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 전부터 궁금했던 bindingless snowboard

 

외국 영상을 보다가 여러가지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물론 edge가 없으므로 거의 powder용이라고 보면 됩니다.

 

일반적인 binding이 있는 파우더 보드보다 더 깊은 눈이 있어야 할까요?

 

컨트롤은 당연히 binding이 있는 것보다는 어려울 것 같고요...부상의 위험도 크지 않을까 싶습니다..

 (예기치 못한 보드에서의 wipe out시 그대로 눈에 쳐박히므로)

 

다만 뭐 백컨트리시에 사용을 한다고 하면...기존의 스노우보드를 사용하는 것보다는 가볍게 오를 수 있을 것 같구요..

(물론 스노우 슈 이용 시에)

 

또한 바인딩 있는 보드보다는 재미있으려고 한다면 급사가 필요하지 않을까(개인적인 생각입니다)_

 

그래서 체험해 보고 싶은데...가격이 다들 후덜덜하군요...ㅋㅋㅋ

 

타보신 분은 어떤 느낌일지 장/단점은 무얼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예전에 서울에 눈이 많이 왔었을 때는 스케이트 보드 폐데크로 내리막을 타기도 했었는데요

 

경비아저씨한테 혼났었어요 ㅎㅎㅎ 자꾸 그렇게 하면 미끄러워진다고

 

7~8년전만해도 서울에 눈이 많이 왔었는데

 

뭐 외국 동영상을 보면 diy로도 많이 만들기는 하던데

 

관심이 있으신 분은 함께 정보를 공유하며 만들어 보고도 싶은 마음입니다.. 다만 전 목공 관련 지식이 전무하므로...

 

목공관련 지식이 있으신 분의 도움이...ㅠㅠ

 

합판 몇개에다가 트랙션 패드 리시만 있으면 되는데 지식이 없으니 도전 엄두가 안나네요

 

아무래도 만들어도 눈이 많이 온 날만 쓸 수 있으므로 활용도는 그리 높지는 않을 것 같긴 합니다만

엮인글 :

GATSBY

2020.05.26 12:22:37
*.149.242.189

아마 서핑의 느낌이 강할 듯 합니다.

그리고 건설 파우더에서만 가능할 듯 합니다.


엣지로 방향을 컨트롤 하는 것이아니라 최대한 몸을 낮추고 몸의 기울기로 타는 것이죠.




TrustMe

2020.05.28 16:08:11
*.243.13.160

추천
0
비추천
-1

안녕하세요 bindingless snowboard 전문가 트러스트미입니다.

+

스켑같은 형상의 싱글덱도 있고

데크 아래 다시 데크가 결합된 바이데크 타입도 있습니다

파우더 전용인 서프보드 타입이나.

롱보드 아래 레일이 4개가 달린형상의 4X4 타입등 다양한 형태가 있습니다.
+

라이딩시 느낌은 

마치

이것은

오오

..

타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습니다.

죄송합니다.

버트심슨

2020.05.29 14:28:31
*.37.154.204

아니 이러시면 곤란합니다 ㅎㅎㅎㅎ타본적이 있어야 합니다 ㅎㅎㅎ

울트라슈퍼최

2020.06.02 13:48:22
*.122.242.65

스노우보드 발전사를 보면

버튼 최초의 보드가 딱 그런식 이었습니다.

그냥 아무것도 없는 데크앞쪽에 구멍을 뚫어 끈을 하나 단다음

끈을 잡고 타는 방식으로요.

황소아찌

2020.06.24 09:28:47
*.46.168.136

눈에서 타는 스케이트보드 같네용

theP

2020.06.25 22:28:33
*.62.175.224

Bi level snow skate 많이 타유..저두..
립텍꺼 한장 있는데..재밌어요 장점은 킥플립 힐플립 그리고 저속에서 하드플립 이나 팝셔빗 같은 스켑 트릭을 할수 있으나...전 후잡이라..ㅎㅎ

theP

2020.06.25 22:41:34
*.208.236.252

Snowskate 처럼 프리미어 사의 엣지 리스도 있고...
바이레벨은 정말 구성도 스케이트 보드와 비슷하고 타는법, 트릭도 같아서 추천 합니다만 리시코드는 필수 입니다 ㅎㅎ

theP

2020.06.27 09:49:51
*.62.173.113

https://www.lib-tech.com/39-twin-complete

눈이 많이 오면 도심에서도 충분히 가능 합니다 ㅎㅎ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73
1302 보호대(무릎, 손목,엉덩이) 선택 or 필수 [27] CoolLee 2003-10-12 52 2932
1301 리프트타기... [35] 뽀대소년 2003-10-12 40 2482
1300 바인딩의 무게가 보딩에 미치는 영향은?? [19] 애너미앳더... 2003-10-12 45 2530
1299 묻고답하기 및... 다른 게시판... [8] 캐스애마021123 2003-10-13 46 3222
1298 보드장VS스키장 [27] 구미호 2003-10-14 42 2700
1297 트릭 트릭 그라운드 트릭... [18] 사몽 2003-10-14 54 3423
1296 초보자의 상급 슬로프 이용에 대해... [28] 나반 2003-10-14 34 2685
1295 burton 비코어 와 병행 과연 정품의 의미가 과연 있을까? [35] [imp] 2003-10-16 43 2726
1294 스노우보드 취미 vs 직업 [16] 베캄 2003-10-16 46 2999
1293 헝글에서 글쓰기를 실명제로...... [21] seven 2003-10-18 50 2117
1292 만약 여러분이 샵에서 구입한 신제품이 일주일 정도 후에 같은 샵에서 할인을 시작한다면?? [14] ck 2003-10-19 38 2661
1291 프로는 상업적이어야 한다 여러분의 의견은 어때여? [11] ronin 2003-10-19 45 1941
1290 버튼을 선호하는 이유는 뭘까요? [49] ^^*보딩~~ 2003-10-23 33 4847
1289 [re] 버튼을 선호하는 이유는 뭘까요? [11] 빠이뿌 2003-10-24 45 2233
1288 최고의 풀라인업과 프로들, 그리고 컬렉팅의 매력입니다. [35] LossForcE 2003-10-25 40 2099
1287 [re] 장비의 평가에서 중요한점 한가지..... [1] 雪國 2003-10-27 46 2094
1286 느낌이 좋은 보드는? [2] ^^*보딩~~ 2003-10-27 39 2210
1285 데크선정의 우선순위는?! [44] 날아라 RIDE 2003-10-27 44 3244
1284 헝그리클럽에 대해서.. [8] 늘벗(^^)/ 2003-10-27 50 2240
1283 쓸데있는 글 & 쓸데없는 글 [26] ★레메 2003-10-29 49 2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