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슈퍼매틱 카본 예판 고민하는데, 문득 그렇게 다 좋다 좋다하는 플럭스도 생각이 나네요.

(사실, 슈퍼매틱은 마침 카본이기도 하고.. 무엇보다 그 전에 남자로서 문명의 최신판을 보드에서만큼은 한번쯤 나름 얼리어댑터로 써보자라는 오기가 있습니다. 평생을 꼴찌 어댑터로 살아왔거든요. )

 

 

플럭스가 좋다고 하는게,

스트랩이 꽉/단단하게 잡아줘서 그렇다는 것인지 아니면 힐컵/바디가 단단해서 그렇다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헝글 찾아봐도 그냥 꽉 잡아준다. 반응성이 좋다. 이정도로만 언급되어 있긴 한데.. 둘 다 너무 휼륭하다는 건지.

(주로 언급되는 힐쪽 데크쪼개짐 문제는, 제가 보기엔 플럭스 바디재질이 카본도 아니고..아마  힐쪽 상판에 닿는 베이스플레이트 형상이 꽤 뾰족한 것과.. 플럭스 쓰는 주된 층이 기울기 이빠이 전향라이더이기 때문에.. 2개가 합쳐져 집중하중이 그 뾰족한 곳에 한번에 몰리기 때문이라고 보는 편입니다. 그게 쐐기처럼 데크를 쪼개버리는 거죠. 거기다 데크 플렉스도 영향도 받겠습니다. 소프트하면 더 잘 조깨지겠죠.) 

 

 

 

제가 슈퍼매틱을 곰곰히 보건데,

그 구조상 힐컵에 집중되어 베이스플레이트까지 전달되는 하중을 버티기 위해 일반 바인딩보다 바디자체 강성이 높은 것으로 봅니다. 일반 바인딩과 같은 재질이면 결국 두께를 두껍게 하고 내부격자구조등을 강화했겠죠.

그렇다 보니, 이게 결국 바인딩 반응성 향상으로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힐턴요.

 

보통 일반 바인딩의 경우 부츠가 주로 바인딩에 힘을 전달하는 부분은 힐컵이 바디에 연결된 나사부분 근처입니다. 그부분이 가장 부츠와 가깝게 닿아있으니까요. 그런데, 슈퍼매틱은 힐컵(롤러부분)을 통해서 전달되다보니-부츠가 어떤 의미에서는 힐컵에 걸린 그네에 앉아 있는 형상이다보니- 상대적으로 상판으로부터 높이가 높죠. 결국 바디가 거의 휘지 않는다는 전제하에, 데크를 휘게 만드는 힘 모멘트 크기는 데크상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슈퍼매틱이 그만큼 유리합니다. 근데 바디가 전혀 안?휘진 않을테니.. 결국 쌤쌤이일 수도 있지만.. 암튼 바디자체 강성은 슈퍼매틱이 엄청 좋을 것으로 추정합니다. 

 

단... 힐턴일때 그럴테고, Kaon CX의 스트랩과 슈퍼매틱이 동일한 것으로 볼때.. 스트랩 자체는 반대로 좀..소프트/유연한 것 같습니다. 슈퍼매틱 것을 그대로 Kaon쪽에 쓴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아마 슈퍼매틱 그 특징상 스트랩이 잘 늘어나야 하니 그렇게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추정을 합니다. 스트랩이 헐겁거나 잘 늘어나면.. 부츠 넣을때는 편하겠지만 특히 토엣지때 힘/반응성을 갉아먹습니다. ㅜㅜ. 

 

아마 플럭스보다 슈퍼매틱의 반응성을 높게 치지는 않는게 아마 스트랩탓인지 아닌가 합니다. 

다른 바인딩은 몰라서 정확한 차이를 알 수 없는데, 소유중인 롬 Cleaver 바인딩의 스트랩이랑 비교하면 특히 앵글은 무시한다고 쳐도..토는 정말 쉽게 늘어나더군요. 대신 바인딩 강성은 일전 글 처럼 Kaon CX 낫습니다. 

