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십니까!! 맨날 눈팅만 하다가...리플은 가끔달아요~~ㅎㅎ

이벤트는 항상 응모하고..^^;;

제가 철도에 다니고 있습니다. 뭐...잦은 파업으로 욕많이 얻어먹고 있지만...
이야기 하면 한도 끝도 없고요..

우리 헝그리보더님들께 부탁드리고자 해서 이렇게 토론방에 글올립니다.

12월8일부터 서울에서 강원랜드까지(정확히는 사북역까지죠..고한역까진가..^^;;)

운행하는 열차가 생겼습니다. 홍보하는게 아니고 뭔가 잘못된 열차죠..

일단 시간적인 문제점과 강원랜드와 시즌권&콘도&기타 혜택에 관련된 협의가

되지않아(담당자가 전혀 보더가 아닌듯 싶습니다...직원의견도 구해본적 없고.
어느날 갑자기 생긴다고 하더군요...) 문제점이 많은 열차같습니다.

저도 베이스는 성우이고요..

이 열차가 조금이나마 성공하기 위한 보더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합니다.

예) 시즌권과 연계 운송수단으로 할인해달라~~, 내지 시즌방(강원랜드호텔이용)과
동호회 유치전략으로 이렇게 이렇게 해달라~~모두 좋습니다.
서울청량리역 외에는 무정차로 해달라..아무거나요..

아무쪼록 어떠한 의견이라도 좋으니 고견좀 부탁드립니다.^^

P.S.
이번에 혼자서 그냥 해보는 거라서 혹시나 헝그리보더님들의 리플을 참고로
좋은 제안이 되어서 철도할인권이나 상품권 얻어내도록 노력해보고
리플달아주신분들에게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그런데 장담은 못드립니다.^^

엮인글 :

지커™

2006.11.25 08:34:57
*.130.102.91

어떤점에 있어서 문제인지 알려주시면 의견 수렴이 더 쉬울듯 싶습니다.

나뭐사죠

2006.11.25 14:53:01
*.174.132.16

철도공사 하는일이 늘~ ㅡ.ㅡ...

송이버섯

2006.11.25 15:10:00
*.237.218.33

늘..당첨자 명단에서 뵙던 레몬레일님이시군여..ㅋㅋㅋ

문제점을 먼저 알려주셔야지 더 많은 의견이 나올꺼 같은데요..

베슷바바

2006.11.25 19:25:35
*.116.74.45

청량리역외에 무정차 추천~

tunastew

2006.11.26 01:08:28
*.77.105.7

강원랜드 스키열차의 가장 큰 강점은 안전한 기차여행이라는 거죠.
벌써부터 강원도 정선쪽의 겨울운전에 대해 위험하다고 만류하는 글들이 많이 올라왔고,
자가운전으로 서울에서 4시간 이상 걸린다고 하면, 사실 운전은 많이 어렵습니다.

그런데, 알려진 열차정보를 보니, 문제가 있는게
(1) 편성의 부족: 하루 상하행 한번이라고 알려진것 같은데, 그렇다면 선택의 여지가 없죠.
(2) 상대적으로 비싼 요금 : 시즌버스 왕복2-3만원이면 되는데, 열차는 서울왕복이 45000원입니다.

저도 하이원 개장하면 한번은 가볼려고 하는데, 지금과 변함없다면 스키열차보다는 시즌버스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동호회사람들 더 모이면 차로 무리해서라도 가는게 절약될 수도 있을것 같구요.

보드타다 보면 언제 돌아갈지 본인 스스로도 모르는 경우가 태반인데, 지금 스키열차 편성보면,
숙박문제와 겹쳐서 이용하기 난감하게 되어있네요.

얼음보더보더

2006.11.26 03:29:38
*.104.243.69

부산에서는 9시간 걸린답니다-0-;;;

미국가는것도 아니고 -0-;;

멋진기건

2006.11.26 09:19:53
*.159.80.70

왕복기차요금만 45000원 이라는게 가장 문제인것 같습니다. 7만원 선에서 왕복요금에 리프트까지 이런거 생기면 좋을것 같아요.

