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급자들을 위한 칼럼이며 어떤 칼럼이든 진리가 아니듯 제 칼럼도 이해의 한 방편일뿐임을 미리 밝힙니다.

 

업언웨이트턴을 기반으로 다운의 의미를 최대한 간단히 그러나 오해해서 잘못 산으로 가는 것을 방지하는 정도의 지식 전달을

 

목표로 하는 글인 만큼 고급자분들은 이럴 때는 이런데... 이런 글은 정중히 미리 자제 부탁드립니다.

 

초중급자들에게 혼란만 가중 시켜드리니까요. 어느 순간 이지식만으로는 뭔가 한계가 온다 하실 때 그 때 다시 공부하시면 됩니다.

 

왠만한 초중급자들께는 이정도 지식이면 충분하다 생각해요.

 

본론 들어 갑니다.

 

다운을 전반부와 후반부로 의미를 나누어 생각하시는 것이 제 칼럼의 핵심입니다. 특별할 것도 없는 다 나왔던 얘기 입니다.

 

어디를 전반부 후반부로 나눌것이가? 180도 호를 기준으로 초반 90도를 대략 전반부 후반 90도를 후반부로 이해해 주시고요.

 

이 부분도 턴이 그리는 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는 라아더가 직접 판단하시라 말씀드립니다.

 

다운의 전반부 - 업으로 인해 높아져있는 몸을 각관절을 이용하며 낮추는 행위를 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때 이 동작은 압력을 줄여주어 엣지를 전환하는 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몸의 중심을 낮추고 엣지를 세울 수 있도록 해줍니다.

위 내용을 의심 없이 받아드리시면 됩니다. 그런면 만사 편해요. 그래도 의심스럽다 물리적인 증명이 필요하다. 하시면 다른 훌륭한 칼럼들을 참고하세요. 그리고 부과적으로 이러한 지식은 전반적인 라이딩을 좀더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고수들의 부드러운 라이딩의 비결은 힘을 주어야 할 타이밍과 힘을 빼야하는 타이밍을 잘알고 있기에 가능합니다.

마냥 힘을 빼고 라이딩을 할 수는 없어요. 그러면 부드럽게 보이는게 아니라 흐느적거리듯 보입니다.

일본 카빙강습동영상에서도 턴초반 방향을 잡고 중반 활강하다 후반 적극적으로 턴을 감아라(감을 수 있도록 스티어링들을 적극 사용하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이 부분과 연결지어서 위 간단한 내용을 이해하시면 더욱 부드러운 라이딩을 하실 수 있을 겁니다.

그러니 다운 전반부에 몸에 힘주고 프레스를 만들어야 겠다는 생각은 접고 힘빼고 잘 자리 잡는 다는 생각으로 편하게 타세요.

 

다운의 후반부 - 몸을 낮추고 엣지를 잡는 동작이 멈추는 순간에 순간적으로 가압이 이루어집니다. 이 후반부가 시작되는 타이밍을 압력을 잘 버티어 내여야 하는 순간 직전으로 합니다. (간단히 얘기하면 데크가 90도 회전하여 폴라인과 데크가 수평하게 되는 순간 근방) 이 순간 이후에 다운 동작이 더 진행 될 수 있지만 이때는 가압, 감압의 의미 보다는 엣지각을 좀도 세우거나 또는 유지, 몸의 무게 중심을 낮추거나, 몸의 기울기를 이용하는 의미로 섬세하게 벨런스 깨지 않는 조심스러운 동작으로 이해하시는게 편하겠습니다.

다운 후반부에 턴이 터진다고 어떻게 프레스를 더 주어야지 하고 생각하는 것은 엉뚱한 생각인것입니다.

프레스가 넘쳐나서 턴이 터지는데 프레스를 더 준다는 것이 그것도 몸으로 만들어 낼 수 있는 프레스는 이미 한계에 달한 상황인데 말이죠. 과하게 발생하는 프레스를 어떻게 엣지쪽으로 잘 집중시킬까가 촛점이 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 중요한것은 엣지를 얼마나 세웠는가 몸의 기울기를 잘 활용하고 있는가 하는 부분에 신경을 써야한다는 것이죠.