 

 

 

카본 슈퍼매틱은, 토 스트랩은 여전히 그대로인 것 같고 앵글스트랩을 강화했더군요. 그쵸.. 바디가 월등히 강성이 생겼는데 스트랩이 그대로면 너무 언밸런스 할테니.. 

암튼, 최소한 카본 슈퍼매틱은 대부분의 라이더의 약점인 힐턴을 강화시켜주는 데는 아마 최고지 않을까 싶은데, 대신 토턴은 상대적으로 좀 희생해야할 겁니다. 편하게 넣고 빼고 부츠에도 손상을 덜 주려면, 당연히 스트랩을 아무래도 약간은 유연하고 잘 늘어나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사실, 그냥 슈퍼매틱도 제가 보기엔 힐턴만큼은 플럭스보다 나을 것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힐턴로테이션 유무가 크게 차이를 만들어내지 않을 것으로 보고요.)

 

 

 

암튼, 15년간 롬 바인딩만 쓰다가 이번에 처음 타 브랜드 니데커 바인딩 접하고 나니, 문득 제가 보기엔 거의 전향 라이더에 한국바인딩급으로 통하는 플럭스가 진짜 그렇게 뛰어난가 궁금하기도 하고, 힐턴에 한해서 슈퍼매틱과 플럭스 사이 반응성 차이도 궁금합니다.  

 

  

엮인글 :

5센치

2024.05.22 20:23:13
*.39.181.109

이건 뭐랄까 직접 해보셔야....
개인 주관으로는 하이엔드 장비들 특성이 이미 끝의 끝 성능이라면 좀더 끝의 장비류 비교보단 사용자의 여러 장비들과 궁합에서 나오는 퍼포먼스로 그 반응이란 것에 좀더 영향이 있지 않나 싶어요..... 예를 들어 본인이 증량후 근력을 키워서 파워있는(요구하는) 모델을 채용하기도 하지만 감량후 한단계 아래 장비를 채용하기도 하는 것이죠 결국 나한테 빠른반응 이란것에 초점을 두고보면...올릴만큼 올려버린 하드웨어 스펙은 거기서 거기 일테니 궁합으로 가는게 어떨까 싶네요 동문서답을 해버렸지만 하이엔드 끼리 비교에선 유의미한 결과는 결국 궁합이 아닐까 합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2 21:11:17
*.197.6.155

'타봐야안다.'
'하이엔드급에선 결국 궁합이다.'

우문에 현답을 주셨네요. 궁합..
결국 중용이 중요해진다는 말 같기도 하고 주어진 조건에서 취향에 따라 결정된다는 말도 되고.

돈을 지르고 타보느냐 안 타보느냐 문제네요. 조언 감사합니다.

Firststep~!!!

2024.05.23 07:50:47
*.161.48.2

경험하지 않은 것을 추정+단정하는 장문의 글로 질문 하시는게 재밌네요. 

장비를 바꾼다고 되던게 안되지 않고, 안되던게 되지 않습니다. 장비는 그냥 도울 뿐이죠. 중고로 사서 해보세요

난틀렸어요

2024.05.23 10:03:05
*.70.46.240

스스로 정리도 되고, 음.. 아직까진 이렇게해서 쓸데없이 장비를 사고 시간낭비하고 다시 파는 일은 없어서요.
괜한 시간 쓰고 다시 처분하는 것도 일이고 비용이니까요.

개인적으로 허들이 높을 뿐입니다. 단정이라기 보단,,추정이고.. 물리적인 선이니 판단에 상당한 근거는 되줍니다. 실제로 테스트할때도 고려되야하고. 장비를 더 잘 사용하기 위해서도. 혹은 라이딩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서도.

장비는 도울뿐이지만. 장비는 중요합니다.
안되던 걸 되려고 하는게 아니라.. 적은시간에 최대한의 즐거움과 체험을 얻고자 함이죠. 특히 본인의 목표에 맞는.

그치만, 답은 하던가 안하던가 이긴 합니다.

