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에 문답게시판에 자주 올라오는 것 중 하나가...스탠스에 대한 궁금증이더군요~


자신에게 맞는 스탠스는 라이딩에 도움이 되고 안정적인 자세를 익힐 수 있게 만들어주지만

잘 못 된 스탠스는 자세도 무너지고 라이딩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어서 몇자 끄적여 봅니다요~


흔히 스탠다드라고 불리우는 15/0도 는 어떻게 나온 것일까요?


엄지발가락을 붙이고 차렷...했을 때 뒷꿈치로부터 양발 중심선을 연장하면 약 15도 정도의 각도가 나올꺼에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차렷이 되는 사람은 약 15도 차이 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각도가 됩니다.


따라서, 15도/0도 의 디렉셔널한 스탠스나 혹은 9도/-6도의 덕스탠스가 

대개의 경우에 무릎에 무리가 가지 않는 스탠스가 되는 것이죵


단, 예외적으로...저는 팔자걸음이 심해요~ 하는 사람은 골반 자체가 벌어져 있으니,

스탠다드 각도에서 더 벌어지는 것이 편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양발의 각도 차이가 많이 나게되면 라이딩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데...

토턴과 힐턴시 힘을 받는 지점의 격차가 커지게 되는 것이죠...

즉, 발이 벌어질 수록 발끝 사이의 거리가 뒷꿈치 사이의 거리보다 더 커지게되는데...

이것은 같은 힘으로 토턴화 힐턴을 할 경우...데크가 받는 힘의 격차가 커지게됩니다.


이때문에 산타크루즈 일부 트윈팁데크 같은 경우는 아예...토와 힐사이드의 탄성을 다르게 만들기도 합니다.


처음엔 무심하게 지나칠 수 있지만...양발의 각도차이가 커질수록

카빙을 할 정도 되면...이상하게 토는 잘되는데 힐이 터지거나...반대로 힐은 잘 되는데 토가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게됩니다.


당연하게...보드는 노즈 테일의 흔들림이 적고, 토와 힐이 균형되어야지 안정된 카빙을 할 수 있습니다.

민감한 사람들은 하이백을 데크의 라인에 맞게 로테이션 하게되면 안정된 카빙을 할 수 있게되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그렇다면, 디렉셔널과 덕스탠스는 어떨까요?


저는...초보때, 본인의 구피, 레귤러 정체성이 확립되기 전에는 덕스탠스가 훨씬 좋다고 봅니다.

디렉셔널 스탠스보다는 덕스탠스가 양발에 힘을 고루 줄 수 있어서 사활강 연습하기에도 좋기 때문이죠.


하지만 방향성이 완성되고 카빙을 하기까지는 15도/0도 셋팅을 해보세요~

뒷발이 데크에 수직이 되기 때문에 카빙할 때 힘을 정확히 줄 수 있습니다.


카빙도 완성이 되었고, 스위치 라이딩이 필요한 단계에 이르면 카빙의 유리함을 다소 포기하더라도

덕스탠스를 하는 것이 좋겠죠~ 그래도 양발의 각도 차이는 너무 많이 벌리지 마세요~



최근 올라오는 글들을 보면...

양발의 각도 차이가 20도를 넘어서 30도까지...벌어지는 분들을 종종 보는데요...

그건 팔자걸음을 걷는 스타일의 사람들에게 적당한 특수한 경우에요~

발이 벌어질수록 토와 힐의 불균형은 감수해야합니다...



일단은...대개의 경우...15도/0도로 셋팅하여 카빙에 익숙해진 다음...본인에 맞게 조금씩 조절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 다음 스위치라이딩을 위해 덕스탠스로 전환할 경우에도 양발의 각도차이는 유지한 채로...

9도 혹은 12도/-6도 정도로 조절해 보세요~


특히, 라이딩 후 무릎에 통증이 발생하는 분들은 바인딩 각도를 본인에 맞게 조절하는 것만으로 금방 고쳐지기도합니다.


^^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72
3237 장비 관련 샴푸를 이용한 고글 습기제거 file [10] Integral 2012-02-16   7252
3236 기술(테크닉) FirstSnow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41] FX마진 2010-12-06   8652
3235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DANNY KASS의 (08년~16년) 고찰 file [5] yOeL 2015-03-13   4182
3234 절약법 드래곤 apx 고글 할인 하는 곳.. [10] 천빵 2011-09-28   5101
3233 해외원정 이용안내 위반으로 비공개처리하였습니다 -... secret [2] 빅토 2013-07-28   12
3232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9
3231 장비 관련 스노보드 메탈 테크놀로지 썰~ secret GATSBY 2021-11-24   513
3230 라이딩과 근육통의 관계. [10] 주영이 2010-11-01   6656
3229 기타 고프로3 블랙에디션 부품 설명 [2] 스크래치 2012-11-29 1 4596
3228 장비 관련 RE) 셋백에 대하여. file [6] gons 2018-12-07 1 2971
3227 초보를 위한 강좌 곱등교정 뒷짐지지마세요 [8] 재활은보드 2016-01-26 1 7693
» 일반 오랫만에 바인딩 각도에 대한 고찰~ [22] 바람켄타 2011-12-22 1 11658
3225 일반 캐나다 스노우보드 직업 전문학교 테리에파우더 2014-10-04 1 3916
3224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 이라는 말은 없어져야 한다?! [19] 홍이00 2011-03-06 1 9687
3223 절약법 그냥 청바지 입고 타기. file [31] sKILLz 2013-01-21 1 3331
3222 기타 시즌 준비하기에 앞서 아주 허접한 팁 한가지.. [2] 1004s 2016-10-27 1 3063
3221 장비 튜닝 엉덩이 보호대가 얄팍한것 같다구요?? file [17] 나는야겉도리 2011-12-14 1 9498
3220 초보를 위한 강좌 iTunes 에서 헝그리보더닷컴의 강좌 동영상 ... file [15] CLAP 2010-11-30 1 6670
3219 일반 뺑뺑이 돌아도 다리 안힘든 팁 초장신 2020-10-08 1 1609
3218 장비 튜닝 못쓰는 휴대폰밧데리 재활용~ file [10] a소소a 2012-01-17 1 12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