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슨 뚱딴지 같은 소리냐 하시겠지만..

운전자도 처음에는 임시 면허로 하지 않습니까(초보자)!

적어도 정상적인(제어 가능하며 시야 확보 가능한)운전이 될때 정식 면허를 주는것처럼요..

그래서 스키장 안전 사고 문제를 이용자간의 문제로만 몰고 가는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교통 사고의 경우도 자주 사고가 발생하면 도로 구조상의 문제점을 따져서 정부에 소송을 하지 않나요?

스키장도 고객이 원한다고 무조건 뒷짐지고 나몰라라 방관만 하지 말고 적극적으로 통제를 했으면 합니다.

상급자든 초보자든 양쪽 모두를 위해서 필요하다고 봅니다.

헝글링 하루만 해도 사고로 인한 억울함을 호소 하는 글이 너무 많고 다치신분들은 몸 아프고 사고 책임 문제로 이중고를 겪는(고통사고와 비슷) 문제가 계속 되풀이 되는데.. 원인을 찾아서 예방한다면 어느정도는 가능할거라 생각합니다.

분명 내가 돈내고 내 마음대로 이용할 수 있는 시설에서 무슨 제재냐고 하실분들 있을겁니다. 하지만 조그만 더 생각해 봅시다..

서로 다치는것보다는 조금씩 양보 하는게 더 안전하게 원하는 보딩을 오랫동안(이게 젤 중요하지 않을까요?)할 수 있다는걸..

욕심을 조금씩만 줄여도 큰 사고는 나지 않을거라 생각합니다.

전 최상급자(휘팍 베이스 / 챔피온)는 잘 안 탑니다. 자세도 불안정하고 재미가 없기 때문이지요..
또한 100% 컨트롤은 어느 슬롭에서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자동차 ABS(이것도 속도에 따른 제동거리가 틀리죠)라고 해도 안되는 급 브레이크가 슬롭에서 되겠습니까!

지난번에 뒤에서 슬립이 나면서 저한테 들이대는 분이 있어서 급하게 점프로 피하긴 했습니다만.. 말하시는게 "난 멈췄는데 누가 옆에서 친거 같다"라고 하더군요..

최상급자 코스에서 탄다고 잘탄다고 하는 사람은 보딩을 모르거나 초보자이거나 그럴겁니다..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슬로프에서 즐기는 보딩 문화가 생겨나길 바랍니다.
엮인글 :

D.S.

2006.12.18 21:47:29
*.183.27.33

예전에도 나왔던 말이지만 초보권이라는 초(중)급권종을 만들어 조금이라도 싸게 파는 거지요. 물론 해당 권종으로 이용할 수 있는 슬로프는 초급 또는 중급까지로 이용을 제한하는 것이구요. 갓 배우신 분들이 굳이 전체 이용가능한 리프트권을 비싸게 주고 살 필요도 없고, 위험하게 상급 슬로프 올라와 자신이나 남에게 피해 주는 일도 줄겠지요.

물론 이 방법도 그리 실현 가능한 방법은 아니라고 봅니다만,

저도 그렇지만 중급정도에서 타는게 가장 재밌지만 역시 인파때문에 어쩔수 없이 상급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가 많지요.
초보분들 또한 그게 싫어 보다 사람없는 슬로프로 이동하려는게 현재 리조트 실정인 것 같고, 배째라 운영으로 일관하는 우리나라 리조트가 협조할리가 없다는 점.

아무튼 급증하는 보드장 사고에 대한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보여집니다. 대체로 혼자 다치는 경우보다는 충돌로 인한 사고가 많이 나는 것을 감안해 볼 때 우선적으로는 주말 같은 경우 대책없이 무제한으로 받아 들이는 리조트쪽의 책임이 가장 크다고 봅니다.

작년에도 모 리조트에서 주말에 강습인원을 풀어놓고 상급슬로프에 날아 다니는 보드하며, 걸어내오는 사람, 보드에 앉아 썰매타는 사람, 보드에 맞아 다치는 사람, 충돌사고 등등 슬로프 개판이 이었던 적이 하루 이틀이 아니었습니다. 이게 모두 사용자들의 과실이고, 안전의식, 예절의 부재가 원인일까요?

방종한 리조트에게 무언가를 자발적으로 바라는 건 이제 포기해야 할 것 같고, 공권력이 개입되어야 할 정도의 시점이 아닐지.

