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팔을 벌리고 타는 상체로테이션 연습은 입문시 교과서처럼 여겨지는 김현식의 스노보드노하우 동영상과 여기 헝글 동영상 강좌에 있는 내용이라 많은 초보분들이 정석처럼 생각하시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 방법이 틀렸다는 건 아니고 여전히 상체로테이션을 위한 효율적인 연습방법인 건 맞습니다. 하지만 최근의 바뀐 CASI 커리큘럼에서는 처음부터 하체 로테이션을 강조하고 김현식의 업데이트된 노하우에도 양팔을 벌리고 타는 방법이 잘못된 경우에 생기는 폐해에 대해서도 언급을 하였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초보가 부딪히는 가장 큰 난관은 예전에도 그랬고 지금도 그렇지만 턴을 하는 것입니다. 턴을 할때 노즈가 폴라인에 직각으로 진입하는(직활강) 구간이 생길 수 밖에 없는데 갑자기 가속이 되며 이로 인한 두려움으로 무게중심을 잃고 후경이 되어 더더욱 보드를 컨트롤하지 못하게 됩니다.


관건은 직활강의 공포를 극복하는 것인데, 이부분에서는 하체 로테이션에 의한 턴이 턴의 반경을 줄여주고 직활강 구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초보에게 더 효율적인 교육방법이라 생각합니다. 상체로테이션은 힘전달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턴이 커지고 활강구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지요?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606
» 초보에게 하체 로테이션이란? [43] 멍구930 2015-01-15   10118
61 그라운드 트릭용 데크는 짧게 타야한다?! 가설인가? 정설인가? [32] 에디게레로 2009-10-27 19 10159
60 중급자가 레슨을받으면 실력향상이 많이되나요? [12] power21hyun 2015-08-27   10182
59 여친에게의 강습... 직접? 아니면 강사? [101] X-ray 2014-12-04   10223
58 헤머는 노즈가 잘 꽂힌다? really ??정말?? [37] GrizzLy 2015-03-05 3 10285
57 헬멧 안에 비니 vs 오로지 헬멧! 무엇이 더 나은가요? [33] Passionist 2012-01-23 1 10293
56 보드 강사 자격증에대해서 토론 해봅시다 [21] 잘타스키 2014-10-07   10294
55 망해가는 보드/스키 산업의 희망은 중국이다. [30] 크랙켈리 2021-07-08 5 10296
54 보드는 몇살까지 타야 눈치 안보고 탈수 있을까요? [62] 내장털리임 2014-10-20 1 10328
53 리프트탈때 옆사람한테 말걸기... [44] 표짱님 2014-12-13   10344
52 08~09 유행스타일?? [27] 뽕파이프 2008-08-14 73 10355
51 페이키 라이딩에 유리한... [6] .. 2007-12-17 120 10460
50 길들이기 왁싱 꼭 필요한가요? [49] 써퍼 2016-11-07 4 10517
49 시즌권은 미끼일 뿐이다? [27] 푸른볼펜연필 2007-10-19 67 10558
48 초보 강습에 대해 제가 정해드립니다. file [77] Gatsby 2011-12-14 20 10637
47 스키보관사물함에 동전넣지 않고 세워 놓으면 타인의 장비를 던져도 될까?? [64] 재능낭비 2016-02-01 2 10646
46 점점 헝그리해져가는 헝그리보더 [61] buillee 2016-10-17 53 10737
45 라이딩시 옆에서 놀라 넘어지는 초보님들... [34] 결제와택배사이 2010-02-16   10929
44 테크니컬 라이딩 != 전향각? [32] 빙보링 2018-01-02 20 10938
43 보드와스키의 충돌사고후 보상이 막막하여 분통터집니다.제발 읽어주세요.ㅠ file [33] 초코무비 2016-01-15   10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