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아는 지인과 통화 내용부터 올립니다.

 

...

 

새파랑 : "어디 다쳤어요?"

 

지인 : "네. 어깨 랜딩해서 쇄골이 나갔어요."

 

새파랑 : "에고~ 어쩌다가 잘 타시는 분이 그러셨어요? 키커 뛰다가 랜딩존에서 다치신 거예요?"

 

지인 : "아뇨. 그냥 슬로프에서 라이딩 하다 그런거예요."

 

새파랑 : "저런..."

 

...

 

대충 통화 내용을 적어봤습니다.

 

우리 헝글인들은 저뿐만 아니라 모두들 저런 식으로 대화하지 싶습니다.

 

(헝글보더 : 이것은 고유명사로 보자구요. ^^)

 

대화 내용을 생각해보다 어떤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만히 생각해보면 예전에 읽은 글 중에

 

'인종을 나누는 것처럼 인종분쟁이 어리석다'라는 글이 생각납니다.

 

백인종과 흑인종이 섞일 수 있는 것이지만,

 

가장 고유한 것은 그 민족을 대표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그렇습니다.

 

바로 글입니다.

 

'글자' 그러니까 우리는 생각을 우리의 글로 합니다.

 

(영어권에서 생활하신 분들, 그외 외국어로 생활하신 분들은 예외로 둡니다.) 

 

우리의 글자 그 자체가 생각 그 자체라는 거죠.

 

요즘 특히 한글이 너무 안 소중하게 생각하는 거 같아서 이렇게 토론방에 글을 써봅니다.

 

세계 최초의 금속활자는 우리나라였듯이

 

우리나라 사람처럼 글자를 사랑하는 민족이 없는 거 같은 데 말입니다.

 

앞의 통화내용 글을 바꿔 보겠습니다.

 

...

 

새파랑 : "어디 다쳤어요?"

 

지인 : "네. 어깨로 떨어져서 쇄골이 나갔어요."

 

새파랑 : "에고~ 어쩌다가 잘 타시는 분이 그러셨어요? 도약대에서 뛰다가 착륙위치에서 다치신 거예요?"

 

지인 : "아뇨. 그냥 경사에서 타고내려가다 그런거예요."

 

새파랑 : "저런..."

 

...

 

 

 

제경우는 써놓고 보니 좀 이상하긴 한데 친숙하게 느껴지네요.

 

외국어를 받아 들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하고 그걸 사용하는 것도 나쁘다고 생각하진 않지만,

 

스노우보드-> 눈판때기... 이건 억지 같네요. 스노보드는 벌써 고유명사화 된 거라 그냥 두고,

 

어깨랜딩-> 숄더랜딩...  기왕 쓰려면 아예 영어로 쓰는게 나을 듯.

                -> '어깨 착륙', '어깨로 내려앉다.' 또는  '어깨로 떨어지다.' 등 이런 경우는 고쳐볼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원래 우리나라것이 아니어서 어쩔 수 없다는 생각도 해보긴 하는데...

 

고치려면 한도 끝도 없이 많겠더라고요.

 

그래도 이 글로 인해 기왕이면 우리의 글을 더 소중히 하고 그러자는 마음에서 글을 씁니다.

 

스노보드를 접하는 초기분들 현재 보드용어들 한 번에 이해 안 되잖아요.

 

저역시 아직도 정확히 모르고 있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이젠 이정도 영어가 더 익숙하고 한글로 하면 왠지 모를 싸게 느껴지시나요?

 

(한 때 한글화 자동차명이 싸게 느껴진다는 이름 때문에 안 팔렸다는 말을 들은적이 있어서...)

 

앞으로도 계속 영어섞인 말로 대화해야 하겠죠?

 

 

 

 

엮인글 :

소리조각

2011.03.05 13:21:13
*.90.74.98

추천
1
비추천
0

좋은 지적입니다. 저도 가끔 묻답에서 답변 달다보면 용어때문에 답변하는 저도 헷갈리더라구요.

