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제가 이번에 이직을생각하고있어요..
근데 지금상황이 좀 답답하고 고민이많이되서 헝글분들께 조언좀 구해보고자올려요..

30대초반 미혼여성이구요 직종은 보건계통이구 전문직이며 병원에근무합니다.
지금 경력 8년차인데 연봉 3000정도(세전)받아요
많이작은편이죠ㅠㅠ
근데 여기는 정규직이고 여기서만 일한지 6년째되서 환경적으로 많이 안정적이고 무엇보다 같이일하는 사람들이 너무좋아요.. 거의 가족같은분위기~
근데 업무가 너무 힘듭니다..
주 2-3회 야근은 기본이고 (수당전혀없습니다..)
매 시기시기 갑자기 빵터지는 큰 일들이 많이생겨요..
솔직히 사람들관계는좋아서 오래다니고싶은데 일적인스트레스를 너무많이받습니다..

근데이번에 7급 일반임기제공무원(보건직) 공고를 보게되서 한번도전해볼까하는데 아마 경력으로 호봉 인정받게되면 7급 6,7호봉정도될거같습니다.
(근데 임기제 공무원도 경력인정해주나요? 그것도궁금해요;;)
 
여기는 공고상으로는 상한액 5200~ 하한액 3700정도라고 써있더라구요,
근데 전 하한액이라는게 무조건 저 연봉 이상을 주는거라 생각했는데 그게아닌거같더라구요..
그래서 7급 6-7호봉 정도면 연봉이 얼마나되는지 아시는분들있으면 답변 부탁드려요^^;

그리구 임기제이기때문에 2년단위로 연장해서 최대 5년이라고 되어있던데 그럼 5년이 지나면 무조건 나가야하는건가요? 
아니면 5년후 재 임용이 가능한지, 그렇다면 다시 처음 들어올때처럼 호봉이 낮아지는지 아니면 그간의 경력이 인정되서 호봉이 올라가는지?

요약해서 정리하자면,
1. 일반임기제 7급의경우 이전직장의 경력을 인정해주는지? 그렇다면 6-7호봉에 해당되는 연봉과 실수령액이 어느정도인지?

2. 임기직이면 기간이 만료되는 5년이후 재임용이 가능한지? 재임용 가능할경우 경력인정받아 올라간호봉으로 받을수있는지?

3. 과연 제 상황에서 이직하는것이 옳은결정인지..


인생선배님들의 진심어린 조언과충고 부탁드려요^^;
미리감사합니다!~

엮인글 :

비로거

2015.02.28 21:15:14
*.226.200.191

죄송합니다만
공고한 곳에 문의하시는게 빠를듯..
그후에 다시 질문하시면 좋은 댓글 있을겁니다
하나만 말씀드리자면
님의 장래에 결혼여부도 결정에 중요 요소가 됩니다

*HOLIC*

2015.02.28 21:21:58
*.62.162.21

아.. 아직 면접전이라 그런걸 직접적으로 막 물어보는게 좀그렇다고생각해서 혹시 헝글에 공무원분들도 계실거같아서 여쭤본거에요.. 결혼은 좋은사람 생기면 바로해야죠^^;;

( ``0 쳐묵쳐묵)

2015.02.28 21:18:09
*.33.178.80

저라면 이직 안함

근무 환경 편한게 제일인듯

삼천이 많은 돈은 아니지만 적은 돈도 아님

*HOLIC*

2015.02.28 21:23:59
*.62.162.21

사람들은좋지면 일이 안편한게 함정이에요ㅠㅠ
일주일중에 3일이상은 야근을해요...
그렇다고 수당이있는것도아니구...

헥토르

2015.02.28 21:48:36
*.111.178.119

금액적으로 보자면, 공뭔 7급이면 연봉3천에 비견될 바는 아닙니다..
갠적으로 돈으로만 보자면 연봉 오천할래? 공뭔 7급할래하면 전 공뭔 합니다..
문제는 고용안정성인데, 그 부분을 잘 알아보심이 좋을 듯 합니다..
고용 보장이 안되면;;;;

코피쑤한잔

2015.02.28 23:54:03
*.148.154.132

먹고사는게 다 그래요.

힘내세유 퐈이얍

덜렁이

2015.03.01 09:40:00
*.80.241.171

너무 김치국부터 마시시는거 아닌지...


7급 공무원이라면, 특히 중앙직이라면, 

이미 내정자가 있거나 (전임자) , - 일단 신설되는 자리가 아니라면 무조건 전임자가 있는거고, 거의 가능성 없음. 

경쟁이 치열함. 최소 석사 이상 학위에 관련분야 '업적'이 있어야 함.

