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탄에 이어서 실제로 자주하는 트릭의 연습방법을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바. 단계별 트릭연습


1. Back Side 180(백사이드 원에리)

- 처음에는 토턴으로 진입하면서 데크가 폴라인과 45도 정도 각도를 이룰때 토엣지를 박은 상태로 점프(팝)를 해서 90도만 돌리고 토엣지로 랜딩하는 연습을 합니다.

* 어프로치 자세에서 엣지를 너무 박거나 허리를 너무 숙이면 무게중심이 토엣지쪽으로 쏠려서 랜딩이 불안해집니다. 

* 살짝 토턴에 들어갈때 무릎을 굽혔다가 다리힘으로 가볍게 뛰는 느낌으로 팝을 하면서 어깨를 뒤쪽방향으로 돌려줍니다.

* 시선은 어프로치에서 뒷바인딩을 바라보았다가 점프-랜딩까지 뒷쪽 산을 바라봅니다. 시선을 너무 땅으로 떨구면 불안해질 수 있습니다.


2. Front Side 180(프런트사이드 원에리)

- 알리나 펌핑이 어느정도 익숙해졌을때 도정하는것이 수월합니다. 실제로는 백원에리보다 쉽지만, 약간의 점프높이(하이)가 요구되는 탓에 초보분들이 어렵게 느끼는 트릭중 하나입니다.

- 베이스 활강을 하면서 어깨를 살짝 닫아줍니다. 점프(알리)를 하면서 어깨를 90도만 돌려 전방을 주시합니다. 뒷바인딩을 앞으로 끌어당기거나, 앞바인딩을 뒤로 끌어당기는 느낌으로 데크를 돌려줍니다. 시선이 전방에 고정되어 있다면 슬립 없이 착지하실 수 있습니다.

* 아무리 해도 잘 안되는 분들은 보통 알리연습이 부족하거나, 스위치 라이딩 연습이 부족한경우가 많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베이스 점프대신 토엣지를 박고 점프하시거나, 본인의 원래 스탠스 반대방향에서 시도(레귤러의 경우 구피로 점프)하시면 의외로 쉽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역엣지 방지를 위해서는 전방주시가 매우 중요합니다. 상체를 너무 돌리면 역엣지 확율이 매우 높습니다.



3. 응용 180


- 알리 B/S 180 : 알리를 하면서 테일쪽 어깨를 뒤로 돌려줍니다. 시선이 후면을 바라보면 

상체와 하체가 따로 놀아야 하기 때문에, 알리를 스핀계열에 적용시킬때 반드시 배워야하는 트릭입니다.


- 알리 F/S 180 : 알리를 하면서 상체를 전방으로 향해줍니다. 데크가 뜨면 앞바인딩을 뒤로 끌어당긴다는 느낌으로 데크를 반바퀴 돌려줍니다. 알리를 하면서 상체를 움직이는 버릇이 들었다면 매우 어려운 트릭입니다. 이 트릭이 잘 안된다면 알리를 하는 방식을 점검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널리 F/S 180 : 노즈블런트를 배우기 위해 연습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일반적인 F/S 원에리보다 쉽게 되는 분들이 많습니다.

노즈를 찍으면서 뒷바인딩을 들어다가 앞에 놓는다는 생각으로 데크를 돌려줍니다. 시선은 역시 전방주시입니다.


- 널리 B/S 180 : 몬토야 워크를 할대도 그렇지만 초보분들에게 역엣지가 자주 걸리는 트릭중 하나입니다. 노즈를 눌러주면서 뒷쪽 어깨를 등쪽으로 돌려줍니다. 뒷쪽 바인딩을 뒤로 돌려 진행방향쪽으로 가져다 놓는다는 느낌으로 데크를 반바퀴 돌려줍니다. 시선만 후방주시한다면 금방 익히실 수 있습니다.


- 몬토야 180 : B/S 180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80을 하면서 하체를 한템포 늦게 돌립니다. 토엣지로 착지해 곧장 슬로프를 쓸어내립니다. 어느정도 원에리가 익숙해져서 데크가 직각으로 떨어져도 컨트롤할 수 있을만한 여유가 있을때 시도하시면 의외로 쉽게 됩니다.


- 레이티드 180 : F/S, B/S 모두 비슷합니다. 몬토야와 마찬가지로 워에리가 여유있게 될때 시도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B/S 180 기준으로 점프를 하면서 상체만 후방으로 돌리고 뒷바인딩쪽 무릎을 가슴쪽으로 끌어당기는 느낌으로 레이트를 줍니다.

