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수영을 배우고 있습니다.

몇달이 지났는데요, 배영과 평영은 남들 하는 만큼 하고, 그렇게 많은 어려움을 느끼지않는데요...

자유형은 힘이드네요.

 

숨이 차서 중간에 멈추고 가게되구요,

몸이 잘 안뜨는 것 같고, 그러다 보니 숨한번 쉴라면 몸통을 돌려서 쉬게 되구요.

하체가 안뜨다보니 발차기 하는데도 힘이들고 전체적으로 난국입니다.

 

도움이 될만한 팀을 좀 부탁드립니다.

엮인글 :

핍^^

2015.01.12 23:57:27
*.214.201.168

ti 영법을 검색해보세요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3 01:15:42
*.62.212.13

봤는데요.그런데..이해하는데 시간이 좀 걸릴것 같아요...ㅠㅠ

DecoyZ

2015.01.13 00:02:35
*.130.82.165

자유형 호흡이 안되시는것 같군요...

배영하고 평영하고는 호흡이 다르니 

자유형으로 발차기 안하고 팔만 사용해서 천천히 가는데도 중간에 멈춰야 하는정도면 호흡이 완전 안되는거 같습니다.

호흡이 트여야 나머지도 되는데 

강사님께 물어봐서 한번 봐달라고 하는게 가장 빠를거 같아요 

근데 호흡은 자기가 먼저 터득하는거라 

팁이라면 얼굴이 수면 위로 나오는동시에 들이마셔야 하는게 팁이라면 팁이네요 ;;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3 01:18:01
*.62.212.13

감사합니다

해피가이

2015.01.13 00:08:19
*.36.149.251

예전 저와같군요. 제경우 호흡을 할줄모르니 몸이 긴장해서 자유형이 어려웠어요. 평형과 배영은 호흡이 편하고 쉬우니 다른사람과같이 강습시간에 불편함이 없었고요. 그러다 어느날 자유형할때 호흡이 갑자기 툭터지듯 편해지더군요. 팁을 드리자면 휴일에 이른시간 자유수영 타임권 구매해서 자유형을 쉬지말고 계속하는겁니다. 어짜피 익사위험도없으니 숨이차도 멈추지말고 계속하세요. 한번만 숨이 터지면 호흡이 편해지고 긴장이 풀리면서 쉬지않고 30분이상 계속할수 있습니다.점심때가면 사람이 많아서 쉬지않고 영법을 계속할수 없어요 마라톤의 데드포인트처럼 한번만 호흡되면 다른날도 자유형이 쉽게될거예요. 저도 6개월정도 지나서 자유형이 쉬워졌어요 보드처럼 넘어지고 다치는게 아니라서 도전해볼만합니다.

예고없는감정

2015.01.13 00:44:58
*.62.163.53

저는 예전에 6개월 배웠어도 자유형 끝내 못했어요66
숨을 못쉬어서ㅜㅜ
눈밥먹는 물밥(?)을 먹었어야 했군요ㅎㅎ
열심히 구르다보면 턴이 갑자기 되듯 연습하다보면 호흡이
터진다 이거죠? ㅎㅎ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3 01:18:52
*.62.212.13

감사합니다 희망을 버리지 않을 용기가 생겼어요^^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3 01:22:00
*.62.212.13

도전해보겠습니다.^^

몸치작렬

2015.01.13 01:00:54
*.11.112.155

자유형 얼마정도 가시나요? 한번에 200m이상 가시면 뺑뻉이 연습하시구요.

50m가 한계라면 몸에 힘이 많이 들어갔을 듯합니다. 호홉이 부자연스럽거나 필요이상 허벅지 아래쪽 다리를 많이 찬다든지요.

윗분 ti 영법 추천하구요.

정 안된다면 제 방법이긴 하지만...호홉은 아예 안한다고 생각하시고(가는 거리가 짧아도 상관없습니다.)  

----> 1. 일단 앞으로 갈 생각말고 한 자리에서 힘을 뺀쨰로 다리를 너무 내리지않고 몸 일자를 유지할 정도의 힘만 줘서 떠 있어 보세요. 머리는 생각보다 많이 넣으셔야 될거에요.선수들 다이빙할때 팔 밑에 얼굴두는 모습잇죠? 그 느낌 잡구요.

2. 다음은 숨은 안셔도 되니 신경쓰지말고 몸에 힘을 최대한 뺀 상태에서 천천히(빨리 ㄴㄴ) 스트로크(자세는 신경써야되요)해보세요.  다리가 물속으로 깊이 접히면 안되요.머리를 넣으면 다리는 쉽게 뜹니다. 적당한 힘으로 몸을 일자로 만드세요.

