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시 1 ) 활강중에 두 보더가 부딛쳤습니다. 50대 50인데..(뒤에서 들이받지 않는한 거의)

 

둘다 굴러서 머리를 슬로프에 찧었습니다. 그런데 한명은 핼맷을 썼고 한명은 안썼습니다.

 

핼맷을 쓴사람은 그냥 띵한 정도, 안쓴사람은 뇌진탕...

 

이러면.. 결과는 어떻게 될까요?

 

안쓴분도 뇌진탕에 관한 치료비 및 기타비용의 50%를 물어야합니다.

 

 

보통 난 잘타니까 안써도 돼.. 이러시는 분들 많습니다. 간지 어쩌고 하면서 안쓰는 분들도 많고요..

 

물론 간지 안나죠..

 

그런데요.

 

이 경우.. 핼맷을 써서 안다친 사람은 무슨죄일까요???

 

내몸다쳐서 돈드는건 이해되지만, 남이 안써서 다친것까지 물어줘야 하는 이 경우... 남의일일 거라고 생각하시는지요..

 

 

 

 

엮인글 :

이오-ω-

2010.12.16 17:43:15
*.186.23.49

예를 들은게 딱 제가 격은거와 같네요

 

저두 그래서 바로 헬멧 질렀다는...

 

따랑해

2010.12.16 18:34:45
*.206.118.110

추천
0
비추천
-1

진짜 무서울정도로 계산적이네요. 어짜피 50대 50인거구, 헬멧을 써서 내가 안다친것으로도 충분하지 않나요?

 

말그대로 사고이구 사고의 책임은 본인에게도 있는건데... 나는 헬멧때문에 덜 다쳤지만 저넘은 헬멧을 안써서

 

크게 다쳤고 난 헬멧값을 투자했는데 저넘은 그것조차 안해서 더 다쳤으니까 돈을 적게 내야 한다는건가요?

 

사고의 책임이 50%는 당사자에게도 있는데도요? 내가 안다친것만으로도 감사해 하고 어쨌거나 나로 인해

 

크게 다친(50%의 책임이라 할지라도) 다른 분에게 연민의 감정을 가지는게 힘든일인걸까요?

 

이성적으로 이해하구 타당하다고 생각은 하지만.... 감성적으로 그렇게까지 해야 하는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돌몽

2010.12.16 22:50:28
*.159.29.123

한마디로 자기자신뿐만 아니라 남에게도 피해를 주는 행위이니 써야한다. 이런 이야기죠. 계산적이라는 이야기가 나올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태풍2

2010.12.17 07:29:32
*.185.97.228

따랑해님과 같은 생각을 가진분이 많다면 어떨까요??

 

그렇지 않기에 서로 서로 조심하자는 이야기입니다..

 

안쓰면 몸다쳐 고생, 내가 쓰더라도 상대방이 안쓰면 경제적 손해..

 

서로 착용하면 얼마나 좋겠습니까? 서로 착용하자라는 의미로 받아들임 꽤 단순해 집니다..

sura

2010.12.17 16:40:52
*.253.14.10

지독히 계산적이라... 그럴수도 있겠네요. 그러나 자신의 몸도 보호하지만 상대방에게 예기치않은 경제적 손실도 입힐수 있다는 걸 강조하는 건데요. 핼맷은 머리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팔 다리 부러져도 살아납니다. 데크로 머리 한번 찍히면 그냥 갑니다.  연민의 감정은 당연히 있겠지만요. 그후로 달려 오는건 경제적 압박입니다.  잘생각해보세요. 이런걸 대비하면 당연히 스키보험도 가입해야겠죠

따랑해

2010.12.17 17:18:13
*.206.118.110

예를 하나 들어볼께요. 돈의 여유가 별로 없어서 경차를 타는 사람이 있고 안전을 생각해서 고급 승용차를 타는 사람이 있어요. 경차에는 에어백도 제대로 안달려 있었고, 비싼 고급승용차엔 에어백도 달려있고 기타 안전등급도 경차보다 훨씬 좋아요. 두 차가 사고가 났고 과실비율은  50대 50이었어요. 에어백이 달린 고급차의 운전자는 덕분에 별로 다치지 않았지만, 경차의 운전자는 크게 다쳤어요. 그러자 고급차 주인이 나는 돈을 투자해서 에어백이 달린 고급차를 선택했기 때문에 덜 다친것이고, 경차를 몰아서 크게 다친 사람의 치료비를 50% 부담하는건 부당하다고 말하는것과 완전히 같은 상황이지요.  '가격이 비싼 차와 헬멧이 어떡게 비교가 가능하냐? 그 안전장비 살 10만원도 없으면 보드를 타지 않는게 맞다.' 라고 생각 하실지도 모르겠지만 고급차 주인도 그렇게 생각할수 있겠지요.  '에어백 달린 차를 살 돈도 없으면 대중교통을 이용하는게 맞다' 라구요.