점프가 최대치에 도달했을때 가슴쪽으로 끌어당긴 무릎을 편다는 느낌으로 하체를 반바퀴 돌려줍니다. 시선이 후방을 주시하지 못하면 앞쩍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4. 노즈블런트 360 : F/S 360을 설명하기전에 노즈블런트를 설명하는 이유는 보통 이 트릭으로 360을 입문하는 경우가 제일 많기 때문입니다. 간단한 어프로치로 360에 필요한 회전과 높이(하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재미있는 트릭입니다.

슬라이딩 턴중 힐턴에 들어가는 시점에서 뒷바인딩을 들면서 노즈쪽으로 무게중심을 이동시킵니다. 널리를 시도하면서 상체는 이미 회전을시도하고 있어야 합니다. 보통 노즈가 튕기는 시점에서 데크는 이미 90도 이상 돌아가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체는 후방을 보는 시점까지 회전을 합니다. 이때 상체가 더돌면 거의 슬립이 나기 마련이니 상체는 반드시 후방을 주시합니다.

그리고 하체는 반바퀴를 더돌려 처음 노즈를 찍었던 방향이 진행방향쪽으로 가도록 해서 착지합니다.


* 블라인드 랜딩이기 때문에 랜딩시점이 헷갈리는 분들이 매우 많습니다. 360도 회전이기 때문에 어프로치에서 레귤러로 진행중이었다면 당연히 레귤러 착지가 맞지만, 상체가 후방을 주시하고 있기 때문에 랜딩느낌은 구피로 뒤로가는 느낌이라고 생각을 하시면 됩니다. 이 느낌만 잘 이해하면 슬립은 금방 잡습니다. 이건 F/S 360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5. F/S 360 : 노즈블런트 360을 제대로 구사하셨다면 랜딩감은 이미 익숙해지셨을겁니다. 어프로치만 노즈를 찍는 것에서 알리나, 펌핑으로 바꿔주시면 됩니다. 


* 쉬운 연습방법 - 힐턴으로 보드가 폴라인과 수직이 될때 살짝 뛰어서 데크를 반바퀴 돌리고 랜딩해서 90도를 더 돌리는 방법으로 360의 기본적인 감을 잡을 수 있습니다. B/S180을 배울때 일단 90도만 먼저 해보는 방식과 비스합니다.

* 알리로 점프할때는 레귤러 기준 힐턴이 들어가는 11시방향으로 점프한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 펌핑의 경우 힐엣지 점프를 충분히 연습하지 않으면 점프조차 잘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앞서 말한 사활강 점프를 연습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6. B/S 360 : 개인적으로 그라운드 트릭의 꽃이라 생각하는 백쓰리입니다. 먼저 토턴이 들어갈때 토엣지가 살짝 박힌 상태로 뛰어줍니다. F/S 360과는 다르게 상체가 전방을 주시해야 하기 때문에, 상체 회전이 많이 들어갑니다. 점프하면서 상체는 거의 뒤쪽을 바라볼 정도까지 돌아가 있게 됩니다. 하체는 상체를 따라오기 때문에 상체를 공중에서 반바퀴 더 돌려 전방을 바라보고 따라오던 하체를 돌려 어프로치 상태의 스탠스 그대로 착지합니다.(레귤러의 경우 레귤러로 착지)


* 하체는 점프하면서 상체는 회전해야 하기 때문에, 평지연습을 많이 하는 편이 좋습니다. 균형이 무너지면 트릭이 잘 되지 않습니다.

*높이와 회전에 대한 부담감 때문에 힘을 많이 주다가 균형이 무너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레이티드 B/S 180이 여유있게 된다면 하이는 충분합니다. 높이보다는 밸런스가 중요합니다.




7. 응용 360


 - 토엣지 F/S 360 : 보통 힐턴 들어갈때 시도하는 프런트쓰리 대신 토엣지를 박고서 시도하는 프런트쓰리입니다. 일반적인 F/S 360보다 높이와 회전이 더 요구되지만 의외로 토엣지 점프가 힐엣지 점프보다 힘을 더 잘받기 때문에 겁먹지 말고 시도한다면 의외로 쉽게 성공 할 수 있습니다.


