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보드에서 토션

턴은 노즈에서 시작되어 테일로 끝이 난다. 
턴의 종류나 사이즈에 따라서 그 순서가 빠르냐 느리냐의 차이가 있으며, 급작스러운 상황에서 어떠한 면이라고 닿으면 시작되는 리커버리성 턴이 아닌 다음에는 거의 이 순서대로 설면에 닿는다. 이때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것이 토션이다.

스노보드 프레스를 전, 중, 후로 준다고 가정했을 때..
앞발과 뒷발이 동시에 힘이 들어가는 부분도 있겠지만 턴의 초반에는 앞발이 턴의 후반에는 뒷발이 스노보드에 작용함으로서 짝힘이 발생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면 

전 프레스
턴의 시작 때 앞발이 위치해 있는 토 사이트 에지가 우선적으로 눌러지게 된다(카빙턴의 경우 두발이 거의 동시에 들어가게 되니까 슬라이딩턴의 상황을 생각해 보자!). 이때 뒷발은 앞발에 비해서 프레셔가 적은 상태가 되어 보드가 센터를 기점으로 짝으로 비틀어진다. 자세한 느낌을 설명하자면 앞발의 토를 강하게 누르면 순간 뒷발의 토는 앞발 만큼의 힘의 전달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뒷발 힐사이드가 설면쪽으로 붙으려고 하는 힘의 작용이 발생한다(이는 스노보드의 사이드컷에 의해서 가능하다).

중 프레스
턴의 중반에 자연스럽게 토사이드의 양발에 프레스가 주어져서 턴을 유지한다. 강한 짝힘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이부분이 생략될 경우도 있다(돌핀턴이 이러한 경우이다).

후 프레스 
턴의 후반 뒷발의 토에 프레스가 실리면서 턴이 마무리 된다. 이때의 전 프레스와 반대의 경우가 발생한다. 즉 앞발 토사이드가 들린듯한 느낌이 들며 앞발 힐사이드는 설면쪽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생긴 턴의 후반 작용력은 다음턴의 초반의 힘으로 자연스럽게 전달될 수 있다. 

토션 그리고 전중후를 이용한 턴의 장점
1. 턴 초반에 강한 에징이 가능하다.
2. 스노보드 원래의 회전반경 보다 더 짧고 빠른 턴이 가능하다.
3. 작용 반작용을 이용한 데크의 고유 능력의 사용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불필요한 인체 내력 사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토션을 더욱 더 잘 사용하려면
턴의 종류에 따라서 - 카빙계열은 비교적 토션이 적게 사용되고 슬라이딩 턴의 경우 토션이 많이 사용된다.
슬로프의 상태에 따라서 - 슬로프 면이 거칠 때는 굴곡을 최대한 이용하고 슬로프가 정리가 잘 된 경우에는 토션이 적은 편이 유리하다.
속도에 따라서 - 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적게 사용하는 편이 좋다. 

 토션/비틀다/짝힘/작용반작용/전중후

GOOD LUCK!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597 기술(테크닉) 동전은 몰래 주워야 제맛!^^ [4] guycool 2014-06-16 2 4639
596 CASI CASI 레벨러를 꿈꾸는 분들에게 드리는 깨알... [4] NADAE 2014-06-23 7 4782
595 CASI CASI레벨러를 꿈꾸는 분들에게 전하는 깨알T... [2] NADAE 2014-06-27 6 4184
»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토션 [14] 문박사 2014-07-03 9 7765
593 일반 스노우보드 데크 브랜드 창업 가이드 [1] 테리에파우더 2014-07-20 3 6270
592 장비 튜닝 (DIY)_나만의 블링블링 LED 리쉬코드 제작기 file [1] Mr.Bong 2014-08-20   6130
591 기타 1415시즌 주요스키장 슬로프경사도 비교표[... file [10] 삼촌1호 2014-09-10 4 10268
590 기타 1314시즌 주요스키장 슬로프면적 및 이용객 ... file [4] 삼촌1호 2014-09-11 5 9757
589 기술(테크닉) 스키딩 [3] 문박사 2014-09-19 10 4946
588 일반 캐나다 스노우보드 직업 전문학교 테리에파우더 2014-10-04 1 3913
587 일반 2014/15 skill up #1 file [3] 문박사 2014-10-15 6 14404
586 일반 Basic to Basic "너비스 턴" [9] NADAE 2014-10-16 12 7130
585 CASI 새롭게 바뀐 CASI의 비기너턴 영상칼럼 업로드 secret [58] 해일로 2014-10-20 33 10930
584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1 "모글은 거꾸로 올라가세요" [18] grindays 2014-10-27 22 7061
583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2 "보드 탈 시간이 없어 실력이... [13] grindays 2014-10-28 15 8021
582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3 "스위치는 이렇게 연습해 보... [13] grindays 2014-10-29 16 9078
581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4 "보드는 앞으로 타세요" [26] grindays 2014-10-30 35 11012
580 장비 관련 세 줄 칼럼 #5 "이상적인 바인딩 각도와 너비" [5] grindays 2014-10-31 16 9656
579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6 "뭔가 잘 되지 않을 땐 처음... [11] grindays 2014-11-03 11 6368
578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1.비기너 턴 file [24] Lunatrix 2014-11-06 35 197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