헬멧을 쓰자는걸 반대하는건 절대 아니에요. 안전을 위해서 헬멧을 쓰는건 당연한거죠.

자신의 안전을 위해서!!!

sura

2010.12.17 17:30:56
*.12.202.173

비교가 좀 다릅니다. 저도 차의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 드리려고 했습니다. 차는 의무적으로 보험가입이 됩니다. 즉 보험이 해결해 주기에 경제적으로 큰 무리가 없습니다(대물 대인,자차등). 그러나 말 그대로 10만원이 아까운 보더들이 스키 보험에 가입을 했을까요???  그래서 핼맷이 문제가 되는거에요. 50%면 엄청나게 큰 금액이고, 아울러 크게 다치면 과실치상으로 형사입건됩니다. 물론 보험이 없을시요.  눈앞의 10만원 아끼려다 더 큰걸 잃을수도 있다는 예시였는데요.  

레알거지

2010.12.19 17:48:29
*.210.210.247

5만원짜리 헬멧살돈 없는데 보드타러 오는사람 있습니까?

예도 적당한 예를 드셔야지/

KGOON CREW

2010.12.16 18:59:09
*.162.231.248

매년 똑같이 되풀이되는 헬멧 ^^

글쓴이님 혹시 리프트 바인딩 체결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국내스키.보드장 여건상 허용이 불가피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리프트탑승시 보드 들고 타는거에 대해 그 안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잘먹고잘싸는법

2010.12.16 23:01:00
*.170.110.213

리프트가 슬롭을 가로지르는곳은 이미다 착용을 한상태로 리프트를 탑니다

 

스롭을 가로 지르지 않는다면 안전엔 큰 문제가없지요^^ 장비만 망가질뿐 ㅠㅠ

호요보더

2010.12.21 12:24:43
*.63.109.37

대부분 그냥 타는곳이 더 많죠   정말이지  제발 바인딩 장착하고 탑승하게좀 했으면 좋겠네요

 

 같이 타다보면 옆사람 데크가 제앞면까지;;; 

back군

2010.12.16 19:50:23
*.115.97.46

안다친것만해도 다행이죠.

개미와 목주름^^

2010.12.16 19:53:14
*.126.31.81

헬멧 쓰셔서 조금이라도 덜 다친거에 감사해야죠^^;

 

서로에 잘못으로 충돌했으니 당연히 5:5이고요

 

다만 헬멧 쓰신분은 안다쳐서 다행이건고요  

곰도리세마리

2010.12.16 19:59:39
*.187.2.238

돈을 떠나서..상대방이 다쳐서 뇌진탕이면..전솔직히 돈보다도..너무 무서울거 같습니다.

나로 인해 상대방이 다치고..만에 하나 더 큰사고였다면...

서로를 위해 헬맷은 꼭 착용하는게 좋지 않을까 생각듭니다.!!

간지 안나더라도..다 같이 핼멧 씁시다~ㅋㅋㅋㅋㅋㅋ

 

레이스신

2010.12.16 20:26:03
*.71.207.29

맨위에 써있듯이 50:50이라고 가정한다고 하셨으면 이미 반은 잘못을 한건데

이경우..헬멧을 써서 안다친 사람은 무슨 죄라니여??

그럼 이 사고에서 헬멧을 쓴사람은 안쓴사람에게 헬멧 왜 안쓰고 다니냐고

난 죄가 없다고 해도 된다는 말입니까 ??

 

비트_883325

2010.12.16 21:10:45
*.38.68.141

헬멧 미착용자가 사고결과를 더 키운 셈이지만 ,

뇌진탕을 당했으니  안전장구 착용에 소홀했던 댓가는 이미 자신의 몸으로 치룬것입니다.

더 나쁜 결과가 없었던걸 로 다행스럽게 생각하는것이 정신건강에  좋을듯 합니다. 

채소

2010.12.16 21:15:48
*.37.60.219

안다쳐서 다행이지만..

 

헬맷을 썼더라면 서로 안다치고 물어줄일도 없을텐데..

 

저도 무조건 헬멧써야한다에 1표..

도지마

2010.12.16 21:49:25
*.150.161.224

우리나리엔 맞는 헬멧이 없어 슬픈 1일...이런 젠장...