연구형

2024.05.23 10:11:38
*.101.193.232

XF XV 쓰다나 CLEW 써봤는대 나쁘지 않았습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3 10:23:06
*.126.20.37

읍음. 저는 clew는 이상하게 별로더라고요. 안 이뻐보이기도 하고..ㅡㅡ.
먼가 슈퍼매틱만큰 시스테믹해보이진 않아서.;;

사실, 반골기질?이 좀 있는지 버튼이나 플럭스는 오래전부터 유독 눈에 안들어오긴 했습니다. 하하.

작달비

2024.05.23 21:44:32
*.178.112.229

힐턴이 잘안된다면 그냥 자세문제입니다
반응성은 나중에 풀카빙되고나서 하체를 어느정도쓸때
리바운딩,엣지체인지시 크게체감되는 부분이고요

난틀렸어요

2024.05.24 01:00:19
*.197.6.155

힐턴 잘 됩니다.

반응성 탓에 문의 했습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4 01:41:10
*.197.6.155

오히려.. 시간이 부족해 토턴을 충분히 탐구? 안정화? 시키지 못했죠. 다가올 시즌에.. 해야죠. :)

Cool-보더

2024.05.24 02:27:53
*.100.173.64

약간 답정너 기질이 보이셔서 좋은 대답들을 얻기는 힘들어보이시는 타입이네요 ㅎㅎ

어떤 설명이나 체험 후기를 드려도 크리티컬한게 아니면 결국 본인이 생각하시는대로 갈것같아 딱히 드릴말씀이 없네요.

 

신제품 나오면 못참는 타입이라 clew/스텝온/스텝인/슈퍼매틱 다 사용해봤고 각각 장단점은 명확하게 느껴졌습니다.결국 맘에드는 시스템만 남기고 중고장터로 보냈습니다.

 

중고장터를 둘러보시면서 제품 감가가 어느정도인지 보면 사용한 사람들의 느낌이 어떤지 대충 감이 오실듯 합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4 12:50:03
*.223.11.186

최대한 한번에 묻고 끝내야 하니까, 나름으론 마지막 최종체크를 위해 묻는 거죠. 혹은 체험하지 않는 이상 모르는 사항을 알기 위해.
(본문에 나온 내용이든 아니던요)

말씀하신것처럼, 제가 모르는 크리티컬하거나 고려치 못한 요소가 있을 수 있으니까요.

그러기 위해 묻기전에 나름 많은 고민과 생각을 한 것입니다. 최대한은 아니지만요.

저는 답이나 최대한의 가이드라인이 안나오면, 체험하고 보자 주의는 아닙니다. MBTI랑 관련이 있겠죠. 보드장에서 쓸 수 있는 시간제한도 관련되고요.


암튼, 최대한 저를 보이고 검토받고자 한 것입니다.
좋게 봐주시길 바랍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5 18:05:08
*.197.6.155

아. 단,, 보드타는 움직임만큼은 무조건 최대한 다 해보자는 주의입니다. 자유롭게!

세간에 알려진 여러 이론이나 기법이나 스타일등을요.

혹은 본인만의 체감이나 가설이나..
다 이유가 있고 배울점이 있었습니다.
:)

너무 교조적인 것은.. 보드 라이딩 탐구하고 즐기는 데 도움이 안되더라고요.. 너무 늦은 나이에 늦게 깨달았지만요.ㅜ

보드는 자유와 펀! 이 가장 기본토대라는게 제 생각입니다. ㅎㅎ

난틀렸어요

2024.05.24 13:02:54
*.223.11.186

댓글 도움 덕분에, 어제 입장을 최종 정리했습니다. 꽤 오래동안 고민했는데 말입니다. 댓글 주신분들께 감사말씀 드립니다.

굳이 말씀을 드리면, 안 사기로 했습니다. 저한텐 불필요한듯.. 사람마다 다르겠습니다.

아마.. 뭣보다 궁금증이 컸던거 같습니다. 이공계출신이다 보니.. 더욱. 디자인은 빼고서라도요.

