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팅만하다 도움이 될까해서 글 적어보려 합니다.
요새들어 묻고답하기쪽에 해머입문데크추천글들이 많은데요.
막연히 시막노멀, 데페우드, 비씨알투, 오가사카의 뭐 등등 이런제품이 좋더라는 사실 의미 없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가장 먼저 봐야할건 본인의 실력을 알아야 합니다.
프리스타일을 타셨으면 플렉스 어느정도의 데크를 사용하셨고 어느정도의 라이딩을 구사할수 있으며 그 데크의 강점은 무엇인지 정도를 알고 계신다하면 다음 해머를 선택하실때 도움이 많이 될것이라 봅니다.

두번째로는 어떠한 해머보드를 타고싶다를 생각을 하셔야합니다.
그립력, 리바운딩, 고속라이딩 등등 원하는방향을 알고 계신다면 그러한특성에맞는 데크를 찾는게 좋다고 봅니다.

세번째로는 중복투자를 할것인지 하지않을 것인지 생각을 하셔야합니다.
저는 한때 이제품 저제품 다타보고 싶어서 이거저거 구입을 해서 탓던 경험이 있습니다. 만약 그런 마음이 아니라면 확실히 정하시는게 좋겠지요.

한가지 팁 일수도 팁이 아닐수도 있는 정보 하나만 적겠습니다.
땅콩보드(프리스타일)을 타다가 입문으로 티탄을 타는 친구도 보았고 천천히 우드부터 타고 티탄 카본 다타본친구도 보았습니다...
둘다 땅콩보드 카빙까진 무난히 했던 친구들이었고 새로운 해머를 탈때는 항상 슬턴부터 다시 연습합니다. 해머 우드를 썻던친구 또한 티탄이나 카본해머를 구입해 새로이 탈때도 슬턴부터합니다.
제가 말씀드리고 싶은건 처음으로 해머티탄을 타던 우드를 타던 사실 기본기 부터 처음부터 하시는게 좋습니다.
티탄데크를 입문으로 사서 기존 프리스타일처럼 타시려 하는거 자체가 말이 안돼는 행동이라봅니다. 슬턴부터 다시천천히 하시면 결국 됩니다.
막연히 묻답에 입문해머데크 추천좀 해주세요 하셔도 사실.. 다들 타본데크른 추천할겁니다.. 결국에는 구매자분이 직접 이 데크가 왜 입문에 좋고 특성이 무엇이며 내실력에는 어느정도 단계까지 커버가 가능할거다 라는걸 알아야 한다는 겁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엮인글 :

MysteriousEyes

2020.09.18 19:49:41
*.199.242.56

재밌게 잘읽었습니다~

보드는선간지

2020.09.18 20:03:27
*.38.8.11

추천드립니다

Ellumi

2020.09.18 20:09:55
*.108.5.210

칼럼이 더 어울리는 글이므로 ㅌㅅ

쏘레비

2020.09.18 20:26:43
*.235.24.174

저와는 다른 생각을 갖고 계신분들분들께 부탁하나만 드리겠습니답~~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보드를 타면서 배우는 배경도 다 다르다보니.. 없지않아 제가 적은글을 주관적으로 쓴것 같아서요

Ellumi

2020.09.18 20:36:11
*.108.5.210

맞는 말씀 적으신거 같아요.
장비의 특성을 알아보는 것 자체로도 많은 공부가 되기도 하죠.
허나 대부분 입문하시는 분들은 너무 많은 해머데크가 있으니 뭘 봐야는지 모르겠고 막연해서 질문하실거라 생각해요.
남들이 좋대서 무작정 사는게 아니라 그 분들도 좋다고 추천 받은것 중에서 공부하셔서 사리라 봅니다.

Ellumi

2020.09.18 20:36:53
*.108.5.210

또한 기본부터 해야한다는 것은 어느 스포츠에나 다 적용되는 말이기도 하죠.

쏘레비

2020.09.18 20:39:28
*.235.24.174

너무 좋은 답변인것 같습니다. 추천받고 데크특성공부해보고 자기가 타고싶은 방향성에 맞는다면 너무 좋은것 같아욥~

휘고

2020.09.19 20:34:59
*.70.16.68

여기서 물어보시는 분들의 대부분이 첫번째와 두번째는 생각도 못하실정도의 초보자분들이 대부분일거같아요 ㅎㅎ 세번째는 저도 크게 동감하는바 입니다. 다만 저는 개인의 안전을 위해 중복투자룰 권유하는편이예요 ㅎㅎ 안전이 최고죠

지누지누_

2020.10.01 17:52:44
*.143.69.66

조언 명심하여 차근차근 기본기부터 다져가겠습니당 ㅎㅎ

날부마

2020.10.09 15:29:42
*.54.44.120

슬턴부터 다시 한다고 하시는데 해머 전향에선 그걸 테일스윙으로 부르지 않을까 합니다.

