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보드문화를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면 그라운드 트릭이라고 하겠습니다. 정말 많은 보더들이 보드의 실력을 그라운드 트릭으로만 따지려는 경향이 참 많습니다.
예전에 동영상 자료실에 프로의 하프파이프 영상이 올라온적이 있었는데, 어마어마한 베이직 에어 높이에도 불구하고, 반응이 시큰둥 한적이 있습니다. 그에 반면에 아마추어의 그라운드 트릭 영상에는 엄청난 관심이 있었구요..

1. 좁은 한국 현실상 그라운드 트릭은 어쩔수 없는 선택
2. 외국사람들도 그라운드 트릭에 능하지만, 한국은 그라운드 트릭에만 목숨거는 것은 안타까움

3. 그라운드 트릭만 아는 문외한 가끔 더 고수의 프로들이 무시 받는 어처구니 없는 경우가 생김
4. 기본기가 다져지지 않은채 무조건 돌리면 멋지게 보이는 문화에 비판

5. 한국인의 장점이자 단점.. 무얼하던 남들에게 보이는 것을 너무 중시함..(체면,가오)

그라운드 트릭은 스노우보드의 작은 부분이 일뿐데, 우리나라 보드장 현실때문에 어쩔수 없는 것 같습니다. 요즘 다행히 파크시설이 좋아지고, 해외원정이 대중화 되는 것이 많은 분들의 시야를 넓히게 해줄 것 같습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757

3년후의 헝그리보더.컴은? [46]

그라운드 트릭 위주의 보드 문화 [26]

직장인 보더의 스킬향상 방법 [25]

라이딩용 데크 트릭용 데크 지빙용 데크에 관하여 토론및 추천 [42]

스노우보드 대회때 관중이 왜 이렇게 없어요? [29]

  • Mlll
  • 2007-10-29
  • 추천 수 87
  • 조회 수 4916

한국의 실내 보드장의 미래?라고 해야 하나? [15]

타이거월드에 대해 토론좀 합시다. [35]

"부드러우면서 탄성좋은 데크란 절대 존재할 수 없다"란 생각입니다.^^ [11]

중고장터에 관하여! [9]

  • .
  • 2007-02-02
  • 추천 수 82
  • 조회 수 3644

헝글 각 게시판의 성격에 맞는글 쓰기.. [13]

스노보드대회를 개최한다면... [14]

"보드장소식"에 올라오는 설질 평가 [16]

이번 시즌 최고로 헝그리하게 보드 타는 방법을 토론하고 싶습니다.. [19]

보드 기술 선수권 대회를 하면 어떨까? [4]

파이프에서 POP 과 관련하여.... [18]

카본재질의 하이백 파손은 사용자의 문제인가? [17]

  • **션**
  • 2007-03-14
  • 추천 수 80
  • 조회 수 5327

샵들의 이벤트 당첨자 추천에 대한 의문 [10]

무료버스 [19]

[펌] 한국과 일본의 스키용품 가격 왜 비교가 되나.. [10]

시즌을 마감하며 올해 보드 뉴스 탑10 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