져 머

캐스애마021123

2003.10.13 09:09:18
*.232.87.79

헉.. imp님... 스카이님은...
별써 기일이 다가오네여... ㅠ,.ㅜ

팬더

2003.10.13 13:28:23
*.249.82.140

잘모르시나보네요....

뒷발차기고수

2003.10.13 14:22:07
*.100.214.2

제가 잘 모르는데 어떻게 고인이 되신건지 궁금합니다.

정덕진

2003.10.13 14:43:24
*.233.85.248

여기까지만 하시고 이제 본 주제에 맞는 코멘트들로 채워보죠... :-)

-----------------------------------

┏arvine┛

2003.10.13 19:00:09
*.222.195.71

많은영향을 미칠겁니다,,분명히,,,확실하게,,,ㅡㅡ;

베캄

2003.10.13 19:54:32
*.221.0.249

바인딩의 무게가 프레스에 도움을 준다고 생각이 들진않습니다..데크가 프레스를 먹어서 휘어진다는건
캠버가 휘어진다는 것인데 캠버 가장자리에 위치한 바인딩의 무게가 캠버를 더 휘게 하진 않을겁니다..
바인딩의 무게때문에 에지가 조금더 눈에 잡힐지는 모르나 프레스에는 영향이 있진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바인딩의 무게가 라이딩시 안정감을 줄수있을까 하는 문제는 아주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안정적이라는 것은 저속에서가 아닌 고속에서 해당이 되는 말인거 같습니다..
직선거리에서 스피드를 낼때는 경량화 해야지만 속도가 더 붙습니다..
하지만 직선거리 평지가 아닌 경사가 있는 곳에서는 무게가 더 나갈수록 스피드가 붙구요..
무게중심이 낮을수록 라이딩시 안정적일수 있습니다..고로 데크위에 양팔을 벌리고 서있는 라이더를
생각해 보세요 그리고 데크에서부터 양팔을 살짝 구부리고 벌린 라이더의 상체까지 역삼각형의 원형추를
그려 본다면 꼭지점이 되는 라이더 발부분에 무게가 조금더 실린다면 고속에서 안정적일수 있습니다..

led

2003.10.13 20:12:40
*.186.105.25

제 생각에는 바인디의 무게가 무거워지면 더 안정적이지 않을까 하는 말은 틀린것 같습니다. 위분이 말씀하셨는데 저도 바인딩의 무게로 인하여 데크의 압력을 더 주지는 않을거 같구요.(고작 차이나봣자... 600g정도가 아닐까요?) 캡버에도...별영향이...없을 듯 합니다.

오히려 바인딩의 가벼워져 몸의 반응성이 빨라 턴이나 라이딩때에도 원활한 콘트롤이 되지 않을까요? 모든 운동에서의 장비의 무게절감이 괜히 이루어지는것 같지는 않습니다. 다만 지구력을 구하는 운동이냐...아님 순간적인 반사신경을 원하는 운동이냐에 따라 안정성과 순발력에 따른 장비소재의 차이는
잇을지 몰라도 말이지요....


장미빛인생

2003.10.18 02:20:05
*.155.219.226

음.. 일단 제 머리 속에 있는 생각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일단 데크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무게(바인딩,부츠,라이더)를 합친 힘이 데크에 가해 지게 되니까
운동에너지(힘)은 (1/2 x 무게 x 속도^2) 이고, 턴을 하는 시점은 일종의 충돌이기때문에.. 그 힘은 바로 데크로 전해 지게 되고.. 그 운동에너지는 감소하고(속도가 줄고) 그 힘의 일부는 손실되고 나머지는 데크에 가해져 휘게 되겠지요(탄성 충돌). 물론 속도가 얼마정도이냐에 따라 그리고 라이더의 스킬에 따라 작용하는 효과는 천차만별이겠지만.. 아무튼 무게가 늘어 나면 늘어 날수록.. 그리고 속도가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턴 하는 시점에서 데크에 가해지는 힘은 더 증가하니까.. 당연히 영향을 줄듯 하네요.
바인딩의 무게는 속도가 얼마나 증가 하냐에 따라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 하게 될듯 하네요.
1Kg 이 5m/s로 이동하면.. 충돌시에 힘은? 25배 증가 하게 되겠군요. ㅡㅡ;;
물리학과이신분의 도움이 필요하네요.. ^^;;