보드매냐_853882

2010.12.17 07:52:20
*.186.33.15

저도 머리가 큰편이라 서울샾을 돌아서 지로나인화이트 XXL를 구입했다는....

sura

2010.12.21 09:54:59
*.12.202.173

전 61cm 핼맷입니다 ㅎㅎㅎ

nobird

2010.12.16 22:46:55
*.224.103.20

근데 저런경우 헬멧이 보호기능을 다하고 깨졌다면? 헬멧 비용도 50:50으로 부담이 가능할까요? 오토바이 사고의 경우는 헬멧과 같은 보호장구 손상시 보험으로 보상이 되는걸로 알고 있거든요.

잘먹고잘싸는법

2010.12.16 23:07:34
*.170.110.213

글 잘읽었습니다 헬멧을 쓰고 안쓰고를 떠나서 말이죠

 

쓴사람은 안다치고 돈은 더나간다 그래서 억울하다는 말씀이시죠??

 

제생각엔 안다치고 돈을 더 쓰는게 좋을꺼같은데요

 

돈이 얼마가 들던 제몸만 안다친다면 그게 최고죠

 

헬멧을 쓰면 확실히 안전합니다 (선택이 아닌 필수일수 있죠)

 

하지만 타인에게 헬멧을 써라 말아라 하는건 잘못됐다고 생각합니다 그건 본인 선택이죠

 

일단 스키장에서의 사고는 절대 누구의 잘못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슬롭 중간에 서있었다면 서있는게 죄구요...(거기 왜 서있죠? 슬일이 뭐가있나요?? 생각함)

 

서있는 사람을 쳤다면 친게 잘못입니다...(자기 컨트롤도 못하면서 왜 이렇게 쏘고 내려오는지...)

 

 

sura

2010.12.17 17:33:32
*.12.202.173

누구의 잘못도 없습니다만, 책임과 경제적 출혈은 쌍방에게 있지 않을까요..

 

안부딛치면 가장 좋겠지만.. 둘중 하나라도 견적이 100만원 정도나온다면 50만원씩 부담을 해야하는 상황.. 어느쪽도..

 

좋은 상황은 아닐 것입니다.

히릿_958097

2010.12.17 00:30:49
*.122.1.181

아 너무 하시네요 진짜

 

헬멧을 써서 안다친사람이 무슨 죄냐뇨

 

헬멧을 써서 안다쳤기때문에 다행인거죠

 

자동차 사고시 안전벨트안매면 과실상계가 있는거때문에 그런 생각 할수도 있는거 같은데

 

헬멧이랑 안전벨트랑은 다르죠 

 

그럼 엉덩이 보호대나 척추보호대 난 했는데 상대방은 안했다고 또 그사람은 손해본건가요??

낙옆전문가

2010.12.17 00:36:34
*.139.21.109

제가 글을 쓰고 보니 바로 전에 글을 쓰셨네요 ^^

헬멧이랑 안전벨트랑은 같은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요?

교통사고시 안전벨트 미착용으로 생기는 부상은 사고의 충격으로 인해 앞유리창에

 머리가 직접 충돌하여 큰 피해를 입습니다.

헬멧도 같은거 아닐까요? 사람 머리 참 중요 하지요. 

사람 머리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다고 봅니다

히릿_958097

2010.12.17 00:43:37
*.122.1.181

전 다른거라고 생각해요

 

같이 볼려면 웅진같이 헬멧을 무조건 써야만 출입시켜주는, 반드시 써야만 하는 상황에만 해당되는거지

 

아직 대부분의 스키장은 이상황에 해당되진 않죠

 

굳지 자동차와 비교하려면 헬멧은 에어백에 좀 더 해당되는게 아닐까요 에어백옵션을 선택하듯이요

낙옆전문가

2010.12.17 00:48:36
*.139.21.109

아래위로 댓글쓰니 복잡하네요 ㅎㅎ

 

그거 아십니까? 에어백의 보호능력은  안전벨트 착용을 전제조건으로 하고있습니다.

낙옆전문가

2010.12.17 00:52:54
*.139.21.109

한가지 덧붙이자면 안전벨트 미착용한다고 운전 못하는거 아닙니다.

웅진에서 출입을 금지시키는것과는 조금 다른것같습니다.

히릿_958097

2010.12.17 00:57:44
*.122.1.181

그나마 젤 비슷한 예가 아닌가요??

