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저는 꽤 하드하다고 알려진 데크만 타는데요.
부츠도 하드한 쪽으로.
근데, 바인딩은 많이 하드한 바인딩에 비하면 약간 소프트한 바인딩을 쓴 거 같습니다.

지금 제게 2종류 바인딩이 있는데, 제목처럼 다른 브랜드 안에서는 가장 하드하지만 서로 비교하니 한쪽이 훨씬하드합니다.

이젠 대충 머리속으로 설면 상에서 반응을 시뮬레이션하거나 구현할 정도는 되는데요. 동작은 물론 바인딩 하드한/반응성에 따른 효과까지도요.
아직은 좀 부족하겠고 데이터가 충분히 쌓이지 않아 틀릴 수도 있겠지만요.

머리 속으로 수차례 굴려보니, 대충 이런 결과가 나왔습니다. 외경/기울기 라이딩 기준. *주로 전향.


1. 데크가 차체 프레임이 해당한다면, 대충 바인딩은 서스팬션/DCT?/미션 등에 해당하는 것 같다. (핸들은 대충..부츠)


2. 데크가 꽤 소프트한데, 바인딩이 꽤 하드하면 아마도 짧은 턴 빠르게 좌우 왔다리 갔다리 하는데는 좋을 것 같다.
그리고 소프트한 데크의 가로(데크길이축 반대)축
의 휨을 바인딩 셋팅된 곳 국부적으로 어느정도 보완하는 효과. 일종의 그곳만 카본코어등 추가하여 플렉스 상승한 효과.
Fxnxr 라이딩류에 유리할 듯 보입니다.
상체의 움직임/위치변화에 따른 반응은, 데크 소프트함으로 지연되면서 안정성보완.


3. 데크가 꽤 하드한데, 바인딩까지 꽤 하드하면.. 물론 레이싱카 타는듯한 즉각적인 반응이 따라 오겠지만, 신체긴장도나 국부적 집중부하등으로 체력저하는 피로도는 금새 오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데크자체가 충분히 하드하기에 2번에서 언급한 가로방향 플렉스 보강이 큰 의미가 없어지고 바인딩바닥과 데크상판은 거의 붙어서 같이 움직인다고 보면 될 듯합니다. 그래도 바인딩 베이스플레이트 크기/형상/구조/강성에 따른 차이는 물론 있겠습니다.
한편,, 외경/기울기 라이딩은 축상의 좌우 위치변화(일종의 진자움직임 폭)이 좀 큰 편인데.. 이 트랜지션 구간을 얼마나 빠르고 역동적으로 끊어내느냐가 아마 또 라이딩 실력을 나타낼텐데.. 이게 바인딩이 너무 반응성이 좋으면.. 지연이나 상쇄효과가 없어서, 이 구간동안에 상대적으로 덜 안정적이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트랙이나 잘 정돈된 차도를 달릴때에는 반응성이 즉각적이라면 나머진 운전자 실력에 따르겠지만.. 차도 상태가 안 좋거나 비포장도로면 반응성이 너무 즉각적이면.. 운전자 금방 지쳐 뻣어버릴겁니다.
즉.. 보통은 이 트렌지션 구간이 턴 끝난 후 엣지체인지, 그리고 그 후 턴진입 직후 때 주로 존재할 텐데..
- 잘 정설된 설면 위에서 하드한 데크로 빠르게 치고 나가는 레이싱성 라이딩을 한다면 진짜 하드한 바인딩이 좋고,, 즉 짧고 굵게 타이트하게 타는 라이딩에 좋을것 같고,
-크게 설면 신경 안쓰고 하드한 데크로 적당히 트렌지션 구간 동안의 반응전달을 상대적으로 약화/지연/상쇄해 주는 좀 덜 타이트한 즐기는 라이딩을 한다면 약간은 소프트한 편이 장시간 타는데 유리하지 않을까 생각들었습니다.
서스펜션이 너무 딱딱하면 데일리카?가 힘든 것과 마찬가지 이치 아닐까 합니다. 아무래도 장시간에따른 충격과 긴장도가 다르니까요.



