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날엔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가 엄청 나지만, 점점 시간이 지나면서, 프로같은 아마추어님들도 많이 있는듯합니다.
자비로 원정을 따니가도 하구요.

그렇다면 이젠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는 스폰서차이일까요?
당연히 실력도 중요하겠지만, 이젠 줄을 어떻게 스느냐, 인맥관계가 어떻게 되는냐 등.... 이런것도 중요하지 않나 생각이네요.

그렇다고 프로님들의 수준을 깍는것이 아니고, 요즘 프로같은 아마추어님들이너무 열심히 타셔서, 거의 프로님들 수준급까지 왔다고 말하고 싶을뿐입니다.
엮인글 :

라스

2006.09.22 08:31:47
*.151.236.70

협회등록여부//
아마츄어분들도 스폰받으시는분들 꽤되십니다

나가이머~

2006.09.22 09:46:59
*.75.114.233

외국프로들과 비교한다면????

구르는 보더~!

2006.09.22 12:58:29
*.241.177.6

어떠한 상황에서도 최고의 결과물을 만들어 낼수 있느냐 없느냐로 저는 프로와 아마추어를 구분합니다.

정어리

2006.09.22 14:33:25
*.107.22.126

프로와 아마츄어의 차이는 주업이 무엇이냐 아닌가요?
보드로 먹고살면 프로, 다른 직업 있고 보드는 취미면 아마츄어.
실력이야 결과일뿐 구분에는 상관 없다고 봅니다.

니르

2006.09.22 14:36:16
*.74.124.249

프로들도 원정은 자기돈으로 가는거 아닌가요?
돈 스폰받는 프로들 그렇게 많지 않은걸로 아는데...
요즘들어 실력으로 따지기엔 좀 뭐한게 있긴 한거 같습니다....

앵벌이보더

2006.09.22 17:22:31
*.232.43.57

프로님들두 자비로 원정가시는분들 많습니다.
많이들 스폰 받아서 보드에만 열중할수 있었음 좋으련만;;;
프로보더님들 화이팅~~~

제파

2006.09.23 02:19:20
*.227.233.115

실력으로 프로,아마를 구분짓기엔 모호한거 같고...
프로로 등록되어 있느냐의 차이일거 같네요...
프로분들중에 주업 따로있는 분도 있습니다~

으깽호박

2006.09.23 08:10:46
*.6.114.11

우리나라에서.. 보드만으로 돈 벌어 살기 힘들꺼 같은디..^^;; 고쿠보나.. 타다시 처럼... 해외프로팀으로 나가지 않는 이상..ㅡㅡ;

깡패토끼

2006.09.23 09:02:04
*.225.53.5

해외프로팀도 실력이되야 가지않을까요..-_-;; 프로분들 무시하는발언아닙니다..

Jay-Z

2006.09.23 21:46:20
*.47.206.207

깡패토끼님의 의견에 동감......솔직히 프로분들 무시하는 게 아니라 국내 프로 수준이 미국 아마추어 수준입니다.....박성진,김호준,한진배 선수들 정도 빼면.....

미친메쏘드

2006.09.23 21:56:01
*.128.202.120

정말 잘타시고 누가 봐도 저사람은 잘탄다. 직업이 스노우보드인분.
구걸한 스폰서가아닌 진정 받는 스폰서를 갖고 그것으로 자신을 항상 발전시키려는
분들. 프로라이더.
스폰서 있다고 프로가 된마냥 우쭐대는 사람들. 별거아님.
보드를 잘타고 싶어서 열심히 타고있는 분들. 아마추어.

volcomsnow

2006.09.23 22:09:54
*.120.95.200

jay-z 님 얼마나 잘타시길래 우리나라 프로들을 평가하시는지....

미국 아마추어도 미국 프로랑 실력 많이 차이나는거 아닙니다..

Jay-Z

2006.09.23 23:45:40
*.47.206.207

잘못타면 대회도 보면 안되겠네요.......
못생겼으면 미스코리아 선발대회도 보면 안되겠네요.....

백구

2006.09.24 00:17:16
*.209.23.103

정어리님 말씀이 정답!!
보드로 먹고 살면 프로~보드가 아닌 다른일이 있다면 완전한 프로라고 보긴어렵죠~
우리나라 현실에선 보드만 가지고 먹고 살기는 많이 힘들듯~~~~~`

A.J.Kuhn

2006.09.24 02:02:37
*.111.241.184

프로의식 보유여부

shrimp-mania

2006.09.24 12:39:53
*.249.70.8

보드로 먹고 살려면 최소한 스노우보드 회사의 브랜드를 대표할 수 있는 레벨이 되어야 한다는 거죠-

우리나라는 지연, 학연에 의해 스폰을 받는 경우가 너무 많습니다-

버즈런 빼고는요-

volcomsnow

2006.09.24 15:01:25
*.11.97.208

스폰 받는다고 다 프로는 아닙니다..

