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를 누르려고 하지 마세요.

누르려고 하지 않아도, 누르지 않아도

데크 위에 올라가 있는 자체로 이미 몸무게가 데크를 누르고 있습니다.


데크를 눌러야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엣지를 세우면 사이드컷에 의해서 또 몸무게가 바인딩자리를 눌러서 데크가 휘어지게 됩니다.


턴이라는 것은

턴호의 바깥쪽에서 잡아당기는 보이지 않는 힘과 줄다리기를 하고 있는 상황과 같습니다.


턴호의 바깥쪽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버티려면

턴호의 안쪽으로 기울기(인클리네이션)가 만들어져 있어야 하고

엣지를 세워야 하지요.


데크를 눌러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를 확보하고 있어야 하고

엣지를 세우고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턴을 마무리하기 전까지는 기울기를 붙잡고 있어야 하구요.


턴 진입 후에 하는 다운은

데크를 누르기 위함이 아니라

프레스를 주기 위함이 아니라

기울기를 붙잡기 위해서

엣지를 더 세우고 있는

린아웃입니다.


턴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감압해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울기를 세워서 넘겨야 합니다.

엣지를 더 세워야 하지요.

린아웃을 추가해서.

엮인글 :

미래소년바보

2019.01.25 07:17:06
*.223.17.19

올소~.

MadamH

2019.01.26 03:45:27
*.163.242.59

데크를 억지로 조정하지말구 데크에 몸을 맏기라는 의미로 들리네요

134340

2019.02.16 22:04:33
*.156.72.87

제 말씀은

데크를 누르려고 하지 말고, 데크를 조종해야 한다..는 말씀입니다.

데크 조종에서 가장 기본적인 것이, 스탠스 앤 밸런스 이구요.


스키는 플레이트가 두 개라서, 양쪽 스키의 접설엣지 사이 면적 안에 무게중심이 있으면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지지면적(양쪽 스키의 접설엣지 사이 면적)을 향하고 있으면

넘어지지 않는 안정된 상태이지만


보드는 플레이트가 하나라서, 엣지를 세우고 있는 상태는

기울기 (인클리네이션, 무게중심-접설엣지..선이 슬로프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는 정도) 가 만들어져 있는 상태인데

지지면적이 거의 선 (접설엣지곡선) 이라서

무게중심에 작용하는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상이면, 기울기가 정지한 상태이고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의 안쪽이면, 기울기가 더 기울어지게 되고

하중의 방향이 엣지곡선의 바깥쪽이면, 기울기가 세워지게 되므로

더군다나 원심력(과 중력의 원심력방향 분력)이 계속해서 변화하므로

보드는 늘 불안정한 상태이지요. 노즈테일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했을 때, 횡방향으로는 늘 불안정한 상태이지요.


그러므로 계속해서 기울기를 제어해야 하는 거구요.

기울기를 더 기울이려는, 턴호의 안쪽으로 넘어뜨리려는, 모멘트는

수직하중 (중력의 수직하중 수직분력) 에 의한 모멘트이고

기울기를 세우려는 모멘트는

수평하중 (원심력(+ 중력의 폴라인방향 분력의 원심력방향 분력을 엣지그립력으로 버티고 있는 정도)) 에 의한 모멘트인데

중력은 조절할 수 없으므로, 원심력(과 슬립)을 조절해서 기울기를 제어해야 하지요.

원심력은 앵귤레이션 (엣지각 조절) 을 통해서 조절하구요.


엣지를 더 세우면 원심력이 더 커지고

- 기울기가 점점 기울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기울기를 붙잡으려면, 외경으로 엣지를 더 세워야 하고

- 턴을 마무리하고 다음 턴으로 전환하려면, 기울기를 세워야 하므로, 외경으로 엣지를 더 세워야 하고

엣지를 눕히면 원심력이 작아지지요.

- 턴을 더 끌고 가려는데 기울기가 세워지려고 하면, 엣지각을 눕혀야 하지요. 그러면 (더) 슬리핑하게 되구요.

1달러

2019.01.26 08:50:29
*.186.103.27

초보분들에게 매우좋은 칼럼입니다. 어떤 운동이든 그 본질을 알아야 하는데 영상의 화려한 동작만 따라하니 부상을 당합니다. 스쿼트의 경우도 단순히 허벅지를 두껍게 하는 것이 아니라 하체의 인대와 힘줄을 강화하기 위함인데 대부분이 동작만 따라해요. 기울기를 붙잡기 위해서는 하체의 인대와 힘줄이 강해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43
3217 기술(테크닉) 트릭시에 프레스를 주는 방법 (데크를 휘... [30] volcomsnow 2010-10-01 19 12319
3216 장비 튜닝 왁싱의 위험! [14] 바람켄타 2014-11-21 9 12272
3215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2(데크, 바인딩, ... [24] 소리조각 2011-01-06 4 12244
3214 해외-장비구입 구매대행 혹은 배송대행 15만원 맞춰 관세 ... [11] 삐헝 2009-10-17 55 12219
3213 장비 튜닝 못쓰는 휴대폰밧데리 재활용~ file [10] a소소a 2012-01-17 1 12207
3212 장비 관련 고글에 습기차는 이유중 하나 [19] 09and072 2009-02-09 78 12203
3211 장비 관련 시즌권 케이스를 만들어 보자 file [27] 제이콥투투 2009-09-16 58 12203
3210 기타 제설기 만들기... file [11] 마징가 2009-12-27 43 12155
3209 일반 캐리어 없어도 .. 5명.. 장비5개 싫을수 있... [65] 킹왕짱 2008-09-30 56 12150
3208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턴의 종류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26] 스노보드 2005-11-02 21 12146
3207 장비 관련 스탠스 조정과 바인딩 각도 조절 [20] 까앙 2005-09-22 28 12133
3206 장비 구입 고글을 질러보자~! [19] 2009-09-18 98 12116
3205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7
3204 헝그리 캠페인 차는 뭐 타고 다니십니까? [184] 헝그리보더 2007-09-28 50 12009
3203 기술(테크닉) 스피드 카빙과 G-포스 카빙의 차이점을 간략... [24] leeho730 2008-12-15 73 11964
3202 초보를 위한 강좌 힐턴이 안되는 그대에게 [8] 메딕111 2017-11-28 21 11950
3201 기술(테크닉) 업다운과 프레셔 컨트롤 1 (부제: 업다운... [22] Lunatrix 2006-09-03 27 11919
3200 장비 관련 엣지 녹 제거 및 녹방지 [14] 아스카 2006-06-02 25 11917
3199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2008-11-21 52 11915
3198 기술(테크닉) 턴의 개념. [30] 날아라가스~!! 2009-03-11 108 11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