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빅에어
점프하나를 가지고 기술을 펼쳐서 점수를 받는 경기종목 입니다
규칙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대중적인 규칙을 보면 투런베스트,쓰리런중 투런 합산이 있습니다. 전자의 경우 올림픽이나 월드컵 예선에 쓰이고 후자의 경우엔 보통 결선에 많이 이용합니다
그리고 잼 형식이 있는데 이 경우에는 정해진 시간동안 순서 상관없이 선수들이 계속 점프를 뛰는 형식입니다.
잼 형식의 경우 런에 제한이 없어 부담이 없을수 있으나 시간에 쫓기는 경우도 있고 쉽게 선수들이 흥분상태가 되기 때문에 어찌보면 위험한 방식의 형식입니다

2.슬로프스타일
여러개의 점프와 여러개의 레일과 기물을 타면서 내려와 점수를 따내는 종목입니다. 대부분 투런 베스트로 이루어 집니다.

3.하프파이프
파이프를 반 잘라놓은 기물안에서 점프를하여 점수를 따내는 종목입니다
보통 다섯번에서 여섯번정도의 점프가 이루어집니다. 예전에는 기본 베이직에어 혹은 에어쿠페이키나 알리웁등 스트레이트 점프를 하나 런에 넣었어야 했지만 현재는 그런 규칙이 사라져 모든 런에 스핀을 넣어도 되게 되었습니다
엮인글 :

후리수타일

2019.11.13 20:07:14
*.223.14.249

지난번 평창 때 여러 선수들이 동시 출발해서 장애물 등 넘으면서 들어오는 경기가 있었던 것 같은데.. 그 경기는 무언가요?

비보단눈

2019.11.13 21:24:49
*.70.14.68

그건 보드크로스라고 합니다 프리스타일 이라고도 하긴했었는데 어찌보면 기록으로 싸우는 종목이기 때문에 요즘에는 프리스타일이라고 칭하지 않는경우도 있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슬로프스타일의 점프와 알파인 보드의 기록 싸움이 섞인 종목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후리수타일

2019.11.13 21:27:21
*.108.104.167

와. 해박한 지식에서 나오는 답변에 감탄하고 갑니다. 감사해요.

캡틴아메리카

2019.11.14 19:43:41
*.96.109.26

좋은 정보는 추천 입니다 ! 

GATSBY

2019.11.21 10:21:48
*.149.242.189

보드크로스에 대해선 잼나는 일화가 있지요.

1990년도 중반 당시 미국에서는 프리스타일의 스타일이 강세였고, 스위스 같은 유럽에서는 알파인 같은 기록 종목이 강세였지요.

미국 -> 유럽 = 점프도 못뛰는 치킨(겁쟁이) 녀석들.

유럽 -> 미국 = ㅈ나게 느려터진 날라리 녀석들.

한판 붙자. 해서 나온 종목이 보더 크로스 구요.

이 종목에 대해 엄청 웃기는 해프닝도 많았지만.....ㅋㅋㅋ

이 종목 때문에 나온 스노보드가 햄머헤드 입니다.

비보단눈

2019.11.21 12:30:16
*.223.11.69

재미있는 이야기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78

기타 태어날때 부터 갖고 있는 자신의 타입 알아보기 [16]

기술(테크닉) 라이딩에 작용하는 힘의 원리-<1.라이딩의 ... file [16]

  • Lunatrix
  • 2010-11-18
  • 추천 수 15
  • 조회 수 13372

장비 튜닝 100% 수제 고글 만들기!!!!!!!! [114]

  • 아말피
  • 2009-11-29
  • 추천 수 63
  • 조회 수 13341

기타 동두천에 위치한 미군 도깨비시장의 약간 정... [20]

  • Spike-Z
  • 2003-12-04
  • 추천 수 9
  • 조회 수 13304

장비 튜닝 버튼 EST 바인딩 셋업 방법의 모든것!! by ... file [17]

절약법 아직도 비싼 홀덴 구입이 고민이세요? 그럼 ... [32]

초보를 위한 강좌 바인딩 각도와 스탠스 길이에 따른 고찰 [23]

  • 날틀성
  • 2003-02-15
  • 추천 수 44
  • 조회 수 13197

헝그리 캠페인 리프트 탑승 시 데크를 들고 타는 것에 대해... [196]

기술(테크닉) 바인딩 스탠스와 각도 [13]

일반 프리에서 알파인 보드로 처음 타봤습니다...... [37]

  • 방통
  • 2009-01-05
  • 추천 수 53
  • 조회 수 13078

기타 헬멧 굴곡진 부분에 시트지 붙이기 file [37]

  • June★
  • 2010-11-10
  • 추천 수 0
  • 조회 수 13068

장비 튜닝 셀프왁싱 대박 스크래퍼 발견 !! [24]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4.차는 턴 file [35]

  • Lunatrix
  • 2017-01-13
  • 추천 수 66
  • 조회 수 13003

일반 프레스 컨트롤 file [30]

  • 선근유
  • 2016-02-17
  • 추천 수 71
  • 조회 수 12930

기술(테크닉) 스위치 라이딩을 위한 덕스탠드의 개인적인 ... [22]

  • 난다김
  • 2008-12-16
  • 추천 수 61
  • 조회 수 12910

기술(테크닉) 전향자세의 커리큘럼 두번째 (다운자세 1) file [14]

  • 천현민
  • 2017-12-14
  • 추천 수 42
  • 조회 수 12889

장비 관련 스노우보드 부츠인솔(깔창)의 효과 file [51]

  • 삼촌1호
  • 2013-12-31
  • 추천 수 27
  • 조회 수 12876

장비 튜닝 헬멧 도색기(총정리) [9]

장비 관련 올바른 스노보드 세팅법에 대해서 [19]

  • 정덕진
  • 2007-03-15
  • 추천 수 29
  • 조회 수 12863

헝그리 캠페인 꽃보더 되기 13계명 (간지보더들의 염통을 ... [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