스폰기준으로 프로 아마추어 기준은 아닌듯 하구여..

사실 외국에도 우리가 알고 있는 최고 메이져급 프로들도 있지만

샵에서 스폰받는 아마추어급 프로들도 많이 있습니다..

우리나라 프로들도 열씸히 노력하고 있고 그중 실력이 좀 떨어지는 프로도 있는건 맞습니다..

그렇다고 우리나라 프로들을 다 싸잡아서 외국 프로들 아마수준이라고 하시는건

프로들 수준을 깍아내리는게 아닌듯 싶네요..

그리고 Jay-Z 님 어느정도 타시는분이신거 같으신데 일반사람들이 그런평가하는건 이해하지만 보드타는 분들이 그렇게 얘기하시는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박동

2006.09.24 21:14:03
*.76.166.184

음~성질내면서까지 그럴건 아닌것 같은데...
jay-z님은 단지 국내 실정이 그렇다구 한것 아닌가요??ㅋㅋ
솔직히 우리보다 훨씬 먼저 보드를 타던 외국애들한테 늦게 시작한 우리들이
딸리는건 사실이자나요~ 모두가 그런건 아니겠지만~
어느분야나 먼저 시작하고 인프라가 잘 갖춰진 곳이 좋은 선수가 나오기 마련인데~쩝...
그러구 스폰은 돈이 되니깐 하는거 아니가??기업들은 장사를 하는 곳이니깐 당연히 돈이 되는 사람들에게
스폰~ㅋㅋㅋ뭐 경제적 원리~아닌가요??ㅋㅋㅋ

스푸트니크

2006.09.25 12:07:33
*.81.31.33

프로 등록이란게 있나여?? 선수 협회가 있고...두개의 협회로 나뉘어 정신이 엄쪄.. 서로 인정 하지 않으려는 부뉘기..ㅋㅋ 프로라 하면 최소한 장비 스폰이 아닌 그장비에 대해 이용해 줌으로서 돈을 받고 대가를 받는 분들이 프로 아닐까여... 장비 몇개 받았다고 모두 프로가 될수 있는건 아니져... 어떤 심판분이 그러더군여... 요즘 프로와 아마추어와의 경계가 거의 없다고...

쩡수뉨

2006.09.25 12:26:56
*.108.47.2

아름다우면 프로.. 안 아름다우면 아마추어..

프로는 아름답댔잖아요~

!럭셜보더!

2006.09.26 13:01:26
*.119.7.155

프로는=직업

아마츄어=취미
고수 아마츄어=학생이나 기타 사유로 돈벌이보단 취미로 즐기고싶은분

나뭐사죠

2006.09.26 15:39:44
*.174.132.11

마인드의 차이가 아닌가 싶은데용~

몇몇 프로를 알고있지만,
정말 어떠한 상황에서도 보드에 대한 열정을 잃지않더라구요~

날아라 RIDE

2006.09.27 10:31:51
*.173.9.14

프로 = 해탈의 경지

어물쩡뽀

2006.09.28 17:30:43
*.80.237.30

프로라~~두 글자가 우리 헝글보더님들을 열받게 하네요~~
다들 프로같은 아마추어가 되세요~~~스폰은 제가 츄러쓰 쏩니다..지산에서~~

베베신

2006.09.29 11:09:45
*.104.128.101

외국프로들의 대부분은 개인직업을 가지고 있습니다..
목수도 있고 경찰(얼마전 무슨 스키대회에서 금메달을 딴 선수)도 있고
개인사업이나 가게를 하는 사람도 있고..
직업이냐 아니냐로 프로, 아마츄어를 구분하는건 아니지요..^^

바라미안

2006.10.02 01:32:12
*.191.216.222

그런데... 그냥.... 보다 보니까... 궁금해서.... 그게 그렇게 중요한가요?

rider BEAT

2006.10.02 08:38:43
*.111.156.10

스폰은 오히려 개인의 능력이구요, 프로스노보드협외에 올라가 있느냐 아니냐의 차이겠죠.
올림픽 출전하는 해외선수들. 자신의 직업이 따로 있다는건 들어보셨겠죠?ㅎㅎ

녹색강아지

2006.10.02 13:39:05
*.128.202.120

못들어봤는데요;;

maverick77

2006.10.03 12:38:46
*.27.21.228

외국 프로들도 숀화이트 급 선수가 아니면 다른 직업을 가져야 하는걸루 알고 있습니다.
외국애들은 고교 졸업후 바로 독립을 하지만,
울나라는 사회 구조상 군대도 가야하고,
20대 초반 선수들이 부모에 얹혀 사는구조라서 홈스폰 받아서 그게 문제죠.
다른 직업 갖는것은 자기능력이고 자기 먹고살려고 하는데 뭐라고 하는건 이건 아닌듯...

volcomsnow

2006.10.03 14:18:06
*.11.97.194

프로의 기준을 묻는데... 동문서답하시는분들이 많으시네요..