- 몬토야 360 : 일반적으로 노즈블런트 360부터 연습하게 됩니다. 일반적인 360과 비슷하지만 착지전에 한템포를 늦춰서 토엣지로 90도를 슬립시킵니다. 이 랜딩방식은 앞서 설명한 몬토야 180부터 연습하실 수 있으며, 의외로 간단한 이 랜딩방법만 익혀도 다양한 연속기로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레이티드 360 : 죄송합니다. 이건 제가 못합니다....ㅠㅠ

다만 그냥 아는 바대로 설명을 드리자면, 어프로치와 점프는 원에리 방식으로 뛰는 대신 정점에서 빠르게 반바퀴를 더 돌려주면 된다고 합니다..... 연습중입니다. 연습하다가 팁을 발견하게 되면 업데이트 하겠습니다...




일단 여기까지만 적도록 하겠습니다. 이외에도 노즈 프레스나 테일 프레스를 이용한 방법, 롤링, 버터링, 등등 다양한 트릭이 존재하고, 연속기에 대한 부분도 써볼까했지만, 제가 아직 실력이 미천하기도 하거니와 연속기 팁은 트릭 입문을 위한 칼럼에는 어울리지 않는것 같아서, 그 이후에 대한 부분은 동영상게시판의 고수님들과 강사님들, 헝글캠프 등에 책임을 떠넘기도록 하겠습니다.


사실 이 칼럼을 쓰게 된 계기가 최근 트릭에 대한 관심이 많이 옅어지고, 선입견이 많아지는것 같아서

그라운드 트릭을 좋아하는 1인으로서 관심있는 초보분들이 어떤식으로 접근하면 좋을까에 대한 내용을 적고자 한 것입니다.


사실 트릭을 하다보면 데크가 짧아서 라이딩도 잘 못하고, 그라운드에서 노닥거리다 보면 파크나 파이프 실력도 안늘고

여러가지로 어중간한 존재가 아닐까 하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됩니다. 


그래도 재미있습니다. 그라운드에서의 깨작거림에는 파크에서의 스릴과는 다른 소소한 재미가 있는 것 같거든요.


전국의 모든 트리커님들께 이 칼럼을 바치면서 마무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Just Trick.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837 기타 태어날때 부터 갖고 있는 자신의 타입 알아보기 [16] Retro아톰 2014-12-08 9 13439
2836 장비 관련 데크 길이 선택 하기 secret [32] GATSBY 2014-12-07 31 8730
2835 장비 튜닝 열풍기 왁싱 데크 온도 측정 결과 file [4] 침묵~~ 2014-12-03 3 8184
2834 장비 튜닝 커플헬멧에 세나SMH5 장착후기~~ file [18] 와플곰돌이™ 2014-12-03 3 14006
2833 초보를 위한 강좌 스탠스와 바인딩각의 이해 file [21] ┓푸른바다┏ 2014-12-03 23 20067
2832 초보를 위한 강좌 관절은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가? [1] 문박사 2014-12-02 6 6280
2831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3.심화과정 file [6] Lunatrix 2014-11-25 16 11050
2830 기타 리프트도 알고 타자-고정순환식vs자동순환식... file [17] Roki★ 2014-11-25 16 7752
2829 일반 보딩 일기. [3] 12번너구리 2014-11-24 5 2911
2828 헝그리 캠페인 KASBI 교원연수 교사 피해 사례 [7] 테리에파우더 2014-11-23 7 5667
2827 일반 용평 2인용 라커, 락커 수납 모습 file [4] JTC 2014-11-22 1 6725
2826 장비 튜닝 왁싱의 위험! [14] 바람켄타 2014-11-21 9 12272
»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2 [19] 소리조각 2014-11-20 20 10525
2824 초보를 위한 강좌 그라운드트릭 입문. #1 [14] 소리조각 2014-11-20 29 19386
2823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2.로테이션 file [16] Lunatrix 2014-11-19 19 13965
2822 일반 SJ4000(짭프로)와 IOS기기를 함께 쓰시려고 ... [1] JTC 2014-11-18   8959
2821 기타 둔내 터널의 저주 및 휘팍vs용평이 가능한 ... file [20] 보린 2014-11-11 18 6803
2820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1.비기너 턴 file [24] Lunatrix 2014-11-06 35 19783
2819 기술(테크닉) 세 줄 칼럼 #6 "뭔가 잘 되지 않을 땐 처음... [11] grindays 2014-11-03 11 6368
2818 장비 관련 세 줄 칼럼 #5 "이상적인 바인딩 각도와 너비" [5] grindays 2014-10-31 16 9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