령~☆

2006.11.26 18:03:06
*.73.20.160

왕복 + 리프트권 SET
왕복 + 숙박 SET
이런식으로 셋트상품도 있었으면 좋겠군요.

꼭 스키장뿐만아니라도 싸우나 이용권이라던지 다른 상품과 셋트로 해서 좀더 할인된가격을..

jointheparty..-_-;;

2006.11.27 02:06:20
*.237.161.62

KTX를 운행 하게 하면 어떨까여.?? ㅋㅋㅋ

타우리

2006.11.27 13:49:58
*.9.153.55

주말(금/토) 무박2일 세트권(조식,리프트,왕복)
어떨까요.

스노라이더

2006.11.27 15:14:02
*.148.134.1

아...레몬레일님께서 철도공무원이셨네요.
시즌패스식으로, 저렴한 가격에 공구형식으로 했으면 합니다.
평상시 가격도 아닌 동호회차원의 공구 형식이라면 큰 문제는 없을듯 하네요.
물론 정차구역을 줄였으면 하는 바램이구요.

레몬레일

2006.11.27 18:24:54
*.173.9.14

좋은글 올려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일단 오늘 스키열차 수정제안 올렸습니다.
어떻게 될지는 모르나...강원랜드쪽에서도 나쁜게 어느정도 혜택부여에 대한 얘기가 없었던건지..
우리회사에서 폭리를 취할려고 한것인지..담당자가 무능했던것인지...
아무쪼록 서로가 winwin하는쪽으로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앞으로도 좋은의견 부탁드리고요. 항상 행복한일 가득하십시오.
제안채택되거나 잘되면 바로 응답달아주신분들에게 돌려드리겠습니다.^^

켄신뽀더

2006.11.28 16:51:30
*.180.210.195

갈려고 했는데...역시 문제점이 드러나는군요..시급히...해결되기를..바라네요.

니벨룽겐

2006.11.28 19:20:16
*.147.10.15

45000...가족단위로 간다면...헉 ....장난이 아니네요?

조구리

2006.11.29 18:05:37
*.118.77.158

비싼금액이 가장 큰 문제에 한표요
서울역주차요금or택시비(새벽에장비들고;;) 에 비싼요금에 시간은 고속버스보다느리고(6시기차탄다 쳐도 10시도착 얼레불레 11시에 슬로프 나가겠군요)-ㅇ-
윗분들 제안하는거 꼭 이뤄주세요..
추가.. 기차안에서 거의 잠만자지않나요? 어차피 새벽에 출발 ,,, 보드신나게타구 돌아오는 밤기차인데,,,,,
기차꾸미고 머다머다 객실이 많은데 그런거 다 심플하게 만들고 요금을 내리시길....

tunastew

2006.11.30 00:14:13
*.77.105.7

제안하셨다니 기대가 큽니다.
강원랜드 하이원 소식대로라면 정말 한번 가보고 싶은 마음이 굴뚝 같습니다.
아마 저같이 호기심가진 사람 많겠죠.

그런데 요즘 하이원 생각해보니 서울-하이원간 교통편이 참 문제이긴 문제입니다.
상주자 아닌 다음에야 왕복해야 하는데 자가운전, 버스, 스키열차 모두
시간거리가 많이 소요되어 부담이 큽니다. (비용을 떠나서라도)

모처럼 시간내서 가는건데, 주간한번 탈려면 도대체 서울에서 몇시에 출발해야 하는건지.
스키열차 지금 서울출발시간이 8시로 되어 있는데 도착하면 점심나절인데요.
이건 정말 아니죠.

미혼직장인이나, 자녀들 둔 가장 입장에서는 하이원은 그림에 떡이고,
한번 가는데 시간, 비용이 너무나 많이 듭니다. 교통비에 리프트권만 해도 1인기준 15만원. 4인가족이면 얼마입니까.