   프로젝트를 진행해서 구체적인 성과가 있었던 사례, 저서, 수상실적...

   그냥 중소 병원에서 주욱 일한 경력만 가지고는 어림없어요. 유명한 대학에 학과 수석 졸업해서 메이져 병원 경력 정도면 가능하려나?


지방직 신설되는 곳이라면 조금 가능성을 올라가니 한번 지원해 보심도 괜찮아요.

그래도 산간벽지 근무 아니면 수십대일은 각오 해야 함. 

TruckDriver

2015.03.01 09:46:46
*.62.172.39

우선 합격하시면 한번 생각해 보시는것도 괜찮을것 같네요.

이런 일들이 미리 내정자가 있는 경우가 있는 경우도 있다고 알고 있네요.

(공고만 내놓고 전임자를 다시 채용한다거나, 아는 지인을 뽑는 경우가 많다고;;)

노출광

2015.03.01 13:19:52
*.156.234.201

사람들이 공무원 할려고 노력하는 이유가 있죠.       추천드리고 싶네요. 

합격 못하면 하던거 계속 하시면 되구요.  

푸헹

2015.03.02 02:23:44
*.88.203.189

임기제공무원이면 그냥 일반 계약직이라고 생각하시고 고려해보셔야할듯합니다.

연금수급권은 20년이상 근무를 했을 때 생기는 거라, 공무원연금은 생각하실 필요 없는 것 같고

사실 재임용은 장담할 수 없는게 자리마다 상황마다 다른거라서요.

아마 같은 직렬에 있는 사람을 어떻게든 수소문해서 상황을 알아보시는 게 좋을듯합니다

근데... 공무원의 장점인 연금, 고용안정성이 빠지면 사실 큰 메리트가 없지 않나요?

경력인정은 모르겠고요, 7급 기본급  160 정도에 1호봉마다 7~8만원 더 받는다고 생각하시면 돼요.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8년이나 근무한 안정적인 직장에서 아무리 공무원이라지만 계약직으로 이직하는건데

손해가 아닌가 싶습니다. 2년 공무원 근무경력이 이후에  다른 직장으로 옮기는 데에 플러스가 된다면 몰라도요. 

파양파

2015.03.02 10:09:00
*.247.149.100

일단 합격하고 고민하세요...

 

고민할필요도 없는것같은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379
46399 벤츠e300과200차이? [7] 디카프리오~! 2017-01-14 11187
46398 SUV 뒷자석뺀 트렁크에 드럼세탁기가 실릴까요//ㅅ// [14] 깃쫄깃쫄 2016-01-11 11180
46397 아이폰 핫스팟기능으로 데스크탑(pc) 인터넷 연결되나요?? [2] 춘뱅 2011-05-04 11166
46396 26살 백수,,,폴리텍 가고싶은데 인생선배님들 질문드립니다,,, [22] 강촌나뭇잎보더 2016-02-16 11151
46395 친한 친구 축의금 얼마내시나요? [16] 축의금 2011-10-19 11137
46394 손톱이 다시 안자랄수도 있나요? (약간 혐짤주의요) file [3] 병원가세요 2012-01-13 11135
46393 술 개인거래는 불법인가요?? [16] 또자야~ 2018-08-19 11111
46392 차량 내부 스팀세차? update [32] NoMad 2010-10-30 11073
46391 한국에서 해외로 로밍폰에 전화 걸때요.. [5] Todd_814745 2014-02-12 11064
46390 상대방 핸폰 통화내역 조회 할 방법??ㅠ [9] 1234 2011-04-06 11061
46389 여자번호따고나서..누님들의 답변이 절실합니다. [18] 쿠킹호일 2013-05-28 11013
46388 영상편집시 베가스 쓰시는 분들께 질문드립니다. (렌더링설정) [3] 노니장독 2012-12-05 11011
46387 Qm6 가솔린 [20] 독고다이보딩 2018-01-16 11008
46386 아이폰 캘린더 이벤트 삭제?? [1] 캘린더초기화 2011-12-06 10964
» 연봉3000 병원 정규직에서 7급 6-7호봉 일반임기제 공무원으로 이직, 어떻게... [11] *HOLIC* 2015-02-28 10960
46384 혹시 서울에서 성게알 살 수 있는곳 있을까요? [9] 유령보드 2015-02-23 10942
46383 갤럭시 노트5 무한재부팅? [8] 밥주걱 2016-01-15 10931
46382 파노라마썬루프..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25] 파노라마 해... 2013-10-21 10920
46381 저희 개가 다른개를 물어 다치게 했는데 배상범위를 어느정도 선까지 해야할... [40] 진도리도리 2014-03-21 10885
46380 모하비 Vs 티구안 [12] 마이카 2011-02-07 108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