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언제부터 였는지 일본식 카빙 하시는 라이딩을
테크니컬 라이딩이라 많은 분들이 이야기 하시더라구요. 말그대로면 기술적인 라이딩이란 뜻인데 무슨 이유로 이런 뜻을 내포한 말이 생겼는지 궁금하네요ㅎㅎ
엮인글 :

쿠마키치군

2014.11.24 15:44:40
*.240.250.188

아마 펀라이딩에 비교되서 그런용어를 쓰는게 아닌가 싶네요   기술을 추구하면서 타느냐 재미를 위해서 타느냐


똑같이 바다에 가서도 그냥 물장구만 쳐도 재미있고 자유형,접영 멋기게 수영해도 재미있고 하니까요

lovejinb

2014.11.24 15:47:52
*.101.108.78

잘생긴 헤일로님은 보드도 잘타시는데 왜 이런거 물어보시는 겁니꽈~!!!

해일로

2014.11.24 16:01:50
*.223.17.177

정체를 밝히세요ㅎㅎ

티모

2014.11.24 16:13:43
*.33.234.111

잘생기고 매너좋은 해일로님이 질문을 남기실줄이야 .. !

BUGATTI

2014.11.24 15:49:16
*.110.132.17

잘은 모르지만 일본식 라이딩 아닌가요 ``?

Ricky!

2014.11.24 15:53:22
*.255.168.248

캘리포니아는 평안하십니까? ^^

글의 주제와 상관없는 질문인데요...


일본식라이딩은 어떤건가요?

BUGATTI

2014.11.24 16:05:20
*.110.132.17

안녕하세용 ^^

글쎄요...리키님이 저한테 물어보신다면;; 눈팅으로 보면 CASI 라이딩과 일본식라이딩이 비교가 많이 되던데요 

관심분야가 아니라 모가 몬지 모르겠지만;;;

Ricky!

2014.11.24 16:24:30
*.255.168.248

요새 점점 서로 비슷해지고 있습니다. ^^


Ricky!

2014.11.24 15:49:30
*.255.168.248

저도 잘모르는 뜻인데... 어느새 저도 테크니컬라이딩하는 라이더가 되어있더군요.. ㅡㅡㅋ


저번에 한번 어디에 썼었는데 어딘지 기억이 안나서 다시 씁니다.



아마도 기술선수권대회의 명칭이 테크니컬스노우보드선수권대회이기에...


카빙을 중요하게 보는 일본의 특성상 기선전의 명칭에서 테크니컬이라는 말을 따온듯합니다.


사실 테크니컬 = 스노우보드 라이딩의 기술적인 분석이라 생각하고 있어서... 


카빙뿐만아니라.. 모든 스노우보딩을 분석해서 라이딩하면 모두 테크니컬라이딩이라고 생각합니다.



요새 테크니컬테크니컬 하는건 저도 무슨얘긴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냥 말이 멋있어서 그런것도 있지 않을까하네요...

반쪽보더

2014.11.24 15:53:59
*.46.192.92

전 리키님이 라이딩 하시는 영상을 보면

"정말 재미있게 타신다" 

딱 이 말 밖에 생각이 안나요. 실제로 따라해볼려고 해도 잘 안되더라고요 ^^;;

Ricky!

2014.11.24 15:55:54
*.255.168.248

ㅎㅎㅎ 여러가지턴을 배우게되니까 여러상황에서 효율적으로 턴을 하는법을 배우게 된듯합니다.


잘타면 점점 더 재미있어진다고 믿기에 저도 열심히 배우면서 타고 있습니다~ ^^

해일로

2014.11.24 16:00:43
*.223.17.177

아 여기에 답변이 있었네요ㅎㅎ
그냥 제가 헝글 봐왔던거 토대로 보면 어느 순간부터 어깨른 오픈하면 -> 일본식 ->테크니컬로 불려서 저도 궁금했었는데 가려운곳을 시원하게 긁은 느낌이네요!!
타시는 분들은 자신들이 테크니컬이다 라고 주장 하시지도 않았는데 이런 말들이 생겨서 참 궁금했습니다ㅎㅎ

Ricky!