4. 데크가 꽤 하드한데 레디우스까지 긴 데크인 경우, 레디우스가 그보다 짧은 것보다 만약 약간 늘어지는 듯한 라이딩이 나온다면.. 물론 정답은 신체(특히 보통은 상급으로 갈수록 상체)움직임으로 끌어내야 겠지만, 왠지 더 하드한 바인딩으로 일정부분 아이템빨을 쓸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단.. 이 경우 최대 프레스 순간이 아니라, 트랜지션구간에 생기는 머랄까 반응정지/지연구간에서 좀 더 빨리 탈출하여 턴 전/초/초중에 진입하기 유리할 것 같다는 추측이 듭니다. 물론 역엣지위험도 커질듯합니다.
암튼 트렌지션 구간/시간이 너무 짧으면 불안정하겠지만 너무 늘어지거나 길어지면 답답지는데, 즉 자기 원하는 순간에..딱 미션이 체결되서 나가야 되는데.. 레디우스가 길고 신체가 안 따라주면 좀 체결이 늦어지고..글면 음..덜 재미있으니 바인딩빨로 보완이 가능할법도..합니다. 테스트는 안해봤습니다.


5. 즉, 무조건 다 하드한 게 다 라이딩에 좋은 건 아니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반응성 그 자체만이 라이딩의 요소가 아니니까요. 경주/레이싱이라면 모를까요.
그러고보니 보드크로스와 기선전? 사이에도 데크와는 별개로 바인딩의 선택에 따른 효과변화가 결과에 꽤 큰 차이가 있지 않을까하는 느낌입니다.
결국,
취향의 문제가 크고 또 체력/나이/본인신체조건의 요소도 결국에 거부할 수 없게 작용하겠지만,
외부환경인 설면(정설, 덤프, 파우더드등)이나 본인이 추구하는 라이딩효과 및 스타일을 고려한 본인의 데크/부츠 장비와의 조합도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특히, 전 트랜지션 구간과 바인딩의 하드함이 가장 큰 관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근데..그 구간이 사실 라이딩의 다 인 것 같기도 한 느낌이 갑자기 듭니다. ㅡㅡ. 신체움직임으로 미션을 얼마나 딸깍 껴넣어주느냐가 중요한 것 같은. ㅎ.
즉슨, 특정 환경에서 다른 장비조합을 써보면 본인이 추구하거나 타던 스타일과는 좀 다른 라이딩결과가 나오거나 경험하기도 쉽겠습니다.
그래서.. .. . 결국 장비 또 사고 바꾸고 비교하고 시승하고 그런 것이겠습니다만.
그래서 지금 제가 이 글을 쓰는 거겠습니다. 하지만, 저도 실제로 위 결론을 테스트 해본게 아니라서.. 다른분들 의견이나 생각이 궁금합니다.
답은 없겠습니다. 잠정적으론 결국 취향과..본인의 체험에 다 한정되는 것이니까요. 그래서 다른 분 취향과 체험을 여쭙니다.



지금 이 글을 왜 쓰냐면,
사실 Nidecker Kaon CX (L) 바인딩을 Rome Cleaver 바인딩(M/L)의 크기/형상/구조/강성 등등을 비교해봤기 때문입니다. 또한 그것을 머리속으로 다른 설면에서 서로 다른 제 보유데크에 장착해서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결국 제 과거 실력/과거 데이터 기준밖에 안됩니다만.)
꽤나 놀랍더군요. Rome은 Tagar 바인딩때부터 썼고 지금도 그거 씁니다만..
음. 심플하게 말씀드리면 바디 본체의 크기/형상/강성 반응성은 Kaon CX 훨 우세입니다. 스트랩의 형상/강성/잡아줌은 Rome이 훨 우세.
단.. Kaon CX는 대충 측정했지만 Cleave보다 바인딩 센터(데크장착 원형센터)에서 힐컵이 + 15mm 안팎쯤? 더 튀어나와 있습니다. 참고로 큰 의미는 없지만 부츠닿는면 쿠션크기는 둘이 동일합니다. 결국 이전에 쓴 글처럼 롬같은 금속프레임대비 부츠아웃에 불리한 부분은 있습니다. 유독 Kaon은 힐컵과 힐백사이에 공간도 많이 남네요. 저는 허리 260mm 와이드 데크에 쓰면 크게 문제가 안될 법하지만, 245m에는 좀 자신 없기도 합니다. 그리고 일장일단인데 부츠 닿은 면이 고무재질이긴 한데 얇고 또한 바인딩과 데크 부착면에는 충격흡수제가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충 그 흔히 플럭스 데크 쪼개짐 나는 부분에만 약간 다른 덜 하드한 재질(힐쪽)내지 얇은 스폰지(프론트 새끼발가락 바깥쪽)가 바닥 프레임 안쪽으로 박혀있습니다. 롬은 부츠 닿는 면과 별개로 데크 닿는 전면에 스폰지가 꽤 두툼하게 또 덧대어 있습니다. 절대 데크 파손은 없을 듯. 대신 반응성을 좀 혹은 꽤 잡아먹겠죠. 결국 서스펜션 늘린거니까요.