 

일단 스노우보드 부분별 명칭부터 시작해서 부츠, 바인딩 등 장비명도 일단 다 영어고

카빙, 피보팅, 로테이션, 인클레이션, 프레스, 레귤러/구피, 엣지, 베이스, 캠버....... 등등 한도 끝도 없네요...

 

스노우보드가 외국에서 먼저 시작된거라 용어중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지만 고칠 수있는건 고치는게 좋겠죠.

앞으로 한글로 써도 이해가 될만한건 한글로 적어보겠습니다.

새파랑

2011.03.06 00:02:19
*.160.37.82

소리조각님 댓글 감사합니다. ^^

바꾸려면 원뜻도 정확히 알아야 되는 거 같아요. 카빙은 날로타기 등등 ^^

walking Dic.

2011.03.06 12:16:54
*.186.3.182

용어 자체를 굳이 우리말로 바꿀 필요가 있을까요??

태권도 용어도 외국에서는 그대로 우리나라 발음대로 쓰는것 같던데요.

새파랑

2011.03.06 16:20:48
*.160.37.82

시합용어는 그대로 쓰는 걸로 알고 있는데, 그 외 '이단옆차기' 뭐 이런 명칭도 그대로 쓰는지 궁금하네요. ^^

'몸통 회전력을 이용한 발끝에서부터의 허리힘을 동반한 뒷발차기' 이런 설명을 할 때 우리말을 인용하나요?

그렇다면... 매우 감동적인데요.^^

그렇죠. 벌써 자리를 잡은 거겠죠. 뭐... 그게 좀 안타까운 거라는 거죠.

^^;;

. 

2011.03.08 18:56:19
*.160.50.201

가끔 북한 TV를 보고있으면 뭔가... 어색한 그런 느낌이라고 할까요....>.<:;;

 

프런싸이드 360 → 앞360 또는 앞으로 한바퀴 돌기

 

뺵싸이드 180 → 뒤180 또는 뒤로 반바퀴 돌기

 

뭔가 어색하지만 갠찬네요 ㅎㅎ

뱅뱅™

2011.03.08 21:21:55
*.16.14.201

피봇 앵귤 인클 등은 말 그대로 외국어이긴 하죠 우리나라 말로 번역이 가능하니까요 일상용어를 이렇게 마구잡이로 외국어를 섞어 사용하는것은 문제가 있지만 스포츠 용어라면 좀 다르다고 봅니다.

leeho730

2011.03.08 23:00:59
*.170.140.108

그닥... 어차피 언어란 것도 여러가지 사람들이 섞이는 것처럼 섞이게 마련인데요. 위의 글을 보자면 한자도 섞여 있는데, 한자는 고유 우리말인지요? 언어란 것도 결국 변하게 마련이고, 순수한 것은 사실 존재하지 않습니다. '카빙'이란 낱말도 한글로 풀기 힘들겠지요. '착지'와 '랜딩'도 살펴 보면 다른 뜻을 가진 낱말들이죠...

kucky™

2011.03.10 14:47:17
*.211.251.138

싸게 느껴지는게 아니고...

의미전달이 더 애매해지지 않나 합니다..

키커, 슬롭, 이런건 이미 거의 고유명사화 되어버려서요..

립, 너클 이런건 풀어서 쓰면 더 복잡해지죠..

한글 저도 좋아하지만, 이렇게 전부 한글화 하자는건 좀 억지스러워서요...


예전에 흥선대원군이 쇄국정책을 필 당시, 일본은 유신후에 개방정책으로 바뀌고 엄청나게 많은 문화를 수용했었습니다.

결과적으로 그 문화를 흡수해서 자기화해서 만들었다는거죠...


카스테라 이거 네덜란드 빵인데.. 

일본에가면 카스테라 명인이 있습니다.

돈까스.. 이거도 포크 커틀릿이죠..

우리나라도 어느순간부터 경양식 돈까스는 사라지고 다 일본식 돈까스만 남아있습니다.


억지로 변형하는거보다는 잘 수용해서 우리화 시키는게 더 좋을거 같습니다.

새파랑

2011.03.13 17:41:47
*.160.37.82

.님/  괜찮은 시도인 것 같아요. 다함께 한 번 생각해 보고 싶었어요.