2014.11.24 16:33:57
*.255.168.248

그린데이즈님이 저번겨울에 CASI 레벨4 교육을 다녀오셨는데... 

어깨오픈은 뭐 그냥 다 한다고 합니다. (그 얘기는 즉, 레벨3 레벨4 들은 열고 타는게 익숙하다는 얘기죠)


정말 기술적인 부분에서보면...

어깨오픈을 하지않고서는 많은 프레스를 사용할수없습니다.

그래서 요새 어깨를 닫고 탄다는 얘기를 들으면...  프레스를 많이 사용할줄 모르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CASI레퍼런스 영상들을 봐도 프레스를 많이 사용하는 장면을 보면 모두 어깨를 열더군요~ ^^

각 단체의 특징은 이미 옅어지고 있다고 보입니다. 좋은건 보이는대로 전부 흡수해야하는 시대가 온듯합니다.


아참, 해일로님의 영상에 자극받아.... 요새 슬라이딩턴의 피보팅에 하체를 사용하는것에 대해 많은 연습을 하고 있습니다.

확실히 사용은 하는것이 절대적으로 유리하고... 상체로테이션과 섞어서 사용하면 가장 효율이 좋습니다. 

영상에 소개하신 비기너턴에서 하체로 턴을 시작하는부분에 대해서도 연습해봤는데... 분명히 초보분들의 강습에도 사용하기 좋은 부분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상체로테이션과 혼용하면 아무리 초보라도 턴을 금방하게될듯한 좋은 내용입니다. ^^

해일로

2014.11.24 16:54:10
*.223.17.177

별것도 아닌 영상 좋게 봐주셔서 감사합니다ㅎㅎ
리키림 말씀대로 두 협회의 스타일을 흡수 해야 한다는 시대라는 대목에 공감합니다^^ 저도 올 시즌 약한 카빙 연습좀 해야겠네요!ㅎㅎ올 시즌 안보하시고 좋은 영상 부탁 드립니다^^

백만송이장미

2014.11.24 15:49:56
*.148.112.182

이전까지는 사용하지 않던 기술을

자기네들이 새로이 개발했다는 의미가 아닐까요?

토션을 접목한 카빙턴.

Ricky!

2014.11.24 15:51:58
*.255.168.248

토션을 사용하는건 25년전에도 서양, 일본 등등 거의 모든곳에 교재로 나와있던 겁니다.


요새는 장비에 따라 오히려 사용하지 않기도 합니다.

백만송이장미

2014.11.24 16:01:23
*.148.112.182

슬라이딩턴을 만드는 토션 말구요. 카빙턴에서의 토션을 말하는 겁니다.

카빙턴을 위해서는 슬라이딩턴을 만들던 토션을 억제해야 하는데

그렇게 토션을 억제해서 카빙턴을 만드느냐, 아니면 보다 적극적으로 반대방향 토션을 만드느냐의 차이가 아닌가 싶습니다.

Ricky!

2014.11.24 16:23:54
*.255.168.248

네... 대략 1990년쯤 나왔던 Mac Endo의 교재에서 확실히 카빙턴에서의 토션은 언급되었었던게 기억납니다.

90년대 초반 무주에서 알파인으로 카빙하시던 형님들도 그 얘길 분명히 했었구요...

토션으로 턴을 만드는건 이미 고속에서는 의미가 별로 없는지라  장비에 의존하는게 더 큽니다.

요새 해머헤드가 어떻게 만들어지고 어떤 라이딩으로 라이더를 유도하시는지 직접 타보시면 몸으로 느끼실수있습니다.


일단 "토션"관련된것이 테크니컬라이딩을 지칭하는게 아닌건 확실한듯합니다. 

