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시간에는 턴이 이루어지는 상황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드렸습니다.

오늘은 힘의 방향에 의해서 스노보드가 어떠한 움직임을 보이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들어가기에 앞서 구심력과 편심력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심력(concentric force) - 작용선이 물체나 인체의 중심을 지나는 힘.  

편심력(eccentric force) - 작용선이 물체나 인체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 힘. 

 

스노보드로 쉽게 설명드리면 

사이드슬리핑이라는 동작은 폴라인을 따라 스노보드의 중심을 기준으로 에지 전체에 지속적으로 가압이 주기 때문에 스노보드 자체에 회전이 발생하지 않고 직선의 움직임을 보이고, 비기너턴의 경우에서는 스노보드 중심의 기점으로 전(앞발), 중, 후(뒷발)의 움직임으로 가압이 주어지기 때문에 스노보드 자체가 회전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스노보드가 어떠한 축 주위로 회전시키는 힘의 동기를 토크(torque)라고 하는데, heavy front foot, center pivot, rear foot 이라는 용어는 축의 위치와 회전을 발생시키는 부분에 따른 스노보드의 움직임에 따른 것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림에서 사이드슬리핑이 이루어진다면 설면에 닿아있는 스노보드 에지 전체에 압력이 가해지고 폴라인을 따라 그대로 움직임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스노보드 자체에는 회전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것이 앞에서 말한 구심력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축(삐약이축과 야옹이축)이 생기고 바인딩에 묶어있는 앞발과 뒷발에서 힘이 발생하면 스노보드는 축을 기점으로 토크가 발생하여 회전을 시작합니다. 만약 스노보드 가운데 삐약이 형님이 센터피봇이라고 가정하고 그 축을 기점으로 회전이 이루어지면 위에 무지개가 그려지게 됩니다. 하지만 야옹이가 축이 된다면 다른 형태의 무지개가 발생하겠죠! 어떤 무지개인지는 잘 아시리라 생각됩니다.

 

축과 힘의 발생지점은 상황에 맞게 또 자신이 하고자 하는 기술에 대비하여 이루어지는것이 좋으며, 스노보드의 센터에 축을 만들어주면 회전이 빠르고, 축을 기점으로 비교적 비슷한 반원 움직임이 나오게 되어 다음턴을 시작할 때 유리하기 때문에 라이딩의 기반을 센터에 위치시키는 것이 좋으며, 고속에서 급하게 멈춘다던지, 혹은 경사가 있는 슬로프에서는 상황에 맞게 축의 위치를 변화시켜 라이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여기에 스노보드가 들어가는 각도와 나가는 각도가 일정하다면 더 좋은 라이딩이 나오리라고 확신합니다.

 

영상에서 자신의 축과 힘이 어디에서 시작되는지, 그 결과 스노보드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잘 살펴보신다면 자신의 실력을 보다 더 향상시키고, 자신의 스노보드 퍼포먼스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키가 될 것입니다.

 

 

<참고문헌>

CASI Reference guide 

배영상 외(2008). 바이오메카닉스. E_PUBLIC.

Gerry carr et al.,(1997). Mechanics of sport. Human kinetics publishers.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58
3237 장비 관련 샴푸를 이용한 고글 습기제거 file [10] Integral 2012-02-16   7252
3236 기술(테크닉) FirstSnow님에 의해 게시글이 삭제되었습니다. [41] FX마진 2010-12-06   8652
3235 장비 관련 유니온 바인딩 DANNY KASS의 (08년~16년) 고찰 file [5] yOeL 2015-03-13   4182
3234 절약법 드래곤 apx 고글 할인 하는 곳.. [10] 천빵 2011-09-28   5101
3233 해외원정 이용안내 위반으로 비공개처리하였습니다 -... secret [2] 빅토 2013-07-28   12
»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와 힘의 방향 [4] 문박사 2012-12-01   3569
3231 장비 관련 스노보드 메탈 테크놀로지 썰~ secret GATSBY 2021-11-24   513
3230 라이딩과 근육통의 관계. [10] 주영이 2010-11-01   6656
3229 기타 고프로3 블랙에디션 부품 설명 [2] 스크래치 2012-11-29 1 4596
3228 장비 관련 RE) 셋백에 대하여. file [6] gons 2018-12-07 1 2971
3227 초보를 위한 강좌 곱등교정 뒷짐지지마세요 [8] 재활은보드 2016-01-26 1 7693
3226 일반 오랫만에 바인딩 각도에 대한 고찰~ [22] 바람켄타 2011-12-22 1 11658
3225 일반 캐나다 스노우보드 직업 전문학교 테리에파우더 2014-10-04 1 3916
3224 초보를 위한 강좌 '업다운' 이라는 말은 없어져야 한다?! [19] 홍이00 2011-03-06 1 9687
3223 절약법 그냥 청바지 입고 타기. file [31] sKILLz 2013-01-21 1 3331
3222 기타 시즌 준비하기에 앞서 아주 허접한 팁 한가지.. [2] 1004s 2016-10-27 1 3063
3221 장비 튜닝 엉덩이 보호대가 얄팍한것 같다구요?? file [17] 나는야겉도리 2011-12-14 1 9498
3220 초보를 위한 강좌 iTunes 에서 헝그리보더닷컴의 강좌 동영상 ... file [15] CLAP 2010-11-30 1 6670
3219 일반 뺑뺑이 돌아도 다리 안힘든 팁 초장신 2020-10-08 1 1609
3218 장비 튜닝 못쓰는 휴대폰밧데리 재활용~ file [10] a소소a 2012-01-17 1 1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