방학있는 대학생들도 하이원 매력있지만, 스키열차는 매력없죠.
일단 비싸고, 시간 애매하죠. 게다가 역까지 보드백매고 다녀야 하는데, 그냥 버스타려고 하겠죠.

설사 하이원리조트에 매력을 느껴서 힘들게 돈써가며 찾아가는 사람들이 있더라도,
꼭 스키열차를 이용해야 하는 것은 아니죠.
이게 핵심이 되겠네요.

그리고 윗분 말씀대로, 스키열차 꾸미고 이런거 별로 어필하지 못할 것 같구요.
이동중에 전부 자기 바쁜데요.
하이원리조트 이용객들 입장에서 구체적으로 생각해보시면 스키열차 개선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레몬레일

2006.11.30 00:52:57
*.173.9.14

위에 세분 정말 감사드리고요..
안그래도 요금문제도 올렸습니다. 그리고 이벤트객실이니 장비보관실이니 다 올려놨고요..
차라리 객실을 개조할거면 장비보관대로해서 3단으로 맨밑에 뎈, 그위에 잡다, 그위에 큰가방놓을수있게
해서 차라리 빈공간을 최소화 해줬으면 한다고 했습니다.
왜 괜한 객실전용시켜서 요금만 올려놨는지...
그리고 차라리 시즌권과 통합으로 버스처럼 해서 초기위험 줄이고 할인혜택주고...
당일치기나 2일또는 3일 휴가로 갔다오는고객을 위해 하이원과 협약해서 회사자체에서
콘도회원권 구매후 또는 콘도 몇개실을 받아서 운용했으면 좋았을것을...
하여튼 전 일개 직원이기때문에 큰 힘은 못되지만 같은 보더로서 저희회사에서
이런 얼토당토않은 상품을 판다기에 일단 개선건의 올린겁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37

장애인들의 스키장 사용에 관한 이야기. [15]

요즘 데크가 잘 부러지는 이유 [17]

  • Gatsby
  • 2008-08-13
  • 추천 수 57
  • 조회 수 9268

중고장터 카테고리화 하는게 어때요?? [7]

  • ez1
  • 2006-12-09
  • 추천 수 57
  • 조회 수 2011

부적절한 아이디 사용자에 대한 제한. [27]

  • 달팽
  • 2007-02-09
  • 추천 수 57
  • 조회 수 3618

스키와 보드의 저변의 차이? [16]

BOKH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35]

  • 百日紅
  • 2006-08-18
  • 추천 수 57
  • 조회 수 2246

J턴의 위험성에 대한 헝글님들의 의견은? [27]

아이들을 위한 보드 교육 순서에 대해 [5]

  • youngpc
  • 2008-12-27
  • 추천 수 57
  • 조회 수 3110

스노보드 생초보 강습비 정하기를 토론해 봅시다. file [79]

  • GATSBY
  • 2015-01-05
  • 추천 수 57
  • 조회 수 13489

"상향 평준화된 보드장비, 더싸게 살 여지는 없는가?" [83]

강원랜드 스키&보드관련해서 고견을 얻고자 합니다. [17]

데크-블라인드 테스트로 구별할 사람 몇이나 되나? [12]

  • David
  • 2003-09-22
  • 추천 수 57
  • 조회 수 3582

헝글에서의 한글. [19]

스노우보드 잘타는 법? [45]

32 부츠는 열성형을 하지 않으면 그 성능의 50% 이상을 까먹는다 [9]

트윈팁, 트윈디렉셔널, 디렉셔널 분분한 분쟁을 잠재워 봅시다 [11]

  • 보헤
  • 2006-12-24
  • 추천 수 58
  • 조회 수 5337

레이싱팀의 만행(도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29]

보즈장서 가장 보기싫은 유행은??? [88]

시즌이 끝나가는 시점에서 올 시즌 스노우보드 뉴스 탑10은 뭘까요? [18]

최고로 멋진 보더가 바로 이것이라는거 아시나요~~~?? [28]

  • volcomsnow
  • 2006-10-10
  • 추천 수 58
  • 조회 수 5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