 

당연히 운전이야 못하는건 아니죠 헬멧안쓰면 보드 못타는거 아닌것처럼요

 

안전벨트 안매고 운전하다가 걸리면 범칙금 내듯,  웅진도 헬멧안쓰면 출입 못하죠

 

하지만 대부분의 스키장은 이런 상황이 아니기때문에 헬멧착용여부에 따라 과실이 달라지진 않는단 얘깁니다

 

만약 안전벨트에 강제성이 없다면 그때도 안전벨트가 없을때 과실이 늘어날까요??

 

히릿_958097

2010.12.17 00:54:41
*.122.1.181

앜ㅋ 진짜 저도 복잡하네요 ㅋㅋㅋ

 

자꾸 논지가 벗어나는것 같은데요 

 

지금은 에어백의 보호능력을 따지는게 아니라

 

헬멧의 착용여부에 따른 과실율이 핵심인거 아닌가요??

낙옆전문가

2010.12.17 01:07:10
*.139.21.109

과실률은 이미 서로 행위로 인해서 정해지겠지요.

 

대물 배상은 과실률에 따라 배상하면 되겠지만

 

대인배상의경우 안전장비 미착용 과실상계 가 핵심같습니다.

 

요약하자면.. 최대한 안전장비 착용하고 안전보딩 하셨으면 합니다 ㅎㅎ

히릿_958097

2010.12.17 01:20:47
*.122.1.181

음 결국 의견차가 안좁혀 지네요 ㅎㅎ

 

넵 낙엽님도 항상 안전보딩이요~

낙옆전문가

2010.12.17 00:31:41
*.139.21.109

추천
1
비추천
0

헬멧은 반듯이 착용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스키장에서도 보호장비(헬멧 포함) 반듯이 착용하라고 안내를 하지요.

글쓴분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5:5 사고시 보호장비 미착용으로 인한 추가 피해까지

부담해야하는게 부당하다고 하시는거같습니다.

 

저도 같은생각입니다. 분명 스키장에서는 누구도 예측하지 못하는 사고가 날 수 있습니다.

그와같은 사고시에 자신의 신체를 보호하기 위한 장비들이 있습니다. 

슬로프는 안전지대가 아니라고 알고있습니다. 보호장비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야한다고 봅니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자동차 사고시 피해자 가해자를 떠나 안전밸트 미착용으로 인한 추가 피해는

제외 또는 일부분만 보상합니다. 

 

슬로프 사고시에도 이런 규정이 있었으면 하는 사람중 한명입니다.

히릿_958097

2010.12.17 00:39:10
*.122.1.181

그럼 전 척추보호대 부터 시작해서 손목 엉덩이 무릎 보호대 헬멧 다했는데 상대방은 헬멧만 썼으니까 보호대 다 쓴사람은 또 손해본건가요???

낙옆전문가

2010.12.17 00:46:16
*.139.21.109

제 댓글을 잘못 이해하신거같습니다.

글쓴분도 머리에관한 사고를 쓰셨습니다. 생명과 직접적인 연관성, 사고시 정말 큰일날수 있는 부분을 쓴것입니다.

저도 그부분을 댓글 단것입니다.

 

위에 댓글 다신대로 하자면 자동차에 에어백 미장착시 과실상계 해야합니까?

분명 도움은 되겠지만 다른부분입니다.

 

히릿_958097

2010.12.17 00:52:01
*.122.1.181

글쓴분은 머리에 대한 사고지만

 

자기는 대비했지만 상대방은 그에 대한 대비를 안했기때문에 내가 손해다라는 말이 핵심인거 아닌가요??

 

물론 헬멧이 만약의 사고시 정말 큰 역활을 하죠 하지만 지금 요점은

 

헬멧의 역활보단 과실율을 따지자는게 핵심인거 아닌지요??

 

그런 점에서 제 생각은 아직 헬멧은 안전벨트처럼 반드시 착용해야되는 점이 아닌만큼 과실에 영향을 주는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낙옆전문가

2010.12.17 01:01:57
*.139.21.109

자동차 안전벨트도 예전만해도 반듯이? 이런거 없었습니다.  오래 전이긴 하지만요..

언젠가부터 대대적인 강제적인 홍보를 통해 인식들이 바뀌었다고 봅니다.

자동차에 관한 법규는 나라에서 지정하겠지요 강제성이 있던 없던 말이지요

 

스키장에서는 분명 반듯이 보호장비 헬멧 착용하라고 안내 광고 합니다.

오늘도 보고왔습니다. 본인의 안전조차 확보하지 않은 상태에서 보딩중 사고시

과실상계는 당연하다고 봅니다.