울트라슈퍼최

2003.10.20 13:46:51
*.99.121.142

모든 운동법칙은 떨어지는 사과를 보고 뭔가를 생각했다는..모든 공대생의 두통의 원인을 제공하는 뉴씨의 에너지 보존법칙(운동량보존법칙)에 기초를 두고있습니다.고로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변환시키는 보드에서 무겁다는말은 위치에너지가 크고 운동에너지로 변환될때 그에너지는 보존된다는..(물론 마찰로 손실이 되지만 슬로프와 보드 베이스의 마찰계수문제 임으로 제외하고)따라서 당근 무거우면 무거울수록 속도 가속도 힘 충격은 높아집니다. 근데...바인딩 몇백그람차이나는건 실적으로볼때 라이딩시 그렇게 엄청난 차이를 보일것같진않고...그냥 들고다닐때 무거우니까 느끼는 피로가 많다...란 말이 더 와 닿을듯하네요^^

가시나無?

2003.10.28 02:10:53
*.152.101.232

바인딩무게는 들고다니는데 그 차이가 있다...

ohapyday™♬

2003.10.28 03:10:57
*.216.145.209

울트라님 말씀에 한표,,^^
장비의 무게는?
들고 다닐땐,,,팔목이나 팔꿈치인대가~
바인딩에 채워서 맆탈땐 발목인대가 걱정인,,,, 초보보더~~ ^^;

라라루키

2011.01.28 02:42:23
*.159.126.132

라이딩시는 별로 상관없을듯 하지만 트릭에는 영향이 있겠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4
62 [펌] 한국과 일본의 스키용품 가격 왜 비교가 되나.. [10] 미친스키 2007-03-18 79 7156
61 시즌을 마감하며 올해 보드 뉴스 탑10 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2] ⓒⓗⓡⓘⓢ™ 2007-04-01 79 3913
60 언제나 문제가 되는 리프트 줄서기 운동............ [16] 믹스 2007-11-23 79 5771
59 교체할 장비 목록 댓글 모음 [12] Keeskim 2006-10-12 79 2966
58 카본재질의 하이백 파손은 사용자의 문제인가? [17] **션** 2007-03-14 80 5317
57 샵들의 이벤트 당첨자 추천에 대한 의문 [10] 에지없는보드 2007-02-08 80 3399
56 무료버스 [19] 프리스타일 2007-10-01 80 4350
55 "보드장소식"에 올라오는 설질 평가 [16] 밤에피는 장미 2007-03-13 81 4823
54 이번 시즌 최고로 헝그리하게 보드 타는 방법을 토론하고 싶습니다.. [19] 우비보더 2003-09-23 81 3998
53 보드 기술 선수권 대회를 하면 어떨까? [4] 사모보더 2007-03-14 81 3500
52 파이프에서 POP 과 관련하여.... [18] 빅베어보더 2007-01-12 81 2929
51 중고장터에 관하여! [9] . 2007-02-02 82 3642
50 헝글 각 게시판의 성격에 맞는글 쓰기.. [13] 터프가이 2003-09-18 82 5854
49 스노보드대회를 개최한다면... [14] 비타민보더 2007-11-06 82 2973
48 "부드러우면서 탄성좋은 데크란 절대 존재할 수 없다"란 생각입니다.^^ [11] 노숙보더 2003-09-18 83 5249
47 타이거월드에 대해 토론좀 합시다. [35] 한여름밤의콥슨 2007-07-22 85 9267
46 라이딩용 데크 트릭용 데크 지빙용 데크에 관하여 토론및 추천 [42] 다시가입 2007-08-27 87 7100
45 스노우보드 대회때 관중이 왜 이렇게 없어요? [29] Mlll 2007-10-29 87 4911
44 한국의 실내 보드장의 미래?라고 해야 하나? [15] 대장곰보더 2007-05-25 87 5484
43 직장인 보더의 스킬향상 방법 [25] 기고라이더 2007-09-18 88 87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