많은 초보자들이 다운하면 프레스가 생긴다고 오해를 하게 되는 부분이 너비스턴을 배우면서 시작됩니다.

비기너턴을 지나 너비스턴을 배우면서 턴 초반 데크가  90도 돌 때 까지는 로테이션만 하다가 턴 후반부 나머지 90도 구간에 다운 하니 프레스가 팍 느껴지니까 아! 다운하니까 프레스가 생기는 구나 하고 오해를 하게 되는 것이죠. 이때 느껴지는 프레스의 본디 프레스가 생기는 구간이고(슬로프의 기울기, 중력, 속도가 복합적으로 작용해서) 이 이 프레스를 엣지를 세워서 컨트롤하려 하다 보니 비기너턴 때는 못 느꼈던 프레스가 느껴진 것 입니다. 

 

초중급자에게 이걸로 족하다생각합니다.

감압이야? 가압이야?  물리책을 다시 펴서 공부해야해 하는 고민을 하신 분들에게 의안과 실용적인 지식이 되었으면 합니다.

단순화시킨 이론에는 헛점이 많이 생깁니다.  완전한 이론정립과 탐구를 목표로 한 글이 아님을 다시 한번 밝힙니다.

실용적인 지식을 목표로 작성된글인 만큼 물리적접근 및 심오한 반론을 자제 부탁드립니다.

완전히 산으로 가는 내용이다 생각하시는 분들은 반론을 적으셔도 무방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33
3396 기술(테크닉) 에지전환 & 힐턴에 대한 소고 [36] KOON™ 2005-12-21 217 15295
3395 기술(테크닉) 전향각으로 카빙하기.. [55] 유로카빙 2006-12-22 184 29933
3394 기술(테크닉) 푸쉬풀턴의 이해를 위한 역학적 접근 [27] Swiss보다 2007-01-17 182 5961
3393 기타 UCC 사이트 동영상 링크 방법 / 동영상자료... [6] ∪² 2008-02-21 174 9447
3392 해외원정 [코미][위슬러연재#2] - 잠자리와 먹거리 문제 [2] 김종원 2001-10-24 169 5921
3391 기술(테크닉) 닥라 참가자 몇몇에 대한 평과 아쉬운점 [220] 비로거. 2014-01-10 162 12616
3390 일반 이제는 더 이상 샵에 속고 살지 않아야겠습... [140] 유유자적 2008-10-12 160 18652
3389 장비 튜닝 바지...어디까지 내려가 봤니.. [32] 나불나불㉿ 2009-09-24 158 17217
3388 기술(테크닉) 파이프 입문을 위한 하프파이프를 배우는 단... [29] volcomsnow 2008-02-08 151 11595
3387 기술(테크닉) 지빙에 대한 고찰~~~ 지빙시 몸의 중심(보드... [27] volcomsnow 2007-07-10 149 7468
3386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3.두 개의 턴 file [48] Lunatrix 2016-12-18 147 13847
3385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3) 왕초보... RiderCrew~* 2001-10-29 141 8114
3384 절약법 아직도 비싼 홀덴 구입이 고민이세요? 그럼 ... [32] 결눈이쁜보더 2008-03-01 139 13212
3383 해외원정 [헝그리의 뉴질랜드 원정기] - 첫번째이야기 [7] 김규만 2001-10-29 137 5604
3382 장비 관련 데크사이즈(길이) 선택 및 한계중량에 관하여 [10] Great One 2009-04-07 137 8882
3381 일반 [re] 힘내세요 sky 2001-11-19 135 3476
3380 장비 관련 버튼 "스피드 존 부츠" 끈 바꾸는 방법! [8] 결눈이쁜보더 2008-02-21 135 8720
3379 기타 약간 편하게 스티커 파기위한 도구?;; 입니다; [10] 떵근ⓔ 2008-03-17 134 7495
3378 장비 관련 보드장비 처음 구매에 관해서 - 선택 [13] 곰팅이 2009-04-09 132 6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