쏘레비

2020.10.09 15:40:26
*.235.24.220

전 테일스윙은 다르게배웠는뎁.. 같은건가용?

날부마

2020.10.09 16:42:47
*.54.44.120

굳이 분류를 하자면다른거지만 처음부터 다시 배운다는 전제하에..........


 슬라이턴도 인터미디어 등 여러가지가 있으니 그걸 굳이 분류를 다 할 필요는 업다 생각해요

쏘레비

2020.10.09 22:33:25
*.235.24.220

오홍~ 고맙습니다~ ^^

쏘레비

2020.10.09 22:33:59
*.235.24.220

오홍~ 고맙습니다~ ^^

꼬옥미남

2020.10.22 15:50:30
*.235.3.172

해머 접하시는 분들한테 명쾌한 글 같습니다^^

태디

2020.11.08 00:29:06
*.223.23.142

d탑승

디케90

2020.12.15 01:38:44
*.144.43.213

좋은 글인거 같아요 ㅎㅎ 기본이 되야 무슨 장비를 타든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무리하게 처음부터 해머타서 너무 힘들었었는데 라운드데크타고 더 보드가 재밌어졌거든요 ㅎㅎ

그리고 나중에 해머타고 느낌도 다르고 익숙해지고 기본기 좀 더 다져져서 해머타도 무리가 없구요 ㅎㅎ


저도 처음엔 기본기끝내고 해머데크 하는게 좋다고 경험상 그렇네요 ㅎㅎ

추천합니당 ~

칠백팔십원

2020.12.21 02:50:07
*.235.222.74

기본부터 해야되는거는 몇번을 들어도 옳은 소리인데 슬턴은 기본기가 아닌것 같아요.

애들아범

2021.08.08 14:52:46
*.54.117.85

좋은글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50
1302 3년후의 헝그리보더.컴은? [46] 론리보더 ~ ♪ 2009-03-17 90 7922
1301 그라운드 트릭 위주의 보드 문화 [26] 사모보더 2007-03-07 89 7292
1300 직장인 보더의 스킬향상 방법 [25] 기고라이더 2007-09-18 88 8750
1299 라이딩용 데크 트릭용 데크 지빙용 데크에 관하여 토론및 추천 [42] 다시가입 2007-08-27 87 7101
1298 스노우보드 대회때 관중이 왜 이렇게 없어요? [29] Mlll 2007-10-29 87 4912
1297 한국의 실내 보드장의 미래?라고 해야 하나? [15] 대장곰보더 2007-05-25 87 5484
1296 타이거월드에 대해 토론좀 합시다. [35] 한여름밤의콥슨 2007-07-22 85 9269
1295 "부드러우면서 탄성좋은 데크란 절대 존재할 수 없다"란 생각입니다.^^ [11] 노숙보더 2003-09-18 83 5251
1294 중고장터에 관하여! [9] . 2007-02-02 82 3642
1293 헝글 각 게시판의 성격에 맞는글 쓰기.. [13] 터프가이 2003-09-18 82 5854
1292 스노보드대회를 개최한다면... [14] 비타민보더 2007-11-06 82 2973
1291 "보드장소식"에 올라오는 설질 평가 [16] 밤에피는 장미 2007-03-13 81 4823
1290 이번 시즌 최고로 헝그리하게 보드 타는 방법을 토론하고 싶습니다.. [19] 우비보더 2003-09-23 81 3998
1289 보드 기술 선수권 대회를 하면 어떨까? [4] 사모보더 2007-03-14 81 3501
1288 파이프에서 POP 과 관련하여.... [18] 빅베어보더 2007-01-12 81 2929
1287 카본재질의 하이백 파손은 사용자의 문제인가? [17] **션** 2007-03-14 80 5319
1286 샵들의 이벤트 당첨자 추천에 대한 의문 [10] 에지없는보드 2007-02-08 80 3399
1285 무료버스 [19] 프리스타일 2007-10-01 80 4350
1284 [펌] 한국과 일본의 스키용품 가격 왜 비교가 되나.. [10] 미친스키 2007-03-18 79 7156
1283 시즌을 마감하며 올해 보드 뉴스 탑10 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2] ⓒⓗⓡⓘⓢ™ 2007-04-01 79 39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