수달™

2006.10.04 15:30:48
*.159.38.241

이상하네요..프로와 아마추어를 구분하는 기준에 어떻게 다들 실력을 외면하십니까?
전 프로와 아마추어의 갈림길은 오로지 실.력.이라고 본니다.
프로의 실력이 태어날때부터 타고 나는것도 아니고 아마추어에서 실력이 성장하면 프로가 되는거니까
아마추어같지않은 아마추어는 당연히 많은거고, 문제는 우리나라엔 프로같지않은 프로가 많다는거죠..;; 솔직히 않그렇습니까?

한구피

2006.10.17 11:23:40
*.241.36.48

연봉을 받느냐..?
안 받느냐의 차이 아닌가요....?
당연히 장비스폰은 받겟지요~~

았사!

2006.10.17 16:17:22
*.109.175.249

프로건 아마추어건 어차피 보드 즐기려고 하는짓이니... 마인드만 있으면 나도 프로가 될수있다는 생각을 해봅니다

뉴질랜더르

2006.10.18 01:42:06
*.77.66.223

보드만타서 먹고살아야

excho

2006.12.16 01:48:47
*.15.141.132

솔직헌말루 쫌 타는 일본 아마 애들도 한국 a급 프로만큼 탑니다. 비록 미국은 안가봤지만
양코애들 타는거 보면 참 말이 안나오던데요....물론 다 그렇다는건 아니구요
로컬 에서도 좀 알아주는 애들은 한국 a급 프로만큼은 탑니다. 더 잘타면 잘탔지....
환경이 다른걸 어쩌겠어요.....스키장 수준이 다르잖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4

봄철시즌이 보드 실력 늘리기 좋은 이유. [21]

휘팍의 양아치 마인드 계획 폭로 [21]

[re] 누구나 칼럼의 리프트권 절약법에 대해서.. [9]

a/s에 대한 부주의는 누구의 책임인가? [2]

프로와 아마추어의 차이점은 스폰서 차이점? [35]

  • 휴먼fly
  • 2006-09-22
  • 추천 수 62
  • 조회 수 3760

스키 보드에 자율안전검사에 대해.. [12]

  • batu
  • 2007-08-03
  • 추천 수 62
  • 조회 수 3007

장비와 패션 문답일색인 헝글보더 이대로 좋은가~~? [14]

  • volcomsnow
  • 2006-11-02
  • 추천 수 63
  • 조회 수 2479

헝그리보더에서 광고가 제한된 제품을 홍보하는 게시글에 대해.. [51]

자세에 대한 고찰 [10]

이번시즌 파크에 대한 평 [12]

  • 들랜
  • 2009-02-19
  • 추천 수 63
  • 조회 수 4081

시즌권 검사할때 마스크,고글 벗으라면 벗어야 되나? [44]

  • 날라~
  • 2007-01-08
  • 추천 수 63
  • 조회 수 6885

전경(선행)에 관하여.. [11]

  • 트로미
  • 2006-02-01
  • 추천 수 63
  • 조회 수 2492

불우이웃과 수재민을 도웁시다.헝그리 이름으로... [7]

  • mentor21
  • 2003-09-23
  • 추천 수 63
  • 조회 수 3181

현재의 리프트 가격이 적정가격인가? [11]

  • Rogy
  • 2006-11-28
  • 추천 수 63
  • 조회 수 3190

[안건] 이런 방안 어떨까 싶네요 함 의견 모아보죠? ^^ [11]

  • 보헤
  • 2006-12-24
  • 추천 수 64
  • 조회 수 2167

[무료]이거 드려요~ <= 이런건요? [8]

  • ::해피::
  • 2006-05-16
  • 추천 수 64
  • 조회 수 3492

방출 게시판 [24]

장비의 경량화에 대해 토론해 봅시다. [19]

왁싱후 스크래핑의 필요성! [46]

  • 100_NO
  • 2007-02-14
  • 추천 수 64
  • 조회 수 5997

레이싱 팀에대한..... [11]

  • DJK
  • 2007-01-29
  • 추천 수 64
  • 조회 수 26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