슈나이져

2014.11.24 16:18:58
*.114.242.174

제가 아는걸 대략 적어본다면 테크니컬은 일본에서 시작된것이구요.. 카빙턴의 아름다움을 표현했다고 하네요.. 각협회의 메이져 대회 3개정도와 각 스키장에서 시행하는 대화가 많다고 하구요. 쉽게 일본라이딩이라고 표현을 합니다. 기본적인 일본라이딩은 기본은 턴의 항상이며 날세우기, 하중, 로테이션 순으로 연습이 한다고 하네요.. 어깨을 열고 타면 테크니컬이다라는 말은 어떻게보면 정답일수도 있겠지만 만약 날세우기를 쉽게 하기 위해 어깨을 열고타신다면 어느정도 정답일수도 있을지 모르죠^^ 문제는 어깨가 아니고 얼굴방향인거 같구요. 얼굴이 노즈방향을 향해서 편하게 볼수 있는 기본자세가 중요하겠찌요..개인에 차이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당연히^^ 외에 하중은 데크에 대한 힘을 잃지 않는것..즉 발란스를 잡고 있는것이 하중의 궁극적인 의미라고 생각이 드네요.정리하자면 데크에 힘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 .기본자세를 연습하고 업다운 자세만 연습하면 프레스부분을 단순화 시킬수가 있을거라 생각이 드네요. 로테이션도 있죠..기본적으로 테크니컬에 로테이션은 몸전체가 데크을 따라가는 것이라고 말할수 있겟네요... 하여튼....대략...테크니컬에 관심이 있따보니.. 이곳저곳에서 정보을 얻었네요..지금은 만족하면서..재미있게 즐기면서 잘타고 있습니다.. 결국에는..자기스타일로 즐기면서 타는것이 중요하게죠^^

견공

2014.11.24 16:34:26
*.209.97.253

리키님 말씀처럼 기술선수권에서 나온 용어라고 알고있습니다. 아시다시피 프리스타일 기선전이라는 게 그루머에서 라이딩 스킬의 우열을 판단하는 것이라서 기선전 연기 위주의 라이딩, 즉 다양한 카빙을 슬롭에서 연기하는 라이딩 스타일이 테크계, 테크니컬 라이딩으로 표현되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워니1,2호아빠

2014.11.24 16:34:39
*.146.211.20

여기서 또 하나 배우네요

소울카버

2014.11.24 17:23:10
*.33.153.8

테크니컬 카빙은 카빙턴의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기술계 스노보딩 입니다

파생은 기술계 스키를 모토로 스노보드에 적용
일본에서 탄생하고 발전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선 테크니컬 라이딩이라고 바뀌어 말하기도 합니다 



yOeL

2014.11.24 22:09:15
*.121.245.110

정확하게 표현해주신 소울카버님.!^^  이 글의 정답이 아닐까랍니다.> 시즌 안보하세요.!!

해일로

2014.11.26 11:04:09
*.216.30.77

감사합니다^^ 영상 잘 보고 있습니다

이나중보드부

2014.11.24 17:26:53
*.111.22.252

흔치않은 가술적 토론!
많이 배우고갑니다^^

v흑기사v

2014.11.24 19:16:54
*.248.49.163

오늘 좋은거 배우고가네요,,

감사합니다...^^

봄雨

2014.11.25 09:18:04
*.210.161.228

역사에 남을 명토론 이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87

캐피타 스테어마스터 어떤가요? [7]

카빙 자세.. 이해를 못하겠어요 [30]

고프로 vs 소니 액션캠 [12]

스키중에 짧은스키 정확히 명칭이 뭔가요 ? [16]

  • 고기1
  • 2014-12-05
  • 조회 수 2798

바탈레온데크 어떤가요? [4]

  • three-D
  • 2014-09-07
  • 조회 수 2798

대명 시즌권... [23]

스키장 처음 가는데 질문 몇개 드릴게요 [7]

  • 후휴
  • 2015-02-01
  • 조회 수 2797

해머데크 vs 라이딩용 일반데크 [17]

  • 누님
  • 2015-11-11
  • 조회 수 2794

왁싱다이 다들 사서 사용하시나요? [14]

네버썸머 데크 문의 [10]

무주 세인트휴 사우나 질문요 [1]

이렇게 카빙할려면 데크를 바꿔야 하나요? file [49]

발볼실측 10센티 딱나오는데 넓은편인가요???? [8]

1516 Flux 바인딩 team Or SF ? [5]

테크니컬 라이딩 ?? [27]

요넥스 시막 노멀.. 해머 입문용이라구요? [18]

다카인 장갑 사이즈. [8]

케슬러 : SG : 라방셀 [9]

입문용 해머데크 [13]

산타크루즈 SRX 헤머덱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