예를 들어 리조트 별로 한계 수용인원을 규정하고 요즘 스키장 다들 홈페이지 가지고 있고 모바일쪽도 활성화 되어 있는데, 아예 보증금을 얼마정도 건 사전예약제를 도입해 한계인원이 되면 예약을 중지 시키는 것도 방법이겠군요. 사고시 보드장에도 운영미흡의 일정 부분책임을 전가시키는 것도 보드장의 정상적이고 안전한 운영노력을 강제 할수 있을 것 같구요.

기타 스키경찰을 파견해 사고시 슬로프에서 바로 접수한다던가, 패트롤을 좀 더 전문적으로 교육해 슬로프에서만은 임시로라도 제한된 공권력을 부여 한다던가, 사고발생시 과실비율을 자세히 산정해 놓고 적극 홍보해 경각심을 일깨운다던가...

정말 말로만 고객이지 사고에 대해 아무런 대책도 없고 책임도 지지않는 리조트들. 아잰 말로나 협상으로는 들어 먹을 것 같지도 않고 공권력으로 강제하는 방법밖에는 없다고 봅니다.

DeadHippiE

2006.12.24 11:31:41
*.9.24.73

면허.....

장농면허도 무시할 수 없다고 봅니다ㅡㅡㅋ


게다가... 그 많은 인원을 교습시키려면.... 실내 보드 연습장이라도 생겨야 할라나요?

이른새벽별

2006.12.24 15:51:11
*.142.25.41

겁없는 초보도 문제지만 겁없는 어설픈 트릭맨 들이 더 문제던데... 서로서로 조심조심 타야지... 이걸 제도로 해결하려 그러는게 더 이상하내요.

kaien

2006.12.26 17:24:14
*.124.124.12

한 스키장에 슬로프 갯수가 엄청나게 많다면 가능하겠지만....좀 ;;

red-i

2007.01.01 12:11:45
*.170.108.135

면허를 딸라고 하면 연습을 해야되는데... 차운전같은건 동네 운동장 같은대서라도 한다지만 스키나 보드를 야산에서 운동할순 없으니 ..그리고
주변에 잘타는 분이 있는데 구지 스키장에서 강습을 받으라는 것처럼 되서 불만이 좀 많을텐데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61
1242 원초적인 질문~ 무엇때문에 스노우보드를 즐기세요? [20] 바람난당근 2005-12-14 38 2076
1241 전 헝글게시판에 관하여.. [3] 에이스호야 2006-12-23 91 2078
1240 [[[결론]]] [4] 고무신껌[춘천] 2004-01-04 35 2080
1239 후드티 교환&환불에 대한 저의 생각...? hynix™ 2004-01-03 53 2081
1238 정말 명장 밑에 약졸은 없는 걸까? [9] 론리보더 ~ ♪ 2005-09-26 41 2082
1237 지산 리조트 모글 코스 보드 출입 금지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은? [18] 자르자 2013-01-07 1 2083
1236 헝글 사이트에 기능하나 추가했으면 좋겠어요 [15] 스노보더 2006-07-12 47 2083
1235 헝글게시판이 개편되야 할것 같군요.. [10] 8광 2006-01-15 44 2084
1234 운영자님 헝글 쳇팅방을 만드는게 어떨까요?? [5] FLY......... 2006-10-09 50 2085
1233 새로바뀐 장터계시판.. [14] so what 2006-01-19 49 2089
1232 대명 파크시즌권에 대한 생각이 어떠신지요? [3] 한라산보더 2006-01-22 48 2089
1231 [re] 운영자와 이용자의 갈등? [2] 정덕진 2003-09-25 44 2090
1230 헝그리 보더 공구 보호대 사이즈에 대하여. [18] 주먹불끈 2003-12-24 46 2090
1229 [re] 버튼 지정딜러에 대한 부분입니다. [4] [imp] 2003-11-04 44 2093
1228 바인딩과 부츠의 유격문제에 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씀다~~ [5] 풍운보더 2004-02-14 23 2093
1227 [re] 장비의 평가에서 중요한점 한가지..... [1] 雪國 2003-10-27 46 2093
1226 중고용품 환불에 대한 헝글님들의 생각은? [15] K보더 2004-01-07 48 2095
1225 [re] 항의에 대한 공식사과문 받기위해.. [1] 권오형 2004-01-21 43 2096
1224 [장비업그레이드]과연 얼마만에 하는게 좋은것인가.. [6] 메탈.... 2003-09-25 52 2096
1223 물물교환방 <== 요론건 어떨까요? [13] 레이아이 2006-04-19 54 2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