3. 그렇게해서 자세가 일자가 되고 스트로크, 발차기가 힘이 들지 않아지면(큰 근육을 써야합니다. 스트로크는 어깨랑 날개부분, 발차기는 엉덩이랑 허벅지윗부분) 호홉은 몸을 롤링하면 될것 같은데..사실 글로 보드나 수영 배우는건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보드 비기너턴이랑 너비스턴이랑 같습니다. 길게 못타도 바른 자세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3 01:20:30
*.62.212.13

네 감사합니다 실천해볼께요

겨울나그네

2015.01.13 07:15:22
*.36.151.91

힘을 빼야하는데 .... 아직도 힘을 많이 주시는가 봐요

호흡은 어느 순간에 터지는데 몸에 힘을 좀 빼야합니다

아싸아조쿠나

2015.01.13 08:12:39
*.46.237.150

팔의 비중을 높이고 킥을 줄여보세요. 몸에 힘빼고 긴장풀고 될수있으면 호흡을 생각하지 마세요 숨차다는 생각이 들기시작하면 계속 차고.. 힘들어도 계속 참고 하시면 조금씩 거리가 늘다가 어느순간 거리가 팍팍 늘어납니다. 만약 갈수록 머리가 띵할정도로 호흡이 가쁘다면 호흡법이 잘못된거고요.. 물속에서 가능하면 호흡을 많이 뱉어야 물밖에서 공기를 많이 마실수있어요. 

물속에서 조금만 뱉는걸 반복하면 체내 이산화 산소량 증가합니다. 100% 아니더라도 8~90프로는 뱉어주세요. 다리가 가라앉는건 상체가 떠서그런거라 상체를 물속으로 더 넣어주세요.

또 매우 중요한건 심리상태예요. 맘편히 먹고 자유수영하는거랑 뒤에서 쫓아오는거 신경쓰면서하는거랑 완전히 틀려요..

superMS

2015.01.13 09:19:07
*.1.255.211

몸과 다리에 힘을 빼고 팔을 쭉~쭉~! 이거 깨닫는데 저도 1년 걸렸어요ㅎㅎㅎ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4 07:45:46
*.62.212.13

흑 1년...끈기 있게 해야겠내요

Solopain

2015.01.13 09:46:21
*.47.232.126

물속에서 숨을 후욱


고개돌려서 흐흡!

덜 잊혀진

2015.01.13 10:38:04
*.166.177.124

아직 초보라.. 그냥 많이 하는 수 밖에~..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4 07:42:09
*.62.212.13

네 정답인것 같아요^^

선녀와나묶어

2015.01.13 10:46:48
*.166.173.125

우선 연습이 젤 중요합니다~힘들어도 계속하다보면 언젠가는 숨이 탁~트이는대요..물밖에서 공기들어마시는것도 중요하지만

물속에서 코로 공기를 내뱉는것도 굉장히 중요합니다..물속에서 숨을 참는분들이 계신대요 그러지마시고 충분히 코로 내뱉으시고 물밖에서 들어마셔야 숨이 덜차요 그러고 발차기 많이 하지마시고 지상에서 걷는다는 느낌으로 차주시고..몸이 간혹 하반신이 가라앉으신분들이 계신데..일자로 되게끔만드시고 발차시는게 덜 힘드세요..그러고 호흡시 몸통이 돌아가는건 다리에 킥판 끼시고 상체팔만돌려 연습하시면 좀 나아집니당..그리고 몸에 힘 빼세요!!!

예고없는감정

2015.01.13 14:48:35
*.168.171.118

선녀님~ 저도 여기 묻어가서 질문좀 드려도 될까요. ㅋㅋ

저는 자꾸 머리가 가라앉는지 호흡할려고 고개를 돌리면 물이 입속으로 훅~ 드러와서 숨을 쉴수가 없어요 ㅜ.ㅜ

저는 어케 방법이 없는지요.. ㅎㅎㅎ

선녀와나묶어

2015.01.13 15:24:08
*.166.173.125

머리가 가라 앉는거 같은신건.. 몸에 힘..그러니까 팔을 저으실때 어깨에 힘을 많이 주셔서 자꾸 밑으로 가라 앉으려고해서 그러실꺼예요.. 몸에 힘을 빼라는게 참 어렵고도 힘들어요^^;; 어깨에 힘 조금만 뺴시고 팔돌려보세요~~그럼 호흡하실때 더 좋으실꺼예요~~

예고없는감정

2015.01.13 18:27:44
*.62.163.53

감사합니다~
물먹을까봐 무서워서 힘이 들어가는게 맞는거같아요~ㅎㅎ

The One 0.5

2015.01.13 16:45:16
*.13.249.45

원인은 여러가지입니다
롤링이 안돼서 :오른쪽 호흡일경우 왼어깨를 쭈욱 밀어주시면서 몸통이 돌아가면서 시선은 천정보다는뒤쪽 대각선을 본다는 느낌으로 호흡해야 합니다

스트로크가 안좋아서: 배가 갈때 뱃머리에 물살이 ㅅ 모양으로 갈라지는거 보셨죠? 조파저항이라는 건데 수영할때는 머리를 기준으로 물살이 갈라져서 ㅅ모양으로 수면이 조금 낮아져서 숨쉬기가 좋습니다
ㅅ모양으로 머리에서 물살이생기려면 스트로크가 좋아야겠죠? 물잡기라던가 하이엘보 그런거요..

