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쯤 전, 혼자 넘어져 쇄골 복합골절을 당한 후
보드는 위험한 운동이니 조심해야한다는 자각을 하고
가끔 부상게시판을 들여다보며 경각심을 유지하는 보더입니다...

게시판을 보다보면 안타까운 사고도 많고 경미한 충돌이지만 한몫 잡으려는 심보를 가진
사람들도 많아 늘 식겁하더군요. 범퍼끼리의 작은 충돌에도 뒷목잡고 드러눕는 자동차
사고 피해자처럼요...

이곳의 가해자는 어린 학생들도 많은데 사회경험을 참 더러운 것부터 시작한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또 가끔은 위중한 부상을 당했는데 목격자가 없어 난감해하는 경우도 보았습니다.
그래서 문득 든 생각입니다.

물론 스키장 보험이 가장 주효한 대책이 될 수 있다는 점은 논외로 치겠습니다.

이곳 커뮤니티의 이름으로,
스키장(뭐 그리 넓지도 않은 공간)에 카메라 설치를 요구하는 게 어떨까요?
그래도 가장 광범위한 보더들의 공간이고 직접적인 소비자들의 커뮤니티니 이정도 요구가 가볍게 무시될 것 같지 않다는게
제 생각인데요...

카메라 댓수와 시스템에 따라 다르겠지만 비용 역시 많이 잡아도 2,3억 미만일 듯한데요...

전 구간에 슬로프 블랙박스를 달아 사고를 당한 가해자와 피해자의 물적 증거로 활용하여 억울한 피해자가 안 생기면
소비자인 우리들에게 좋은 일일 것입니다. 이걸 시행해주면 이곳 차원에서 감사의 마크를 달아주고
초보자에게 배우기 좋은 리조트로 소개해주고... 충성도 높은 고객을 유치하고... 서로가 윈윈하는 뭐 이런... 프로세스죠.

즐기러 갔다가 사고로 시즌 접는 것도 서러운데 억울한 가해자가 되어 금전적 피해를 보거나
뺑소니 혹은 배째라고 하는 사람 때문에 어디가서 하소연도 못하는 일은 소비자인 우리만 당하는 게 조금 억울하기도 합니다.
결정적인 사고경위서를 작성하는 사람이지만 피해자와 가해자 사이에서 조율을 못하는 패트롤과
무성의한 의무실 운영하며 손놓고 있는 리조트 측도 자신들의 고객을 위해 어느정도 성의는 보여야하지 않을까요?

시즌 막판이라 얼마나 활성화될런지 모르겠지만, 평소의 생각을 풀어놓습니다...
엮인글 :

밑재

2010.03.03 01:20:18
*.50.137.195

막상 스키장에서 그렇게 다쳐도 결국 손님vs손님 합의를 봐야하는 곳이기때문에
스키장에서 아무이익 없는 일을 할것같진않습니다.


있으면좋겠지만 그넓은 슬로프를 갖가지 상황.안개 눈.비 등을 생각할때
시야가 보이기나 할련지..싶구요

이미 의무실만 봐도 할말 다한거죠. 매일 가는사람인 시즌권자가 주수입이아니라
가끔 씩 오는 손님들이 주수입인거니깐요.

뽀드득

2010.03.03 20:18:03
*.137.5.137

'') 낼 원정 안가요????
빨랑 자요~~~~

아키라

2010.03.05 17:09:41
*.59.5.103

각 스키장 웹캠만 봐도 안개가득하거나 비 눈오면 거의 보이지도 않는데;;;
사고나는게 보일정도로 카메라를 설치하려면 얼마나 많은 카메라를 설치해야할찌...
약간은 현실성에서 떨어지는거 같으네요...
그래도 있으면 좋겠다라고는 생각은 들어요 ㅎㅎ

사담후시딘

2010.03.09 02:01:02
*.208.239.170

굉장히 좋은 의견이라고 생각합니다.

꼭 그렇게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쉽진 않겠지만........

OhSean

2010.03.10 19:54:27
*.50.20.41

상당히 좋은 의견인듯 합니다.
스키/보드장도 안전관리 소홀이란 명목으로 많은 소송을 당하지 않나 생각해보면
현실성이 없어 보이진 않습니다.
헝글에서 누군가 액션을 취하면 콜~ 하겠습니다.

리벨리용

2010.09.06 15:58:10
*.104.28.161

항상 증거가 없어서 멱살잡고 언성높이는분들 많으셨는데
좋은생각이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59
1302 카시스타일로 헤머덱 [25] 쌈빡이 2016-11-01   11116
1301 '유령데크' 현명한 대처방법... [49] 짝퉁BD 2016-01-12 4 11075
1300 보드와스키의 충돌사고후 보상이 막막하여 분통터집니다.제발 읽어주세요.ㅠ file [33] 초코무비 2016-01-15   10950
1299 테크니컬 라이딩 != 전향각? [32] 빙보링 2018-01-02 20 10939
1298 라이딩시 옆에서 놀라 넘어지는 초보님들... [34] 결제와택배사이 2010-02-16   10930
1297 점점 헝그리해져가는 헝그리보더 [61] buillee 2016-10-17 53 10746
1296 스키보관사물함에 동전넣지 않고 세워 놓으면 타인의 장비를 던져도 될까?? [64] 재능낭비 2016-02-01 2 10653
1295 초보 강습에 대해 제가 정해드립니다. file [77] Gatsby 2011-12-14 20 10637
1294 시즌권은 미끼일 뿐이다? [27] 푸른볼펜연필 2007-10-19 67 10564
1293 길들이기 왁싱 꼭 필요한가요? [49] 써퍼 2016-11-07 4 10522
1292 페이키 라이딩에 유리한... [6] .. 2007-12-17 120 10461
1291 08~09 유행스타일?? [27] 뽕파이프 2008-08-14 73 10362
1290 리프트탈때 옆사람한테 말걸기... [44] 표짱님 2014-12-13   10348
1289 보드는 몇살까지 타야 눈치 안보고 탈수 있을까요? [62] 내장털리임 2014-10-20 1 10330
1288 망해가는 보드/스키 산업의 희망은 중국이다. [30] 크랙켈리 2021-07-08 5 10302
1287 헬멧 안에 비니 vs 오로지 헬멧! 무엇이 더 나은가요? [33] Passionist 2012-01-23 1 10295
1286 보드 강사 자격증에대해서 토론 해봅시다 [21] 잘타스키 2014-10-07   10294
1285 헤머는 노즈가 잘 꽂힌다? really ??정말?? [37] GrizzLy 2015-03-05 3 10290
1284 여친에게의 강습... 직접? 아니면 강사? [101] X-ray 2014-12-04   10230
1283 중급자가 레슨을받으면 실력향상이 많이되나요? [12] power21hyun 2015-08-27   101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