인터넷상에 찾아보면 몇가지 사용상의 단점이 있는데, 시스템 바인딩 특성외에 전 반응성이 가장 마지막 체크포인트였던 것 같습니다. 그러다보니 플럭스까지 번진 것이고요.
암튼 지금으로선, 과하다라고 최종 판단했습니다. 개인적으론 어차피 스트랩 걸린상태로 라쳇은 매번 부츠 넣고 뺄때마다 조금 풀거나 다시 조일 생각도 하고 있던터라. 한쪽발이 장착한 상태로 다른발은 안정적으로 넣는 방법은 아닌듯 하거든요. 특히 평지가 아니라면 더더욱.

전 그냥 매번 레더?랑 라쳇 찾아서 서로 연결하고 초반 당기는 행위만 줄여도,, 나름 편켔다 생각했습니다. 그게 은근히 성가셔서.. 장착은 거의 일반 바인딩과 같은 식으로 데크 설면에 박아 정지시킨 상태에서 하려고 했습니다. 

암꺼나해

2024.05.24 16:31:36
*.156.127.42

힐턴 반응성은 힐컵 베이스플레이트 하이백 토스트랩이딱딱한 바인딩이면 비슷한데 하이백이 얼마나 기울어졌느냐에따른 형상에 따른 차이도 아주 큽니다. 저는 플렉스보다 오히려 하이백형상이 더 크게 다가온다고 말씀드리구싶구요(힐턴에선)

 

이게 미묘한 변수가 있는게 어떤데크냐에 따라 같은바인딩이 다른 느낌이 오기도해요(데크의 쉐이프에따른)

 

그래서 각자의 보딩 스타일과 체형에따른 궁합이라는게 분명히 존재한다고 믿고있습니다.

 

저도 제스타일과 체형 그리고 데크에 가장잘맞는 바인딩을 사용중이구요 바인딩셋팅도 그렇게 정해진 나만의 룰대로 바꿉니다.

 

바인딩을 바꾼다고 뭐 되던게 안되지는 않지만 100% 제 능력을 뽑아내긴 힘들더라구요

 

그만큼 저에게 가장 중요한건 바인딩과 바인딩셋팅이였고

 

F 사의 16년 17년 X* 모델만 중고고 구매하여 특정하게 셋팅하여 사용하거나 신형 C* 모델을 사용합니다.

 

이와 비슷한 성향을 가진 D 사의 바인딩도 좋아하고 주변에서 비슷한 스타일분들이 잘 사용하는걸 목격하기도 합니다.

 

뭐 싫어하는 바인딩도 완전 분명히 존재합니다. 동일한 브랜드에서도 다른모델은 엄청나게 싫어하기도하구요

 

타브랜드 전 모델을 다 싫어하기도 하구요^^;

 

정말 바인딩은 본인과의 궁합이 너무나도 중요하고 셋팅또한 무궁무진하게 연구하고 공부해야하는것같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힐턴에 반응성은 크게 중요치않다고 생각합니다. 대부분 상급바인딩은 충분히 딱딱합니다. 완전 물렁한 바인딩으로 라이딩하지않을꺼잖아요^^; 충분한 반응성이 확보된 검증된 바인딩중에서 대부분 선택하니깐요)

난틀렸어요

2024.05.24 16:49:57
*.126.20.37

하이백 포워드린은 한번도 생각 못했는데.. 기본적으로 그냥 최대한 펴서 탔습니다.

부츠를 좀 구브러뜨리며 바인딩에 넣는 것 같아서 단순하게 생각했거든요. 

 

생각해보니,

힐턴에서 엣지세운 후 본격 턴 들어가며 다리로 설면을 밀면서 펴질때(펼때?).. 하이백 포워드린이 높으면 더 빠른 템포에 혹은 더 많은 하중이 하이백을 누르면서 데크/엣지에 전달되겠네요.

... 흐음. 