뱅뱅™ 님/  그게 보더들에겐 일상용어 인 듯 ㅋ. 스포츠 용어는 국산이 좀 뭔가 설명이 부족한 것 같아요.^^

leeho730 님/  저도 다른 스포츠를 즐기는 데... 어쩔 수 없는 거 같긴 해요.

kucky™ 님 그냥 억지 부리고 싶어졌어요.^^;; 쪽국 말씀하시니까 좀 곁들여 말씀드리고 싶은 건,

쪽국애들은 '자기화' 시킬 뿐만 아니라 원래 자기네꺼 처럼 얘기하죠. (죄송합니다. 제가 쪽국이 너무 싫어서요;;;)

네~ 우리화 시키는 거 저도 찬성입니다.

 

오징어

2011.09.15 23:16:27
*.178.29.211

고유명사는 고유명사로 쓰는게 좋다고 생각합니다.

 

외국 원서를 번역한 한국어번역서를  볼 때 괜히 한국말로 바꾼다고 바꾼 것들은 더욱 혼란만 일으키죠.

 

만약 그것이 외국에서 처음으로 기원했을 경우에만요..

 

우리나라 교육도 지금 이것이 문제 입니다.

 

수학용어, 영어의 문법 용어...

 

그냥 영어로 받아 들이는 것이 더 편합니다.

 

예를 들어, 도함수라는 것을 어떻게 받아 들여야 하나요. 한자로 모두 분석해서 뜻을 알아야만 알 수 있는 것들인데요..

영어에서는 품사, 도치, 등을 들 수 있겠군요...의미 자체의 뜻이 너무 모호합니다.....

 

그냥 외래어는 외래어로 오는게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단어들이 꽤 많이 없어지겠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52
1082 코로나 시즌에 보드 타시나요? [43] 잭슨파이브 2020-09-29 7 6482
1081 자켓없이 영하의 추위를 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25] 걸어서 휘팍... 2010-01-07   6476
1080 무주리조트에 바라는 것들 [39] 영팔보더 2008-08-08 47 6466
1079 봄철시즌이 보드 실력 늘리기 좋은 이유. [21] 사모보더 2007-02-21 62 6457
1078 프리와 알파인 [16] Rider_moon 2011-02-15 1 6450
1077 숏카빙시...역엣지.. 의견점.ㅠㅠ [16] 읭? 2011-01-17   6443
1076 새장비에 대한고찰(rev) [18] 대밈 2015-12-27   6433
1075 셔틀버스 의자 뒤로 젖히는 것은 어디까지 가능한가요? [69] 그런데..몽 2018-12-26 3 6432
» '영어로 길을 잃다.' 이대로 좋은가? [10] 새파랑 2011-03-04   6425
1073 싸이월드 모 클럽가보니,,, [19] 말랑보더 2011-01-04   6403
1072 여러분들 생각에 최적의 스키장을 고르는 기준과 나의 베이스는? [54] J.routine 2017-09-18   6392
1071 리쉬코드 없이 보딩하는 것은 아주 창피한 일! [27] 소년인남자 2012-02-13 8 6377
1070 알파인보드vs프리보드 [43] 아픈녀석 2019-12-30   6375
1069 뒤 에서 와서 충돌 하였다면 .........(초급,중급,상급 슬로프 상관없이) [19] 최훈태 2011-03-11   6373
1068 헬멧 걸쳐 쓰기.. 과연 안전한가? [18] 푸른산호초 2009-12-18 3 6367
1067 플럭스 바인딩 적정사이즈! 권장사이즈? [7] 불타는연습 2017-10-22 3 6360
1066 프로보더의 정의? [15] 맨땅에서트릭 2011-02-09   6338
1065 겨울철 시즌보험 vs 일상배상책임보험에 대해서 [13] 네스 2014-10-09   6332
1064 스노우보드 시장이 너무 작나? [11] 시로마 2007-04-09 46 6327
1063 아이들좀 지켜주세요~ 제발 [57] 2년만참자 2010-12-28 1 6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