지금까지의 결론으론, 전 주력은 롬 바인딩 쓰고 특정 데크 하나에만 Kaon 테스트해보고 틈틈이 기분내러 타이트한 전력 레이싱하려고 할때만 다른 데크에도 Kaon CX 써보려고 합니다. 사실 허리얇은 OES에는 못 쓸법도 합니다..^^a.
즉, 상시 및 전천후용이나 데일리용으로는, 제 장비조합이나 제 나이에나 좀 안 맞을거 같다는 잠정결론으로 다음 시즌에 실 테스트해보려고 합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1 19:02:30
*.197.6.155

참고로, 전 피클있는 오땡 야땡 정설면을 거의 타본적이 없습니다. 게을러서.
되도록 설면 안 따지고 탄다는 주의이기도 합니다.

땡보딩 주의자시면, 하드할 수록 좋긴 할 것 같습니다. 그런분들은 대부분 또 짧고 굵게 타시고 아마 젊?으실테니, 집중부하나 피로도도 큰 문제 없을테구요.
전, 집중부하 받으면 뭣보다 발이 아파서..ㅜ

소원을말해봐

2024.05.21 20:23:29
*.34.232.205

부츠가 안맞아서 발이 아픈게 아니라면? 본인이 불필요한 힘을 많이 쓰는게 아닐까~ 싶네요..

난틀렸어요

2024.05.21 20:31:08
*.197.6.155

큰 거 신으면 덜 하거나 괜찮은 거 보면.. 혹은 부츠 헐렁하게 묶으면 덜하거나 괜찮은 거 보면.. 부츠가 안 맞거나 제 발이 좀 기형적으로 불량?이어서 그런게 큰 것 같다는 생각인데... 어쩌면 말씀처럼 거기다 불필요한 힘까지 써서도 그럴 수 있겠다는 생각도 듭니다.
주어진 라이딩 방법? 안에서, 바인딩각도/스탠스에 맞게 턴 시기에 따라 힘을 써야하는 것도 있을테고요.

흠. 조언 감사합니다. 한번 숙고해서 나중에 테스트 해봐야 겠습니다.

소원을말해봐

2024.05.21 20:43:10
*.34.232.205

저는 몇년전에 받았던 데몬 / 프로선수 강습중에 아직도 잊을수없는게 딱 하나입니다.

휘팍을 예로들면.. 호크 / 파노라마 / 챔피언등 슬로프마다 중간에 멈췄을때 불필요한 힘으로 엣지세워 서있을 필요없다.
경사에맞게 엣지에 이정도의 힘만줘도 미끄러짐없이 서있을수있다.. 라이딩도 마찬가지로 어느 타이밍에 찍어누르고 여기선 힘빼고 흘러가듯이~ ^^

우리가 뭐.. 취미로 즐기는거지~ 선수까지해서 밥벌이 할껀 아니자나요^^ 스트레스 받지말고 즐겁게 타는게 최고죠~

난틀렸어요

2024.05.21 21:05:49
*.197.6.155

슬라이딩에도 단계가 있고 엣지도 물론 기울기등에 따라 각도가 있다는 건 알고는 있는데..
물론.. 엣지성 슬라이딩 이나 슬라이딩성 엣지..등도 많은 스펙트럼이 있을테고요..