 

좋은 지적 감사합니다. :) 

말씀하신 것처럼 이거 꽤 크게 작용하겠네요 근 15년간 한 브랜드 특정?바인딩만 써서 몰랐는데.. 저는 주로 데크에 많이 집중한 타입이어서..  확실히 바인딩 차이가 큰 가 봅니다. 셋팅과 함께요.

"플렉스보다 하이백 형상/포워드린이 더 크게 효과가 온다..." ... 그래도 바디 플렉스보다 크다니. @@. 이건 좀 많이 놀랍습니다.! 

그런데 곰곰히 생각해보니 그럴법도 한거 같습니다. ㅎㅎ.  오홍. 

 

암꺼나해

2024.05.25 16:11:07
*.156.127.42

대부분의 상급라이딩바인딩은 충분히 딱딱하기때문에, 오히려 하이백의 형상과 포워드린의 체감이 더 크다구요^^; 힐컵 베이스플레이트, 토스트랩이 물렁하면 하이백이 단단해봤짜 아무런 쓸모없습니다만 그런바인딩은 우린 라이딩에 사용을 안하지요

 

그리고 반응성은 앞다리를 접고 펼때 강해짐으로 다운언웨이트 크로스언더 쓰루등 최상급라이더로 가실수록 힐턴에서 반응이 너무빨라짐으로 오히려 느리게 죽여야 더 강한 구심력을 만들수가 있더라구요 그래서 포워드린을 최대한으로 빼고 하이백을 강하게 누르고 타면(발목을 사용하여 누릅니다.) 하이백이 휘어지면서 엣지각이 죽기때문에 더 골반의 위치가 낮아지고 다운언웨이트의 프레스가 강해질수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이길수없는 너무강한 바인딩들은 이런 자유를 막기때문에 기부스되는 느낌이고 업언웨이트할때는 문제가 없지만 다운언에서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그래서 본인 스타일과 체형 힘 그런 모든것에 맞는 바인딩이 존재하고 그런 셋팅이 존재하는듯하다는게 제 생각입니다.^^

난틀렸어요

2024.05.25 17:46:54
*.197.6.155

"힐턴에서 반응이 너무빨라짐으로 오히려 느리게 죽여야 더 강한 구심력을 만들수가 있더라구요"

"하이백이 휘어지면서 엣지각이 죽기때문에 더 골반의 위치가 낮아지고 다운언웨이트의 프레스가 강해질수있습니다."

이것도, 쓰는 바인딩 하이백 강성이나 여타 조건에 다를 수도 있겠지만..
(사실 제가 쓰는 롬바인딩 금속-바디프레임과 베이스플레이트 크기-형상이 라이딩 퍼포먼스때 충분히 하드하다할 정도인지 혹은 여타 플럭스나 기타 대표적 라이딩 바인딩 정도 되는지 지금은 자신이 좀 없습니다.. 여타 바인딩을 써본적이 없기도 하지만, 롬바인딩의 금속 프레임 재질 및 형상과 베이스플레이트와의 체결구조, 그리고 베이스플레이트 크기 및 댐퍼스폰지두께등을 볼때.. 반응성에 약점이 있습니다. 단,, 하이백과 베이스플레이크는 카본이 첨가대서 하드한 부분도 있고..애매 모호합니다. 암튼 딴딴한 플라스틱의 베이스플레이트-바디프레임 일체구조보다는 유격이나 유연함이 존재하리라 판단합니다. 어쩔수 없이요.. 특히 Kaon-CX보다는..훨 그랬습니다.
단.. 언급하신 '약간 느리게 하는'.. 소위 시간 지연면의 유리한 점은 있는 듯 합니다. 일전의 다른 글 에서 언급한 것 처럼요. 확실하진 않지만, 일장인단이 있긴 합니다. 분명히 트랜지션구간에서는 자세를 충분히 내지 완벽히 잡아가면서 턴을 콘트롤할 시간을 제공해서 안정적입니다. 소위 다운언웨이트나 언더/크로스 스루 할때요.)

와.. 대단합니다. 이 정도로 탐구하고 답?까지 내리셨다니.. 많은 눈밥에 많은 가설에 테스트도 해보셨을텐데.