그리고 이미 과실률 5:5 라는 가정하에 치료비 과실상계 부분이 요점 같습니다.

물론 제 댓글도 이부분을 벗어나 안전문제까지 같것도 있지만요 ^^

 

 

히릿_958097

2010.12.17 01:12:33
*.122.1.181

흠 그럼 다른 보호장비 착용 여부에 따른 과실상계는요???

 

보호장비가 헬멧만 있는것도 아니고, 아직 캠페인정도의 수준인 헬멧착용 광고를 가지고

 

과실상계까지 넘어가자는건 너무 자기중심적 생각인거 같네요

 

보호장비에 대한 강제성이 없는한 그 보호장비에 대한 선택은 본인선택입니다 그럼 그 범위도 본인에 한해서죠

 

이미 상대방은 보호장비를 착용하지 않아서 충분히 손해를 봤습니다

 

스노보드가 충분히 더욱 대중화 된 후 보호장비에 강제성이 있으면 당연히 과실상계까지 이어지겠죠 하지만 이 얘긴 나중에 나올 얘기죠

圖弧鬼

2010.12.17 03:30:13
*.158.248.23

자동차에서 안전벨트 착용여부에 따라 과실상계가 달라지지 안나요?

보드에서의 헬멧은 안전벨트 같은거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은데요.

그리고 헬멧착용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후 의무화시키기보다는

먼저 의무화시켜놓고 페널티를 주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듯 싶습니다.

보드매냐_853882

2010.12.17 07:59:38
*.186.33.15

트릭하다 넘어져서 잠시 10분정도 정신을 잃은적이 있습니다.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라도 안전장비(고골,헬맷,손목보호대,엉덩이보호대등)는 필요합니다..

제 생각이지만 보호장비을 한사람과 않한사람과 사고시 과실비를 책정할때 보호장비를 한사람에게 과실이

적게 나와야한다는 1인입니다...(제생각)

스닉 

2010.12.17 08:11:08
*.15.154.29

외람된 이야기지만 헬멧써야 간지나요!!

 

그러니 헬멧을 착용합시다 ㅎㅎ

타자보드

2010.12.17 09:19:44
*.112.31.193

건강이 재물보다 우선입니다.

헬멧씁시다. 둘다 뇌진탕 안걸리고, 타박상 정도로 끝냅시다.^^;

Gatsby

2010.12.17 09:30:44
*.45.1.73

헬멧 미착용을 했는데, 사고와 과실과 그 폐해인데, 꼭 다른 방향으로 딴지를 거는 분들이 있으신데요.

 

이래서 논술시험이 대학시험에 반영되나 봅니다.

Champion_P

2010.12.17 11:23:44
*.111.184.10

50대 50은 50대 50입니다.

벤츠랑 박았는데 9대1이라서 벤츠 잘못인데도 본인이 더 많이 물어줘야 하는 경우,

왜 남한테 피해주게 벤츠타고 다니냐고 할껀가요?

헬멧 안쓰는것도 잘못이지만

조심해서 보드 타야겠지요

사이드

2010.12.17 13:28:14
*.138.137.219

의도는 이해가 가나 비교가 좀 그렇네요..^^

 

그런 의미보다는 자기 보호를 위해서 헬멧을 써야되는거겠죠..

 

돈보다도 자기몸 안다치는걸로 만족하셔야겠죠..

내 닉넴 왜이래

2010.12.17 14:10:03
*.98.159.2

헬멧 미착용하여 사고가 났을 경우 자기 보호책임을 소홀이 했다는것을 이유로 하여

 

과실 비율상 불리하게 작용시키면 어떨까요?

크레이지beagle

2010.12.17 15:26:49
*.14.131.117

안전벨트는 의무,,,

헬멧은 옵션,,,

쿠키(김진국)

2010.12.17 15:41:29
*.142.252.200

아 .......... 자동차살때 벨트는 달려잇는거구...

스노우보드사도 하이바는 안달려나오구.. ㅋㅋ

오해

2010.12.17 16:46:26
*.196.131.216

그냥 보드를 접어버리는게 정답

 

또는

 

안전하게 타는게 정답    고르세요 ㅎㅎㅎ

암쏘핫

2010.12.17 17:03:34
*.136.153.31

어차피 크게 다친분은 돈 들어서 병원 다녀도 후유증 에 시달리게 될 겁니다.

 

비록 돈 물어준게 좀 아깝긴 하지만 난 헬멧 써서 안다쳤으니 완전 땡큐 베리 감사죠...  헬멧 좀 꼭 좀 썻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