어드밴스드 슬라이딩 할 때나 속도조절용 체크시에는 그런거 신경쓰는데..

아시겠지만 무턱대고 카빙빠들은.. 무조건 엣지 최고로 만들고 턴 중엔 턴 시기에 맞춰 특정지점에 프레스 무조건 집중에..빠지는게 보통?이다보니...ㅜㅜ.
제가 그렇게 탑니다.

그래서.. 개인적인 유일한 타협안으로는 체중감량뿐인것 같더라는. 10kg 만빼도.. 발 부피도 크게 줄고 집중하중도 줄고.. 근육 피로도도 줄고..그렇게 여기고 있습니다.

근데, 효율성과 자기 몸에 부담 안가게 설면에 맞춰 타는 것도 진짜 어렵고 눈밥이 많이 필요하다고 압..니다. 찐 안정화된 고수들은 뭘해도 힘 크게 안 들이고 타니까요. 물론 너무 카빙에 올인 내지 매몰되지도 않고요.. ㅠ

제가 죄인입니다. 허허.

난틀렸어요

2024.05.21 20:25:50
*.197.6.155

하드함/반응성과는 별개로,

Kaon CX에는 없지만 Cleaver에는, 힐컵 로테이션(5단계?)과 라쳇체결위치각도(5단계?) 조절기능이 있습니다.

아직 충분히 테스트를 못해봤지만 힐컵로테이션은 사람마다 다를 법도 한데,, 그러나 라쳇체결위치각도는 좀 영향이 컸습니다.
첨엔 모르고.. 타다가 알게된다는.. 근데 이것을 제대로 하려면 앞발과 뒷발이 다르고, 그 발마다 양쪽 라쳇체결위치/각도도 다 다를 수 있다보니 조합변수가 너무 많아 그냥 중간 디폴트값에 대충 다 놓고 탔습니다. 한번 함부로 건드렸다가 외려 방해되는 부분이 있길래.. 다들 그러시겠지만, 바인딩각도/스탠스/셋백 셋팅 찾으면서 라이딩 자체도 하기 바쁜데 제가 제대로된 정제된 고수도 아닌데 그것까지 건드리긴 좀 그랬습니다.
경험상 분명한건, 더 좋은 퍼포먼스를 내는 셋팅값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되는 거 되려 안되게 하는 셋팅값도 있었습니다. 하긴..바인딩 각도/스탠스/셋백도 그렇긴 합니다. 그거 진짜 꽤 민감하게 나타나니까요. 그러나 앵글라쳇위치각도는 그냥 통용되는 중요도에서 밀리지 않나 합니다. 퍼포먼스를 증가시키는 셋팅에 존재하는지는 지금으로선 모르겠습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3 10:27:07
*.126.20.222

아. 

 

위에 붓아웃 관련 정정/수정합니다. 

 

Kaon CX가 힐컵 높이가 높습니다. 더 튀어나온 대신요. 

바인딩 원형홀 센터기준으로, 데크(허리 245/260)엣지로부터 각도를 딱딱한 판대기로 동시에 되어 보니.. 

Kaon CX가 닿은 상태에서, 롬 Cleaver가 +-2 mm 정도 떠있는 수준입니다. 1-2mm 오차는 감안하세요. 

 

즉.. 거의 무시할 수준입니다. 

 

guycool

2024.05.24 11:24:19
*.100.191.80

이건 알파인 얘기지만  보드 바인딩 사이,   바인딩 부츠 사이.  부츠 자체 이렇게 3가지 인터페이스 중 어는 하나는 어느정도 유격의 소프트함이 있어야 스티프 stiff 한 셋업을 조정할 수 있답니다.  다 스티프 하면 이거야 말로 기부스겠죠...

   물론 알파인 셋업과 비교하기 어려울지 모르지만요..

난틀렸어요

2024.05.24 12:52:05
*.223.11.186

아.. 맞는 말씀이네요.

ㅎㅎ.
3가지 인터페이스.
감사합니다.