대충이정도구요 수영도 보드만큼 엄청 심오하고 재미있으니까 연구좀 하셔야될꺼예요
또 물밥도 무시못하구요

예고없는감정

2015.01.13 18:28:58
*.62.163.53

감사합니다~심오한 전문용어들이 있군요
생각치도못했는데.. 갑자기 정복하고픈 승부욕생기네요ㅎㅎ

jjum4

2015.01.13 12:58:51
*.125.251.11

호흡은 물속에서 다 뱉어야 짧은 시간에 많이 마실 수 있습니다...

다 뱉으세요...

 

다리가 가라앉는건 상체가 들리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호흡하려고 하다 보니 그러신듯 한데요...

다리가 뜨려면 상체가 내려가야 합니다...

허리를 역아치로 너무 꺾으시는건 아니신지...

배를 집어넣어 몸을 1자로 만드세요...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4 07:44:50
*.62.212.13

상체내리라는 말씀을 많이하시더라구요. 감사합니다

( ``0 쳐묵쳐묵)

2015.01.13 14:24:01
*.62.190.51

팔 두번후 호흡 좀더 나가서 세번에 호흡하나
이렇게 연습하셔요 그러면 늘어나 있을거에요 실력이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4 07:43:43
*.62.212.13

네 해볼께요^^

거북선

2015.01.13 16:46:36
*.70.52.199

음.. 제가 보기엔 가장 큰 문제점이 호흡이신듯 한데, 숨을 들이쉴때 공기만 넣으려고 하시면 아마 그런 현상이 나올듯 합니다. 공기반 물반(?)은 아니더라도 보통 처음에 허파로 숨을 쉬다가 물도 입에 조금 머금게 됩니다. 간단한 팁인데 다들 잘 모르시더라고요. 람번 해보세요.. 물론 그 물을 마시는건 아닙니다..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4 07:42:51
*.62.212.13

넵 알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헬롱사랑

2015.01.13 17:27:55
*.136.169.106

호흡은 정해진게 없습니다 장거리냐 단거리냐에 따라 호흡량을 정하서 하긴 하지만 초보시죠ㅜ배우는 단계시니 양쪽팔을 스트로크 하실때 코로 내쉬는 간격을 찾으셔야핮니다 왼팔이 돌아가서 수면위로 올라올깨쯤 부터 숨을 내 밷으실껀지 아니면 조금더 먼저 숨을 내 밷으실껀지 ㅎㅎ 중요한건 고개를 수면위로 돌렸을때도 계속 내쉬고 있어야 물을 먹지 않습니다

월차내고보드타자

2015.01.14 07:41:42
*.62.212.13

감사합니다. 그 간격을 찾겠습니다.^^

덜렁이

2015.01.14 09:07:17
*.80.241.171

숨을 조금 늦게 쉬어 보세요.

초보분들 흔한 실수 중에 하나가, 숨부터 쉴 요량으로 팔을 젖기 시작하자마자 숨쉴려고 고개를 돌리는 건데요.

팔이 절반 이상 돌아간 상태에서 숨을 쉬어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기타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1] Rider 2017-03-14 54458

핸들돌릴때...자꾸 이상한 소리가 나요;; [24]

  • 1
  • 2012-10-04
  • 조회 수 13636

4,5번 척추 협착증 치료 어떻게 하나요? [8]

아이폰 특정번호 수신차단 [1]

k5 와 k7 유지비 [3]

노원역 주차할 곳 추천좀요~ [5]

소개팅 후 진도 어떻게 나가야 하나요?? -_-;; [14]

수술후 상처 아무는데 걸리는 시간? [5]

갈비뼈 금갔거나 타박상입으셨던분 조언좀 해주세요 [5]

쓰레기 종량제 봉투 몇개씩 파는건가요? [24]

담석(쓸개)제거 수술 후.. [8]

이볼브 전동보드 고민이에요... [23]

저도 교통사고 합의금 질문드려요(입원 3일, 통원 2주)| [5]

  • 00
  • 2010-11-15
  • 조회 수 13401

아이폰 특정 번호 전화 수신거부 방법 ㅡㅡ [5]

  • ㅡㅡ
  • 2011-05-18
  • 조회 수 13399

남성 정장 아울렛 vs 백화점 질이 정말 틀린가요? [11]

된장에도 유통기한 있나요? [12]

스마트키를 차안에 놓고 내렸다가 잠겼는데요.. [3]

돼지고기는 1인당 몇근 먹죠? [30]

타일시공 쪽으로 이직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17]

수영 질문이에요. 자유형 잘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32]

짱라이브같은 어플 없나요?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