고견 정말 고맙습니다. :)

한현호

2024.05.27 21:45:53
*.114.71.22

슈퍼매틱 2 시즌 써봤고
그 전엔 플럭스 xv로 몇년 사용했는데
플럭스가 반응속도는 많이 좋습니다
힐턴뿐만 아니라 모든면에서 좋아요..
그래도 슈퍼매틱을 사용하는 이유는
너무너무너무너무 편해요..
지금은 적응되서 괜찮아 지긴 했는데
고속에서 리버스 칠때 슈퍼매틱이 반응이 많이 느려서
뒷쩍 몇번 했습니다..
데크가 딸려와야 하는데.. 안오더라고요..; ㅠ
저번 시즌땐 적응이 되서 그런지
리버스쳐도 괜찮아 지더라고요

난틀렸어요

2024.05.28 15:31:14
*.126.20.222

아.. 

 

플럭스가 대표? 바인딩인 이유가 있나봅니다. 어디 하나 부족하지 않으면서도 발군인가 보네요. 플럭스 중에선 xv가 가장.. 반응성이 좋은 바인딩으로 압니다. 얼핏 듣기로는 카본첨가라고 하는 것 같던데.. 

 

그것과 별개로 한편으론 슈퍼매틱 힐컵부위의 강성과 그것이 베이스플레이트까지 전달되는 프레임이.. 그냥 눈으로 보는 것 처럼 그렇게 막 하드하진 않나 봅니다.

혹은.. 그 힐컵에 매달린 그네...구조의 금속체가 생각보다 힐에 사중이 갈 경우 좀 휘어서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금속이다 보니..아무래도. 어쩌면 이것이 더 맞을 확률이 높겠습니다. 이 부분을 미처 생각못했네요. 흠흠. 

 

맞습니다. 그 느낌. 데크가 가끔씩 늦게 딸려온다는 느낌... ㅜㅜ. 롬 클래버가 가끔씩 그런 느낌이 있...어요. ㅎㅎ.ㅜㅜ. 물론 상체하중을 집중시켜주는 움직임으로 커버가 되긴 합니다만. 하체만 쓸 경우엔 그 느낌이 좀 있습니다. 

 

말씀감사합니다. !

 

본다_

2024.05.31 22:39:45
*.62.143.221

질문할 정도면 어느걸 써도 차이는 없을거 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716

장비 정리하료고 합니다 선배님들 한번 봐주세요 newfile [3]

어디 스키장 인가요?? newfile [8]

  • ZEUS
  • 2024-06-03
  • 조회 수 370

부츠를 사왔는데... 사이즈 질문 update [5]

휘팍 더화이트뷰 update [3]

  • 현잉
  • 2024-06-02
  • 조회 수 325

데크 년식 여쭈어봅니다. file [2]

  • 수o천
  • 2024-06-01
  • 조회 수 463

옥세스에는 숏비스 몇미리 써야할까요 [6]

올 7월말 뉴질랜드 15일 정도 [6]

  • BRTNT6
  • 2024-05-30
  • 조회 수 444

라운드덱 중에 [6]

니세코 원정 준비 숙소 예약 질문드립니다. [12]

형님들 여성부츠 남서이 신으면 안되나요? [17]

고수님들 장비조합좀 봐주세요 [5]

엣지튠 [6]

고수님들 타입알 질문 있습니다 [16]

클루바인딩+235부츠 궁합좀 봐주세요 file [2]

  • 알쓰
  • 2024-05-25
  • 조회 수 201

슈퍼매틱 중고 괜찮을까요? [9]

스미스 포디 맥 포디맥 xl 차이 [3]

그라운드 트릭 입문데크 추천부탁드립니다 [3]

휠백?? [25]

사용자 분들 중, 플럭스 바인딩이랑 슈퍼매틱이랑 힐턴시 반응성은 무엇... [20]

데크를 한장 추가 마련해보려고하는데 추천해주세요(전향)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