암꺼나해

2024.05.24 16:41:46
*.156.127.42

개인적으론

 

몸무게에 따라서요

 

70키로대까지는 스티프가 10이 최고라면

 

7정도가 좋더라구요(7은 주관적입니다. 본인 체형 힘 스타일에 따라 케바케)

 

그이상 넘어가면 기부스 느낌이라서 자유도가 떨어져서 오히려 가로막더라구요

 

(알파인처럼 프리는 칸트와 리프트로 하체관절을 굽히기 편한 셋팅으로 만들어놓기 타지않잖아요

프리는 구기고 접으면서 자세를 어느정도는 만들어야 합니다. 그냥 기부스면 다운자체가 안되요)

 

반대로 100kg 거구가 7을 타면 완전 종이짝처럼 느낄수도있겠지요

난틀렸어요

2024.05.24 16:58:27
*.126.20.37

사실.. 제가 좀 우왕좌왕하는 것이 있는게.. 

 

음.. 다음번 시즌까지 제가 10kg 이상 감량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집에 5kg 아령 2개 들고 라이딩 자세 잡아보면 발에 가해지는 하중이 엄청 다르더군요. 그말인 즉슨.. 

 

만약 진짜 감량에 성공한다면, 사실 지금 제가 기준점을 잡고 있는 장비들의 체감 플렉스나 성능이 그때가면 또 달라진다는 이야기가 되긴 합니다. 데크는 제가 이것저것 써봐서 그 영향이 좀 감이 잡히는데, 부츠는 일단 무조건 하드한 걸로 고정.. 사실 바인딩은 감이 없습니다. 말씀하시기 전까진 진짜 변수로 생각도 못했습니다. 

지금 바인딩이 타다보면 가끔씩 15~20% 반응성이 더 빠르면 어떨까 궁금할 때가 있는데, 대신 발의 피로도도 상당할테고 장시간 탈 수준은 아닌것 같다는 느낌만 있었는데..  체중감량하면.. 음.. 하하a. 그렇습니다. 체중이 중요하네요.. ㅜ. 

 

감사합니다. 정리가 더 빠릿하게 되었습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5 01:08:14
*.197.6.155

부츠 둘다 시착하고.. 이리 저리 자세 만들어봤는데.. 음. Kaon Cx..기부스입니다.
타면 재미는 초반에 있을법?도한데 .. 적응해서 자세가 충분히 나오더라도 지금 제 체중으로는.. 슬로프 1번(최대 2번) 내려오면, 발 피로도 때문에 바꾸고 싶을 거 같은stiff입니다. 쉽게 축적될듯한.

카본 섞은 바디에 통카본 하이백인데..거기다 베이스플레이트 형상과 댐퍼부족요소까지 더해져서 더한 듯 싶습니다.

혹 몰라 참고하시라고 남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14

약간 소프트 바인딩 vs 많이 하드한 바인딩. (둘다 해당 브랜드 안에선 ... file [12]

혹시 인공디스크 치환술 받아보신분 있나요? [5]

캐피타 doa 어떤가요? [7]

헬멧, 의류 등 구매시기 언제가 적절할까요 [12]

시즌권 [9]

오가Fcs vs 도넥 사버우드 [4]

10년간 방치된 데크 사용가능할까요? [13]

붓아웃이나 힐컵 아웃이 날까요? [9]

전향각 입문자가 참고하면 좋은 유튜버 추천부탁드립니다 [18]

플럭스 cv,xv [3]

니데커 카온 CX 바인딩 사용해신 분? [4]

니데커 슈퍼매틱 사이즈문의요 [3]

슈퍼매틱과 플로우 탈론과 니데커 인덱스 궁합. (사이즈도?) [3]

데크추천좀 부탁드립니다 ! [11]

데크추천 부탁드려요 [7]

  • 네띠
  • 2024-05-07
  • 조회 수 455

올해도 블루베리가 잘 열리고 있습니다 file

데크 사이즈 [2]

리조트 숙박 얼리버드 [3]

안녕하세요 전향 입문 장비 추천부탁드립니다. [15]

클루바인딩 사이즈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