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분의 악평에 힘입어 한편더 올립니다.

마취과의사인 노메딕님이 보시기엔 허접해보이는 글일수있겠지만...^^

제가 글을 올린것은 의학전문지식이 없는 일반인이 스키장에서의 사고로

머리에 충격을 받았을경우 또 상대방이 그랬을경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를

설명해드리기 위한 것이었습니다. 근데 그 내용은 없었네요.지송...

(CT촬영의 의학적적응증이라든지 뇌손상의 병태생리적기전등의 전문적인
내용은 사실 의미없다고 생각합니다.)

1. 자기혼자 넘어져서 머리를 부딪혔을경우..
  
  1) 모든 경우에 일단 슬로프의 가장자리로 이동하는게 먼저겠죠....
  2) 헬멧이나 비니착용여부와 상관없이 주변에 친구가 있다면 외상으로
     인한 출혈여부를 관찰하세요.  
  3) 특별한 외상이 안보인다면 목이 괜찮은지여부를 확인합니다. 아무래도
    머리를 땅혹은 장애물에 부딪쳤을경우 목에도 충격이 많이 가거든요.
  4) 목에 통증이 있을때 목을 풀어준다고 휙휙돌리는 경우가 있는데 그것은
    잘못된 처치입니다. 일단 목을 안움직이는게 가장 좋습니다.
  5) 머리든 목이든 사고당시에는 우리몸의 호르몬균형상태가 변해서 통증이
    있어도 잘모를수있습니다. 또 첫글에서도 썼지만 두개강내 출혈이 서서히
    진행될경우 증상이 나중에 나타날수도 있습니다.
  6) 그래서 가장 중요한것은 사고난후에는 휴식을 취하면서 경과를 관찰하
   는 것입니다.

  %% 그럼 어느정도의 충격을 받아야 병원에 바로 가야하는가? %%
  
   이 질문에 정답은 없습니다. 그래도 몇가지 정리해보면...
  
   1) 정신을 한동안 잃었던경우
   2) 두통이 점점 심해지는경우
   3) 시야가 갑자기 흐려지는경우
   4) 정신이 혼미해지는 경우
   5) 어지러움증이 점점 심해지는경우
   6) 목이 뻣뻣해지는 증상이 나타나는경우
  
  물론 자신이 강하게 충격을 받았다고 생각되면 주저말고 병원에 가보세요.
  병원에 간다고 무조건 CT 촬영부터 하진 않습니다. 두개골의 이상유무를
  알기위해 X-ray부터 찍는 경우가 더 많죠. 그리고 환자의 증상호소정도와
  의사의 진찰소견을 종합해서 CT촬영이 필요하다면 시행하게 됩니다.

  기본적인 처치는 진통주사와 약처방을 받을것입니다. 그런후에 아마 모든
  의사가 "앞으로 증상이 어떤지 보시구요...증상이 심해지면 꼭 다시 오세요."
  라고 말할것입니다. 그만큼 향후경과관찰이 중요하다고 하겠습니다.

2. 이제 둘이 충돌했을 경우를 알아볼까요?

  1) 역시 슬로프의 한쪽 가장자리로 옮긴후 본인과 상대방모두 괜찮은지 여
    부를 살펴야겠죠.
  2) 충돌당시의 상황을 잘 아는쪽에서 상대방의 손상여부를 잘 물어봐야
    겠습니다.
  3) 물론 가벼운 충돌은 서로 이상유무를 확인한후에 인사하고 헤어지면 되
    겠지만 지금 다루는 것은 머리에 충격을 받았을 경우를 말하고 있죠.
  
  그럼 두가지로 나눠서 살펴볼까요.
  
  A. 내가 머리에 충격을 받았을때...

     1) 이경우에 갈등이 생길수있죠.
        머리는 아픈것같은데 괜찮을것도 같고...
        병원가겠다고 하면 좀 자해공갈단처럼 보이는게 아닌가하는 걱정...
        또 상대방측이 여럿이 왔을때는 혼자있으면 쫌 꿀리는것도 같고...
     2) 하지만 이런것들 때문에 그냥 지나쳐버린후 나중에 문제가 생기면
         자신만 손해입니다.
     3) 상대방을 무조건 배려만하는것이 올바른 매너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4) 일단 머리에 충격이 심했다는것을 상대방에게 주지시키세요. 그것만
        으로도 상대방은 그 상황을 가볍게 생각하지 않게됩니다.
     5) 그리고 향후에 병원에 가게 될수도 있다는 것을 설명해주세요.
     6) 정확한 연락처교환은 꼭 필요하겠죠.
     7) 만약 위에서 설명했던 즉시 병원에 갈 상황이라면 같이 동행하자고
        제의를 하고 상대방의 사정이 여의치않다면 연락처교환하고 병원에
        가세요.
      8) 진찰을 받고 적절한 처치를 받은후에 상대방에게 연락하여 어느
        병원에 갔고 어떤 처치를 받았고 의사한테 들었던 설명을 전달해주면서
        보상문제를 상의하면 되겠죠.
    
   B. 상대방이 머리에 충격을 받았을때..
      1) 기본적인 내용은 같습니다.
      2) 내가 볼때 상대방이 강한 충격을 받았는데 상대방이 그냥 가려고 한
        다면.... 이건 윤리적인 부분이겠죠. 각자 소신껏 현명하게 처신하세요.
      3) 상대방이 증상을 심하게 호소한다면 그말을 믿으세요. 대부분의 사람
        들은 진짜 아플때 아프다고 하니까요.
      4) 일단은 의무실이든지 어디든 휴식할수있는곳으로 옮겨서 증상 경감
        여부를 보는것이 중요하겠습니다.
      5) 만약 바로 병원에 가겠다고 한다면 가능하면 동행하는게 좋습니다.
      6) 동행을 하는이유는 사고당시의 상황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할수 있고
         의사의 소견을 직접듣는것이 검사또는 처치비용에 대한 보상문제를
         다룰때 도움이 될수있기때문입니다. 또한 상대방이 혼자일 경우 병원
         에 가는도중에 응급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기때문입니다.
      7) 만약 동행할수없다면 연락처교환을 하고 당일저녁또는 다음날 확인
         전화를 해보는것이 좋겠죠.

%% 만약 상대방이 병원에서 무조건 CT촬영을 할것을 요구한다면?? %%

  이 경우 좀 난감하죠. 의사는 CT촬영을 권유하지 않았는데 아프다면서
  무조건 CT촬영을 하겠다면...
  검사를 막을 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대신에 CT촬영은 방사선 노출이 X-ray등보다 훨씬 많고(이건 의사가 설명
  할내용이겠지만..) 100%과실인 경우는 거의 없는점등을 기분상하지 않게
  대화를 나누고 상대방을 진심으로 걱정해준다면 상대방도 그렇게 막무가내
  로 처신하지 않을것 입니다.


이상 간단(?)하게 스키장에서의 사고로 머리에 충격을 받았을때 대처하는
요령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내용이 부실한 면도 있습니다. 너그럽게 봐주세요..^&^

여전히 악플이 달리면 과감하게 지우겠습니다. ㅋㅋ 그럼 즐보딩...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563
3277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2.급사 라이딩이 어려운 진짜... file [31] Lunatrix 2016-11-23 71 14071
3276 절약법 과속카메라..무인카메라..덜찍히는법? 덜당... [22] 김구라. 2003-09-25 11 14060
3275 기술(테크닉) 전향 카빙이 안되는 이유(답은 따운이다!) [29] -Double.J- 2017-09-10 50 14026
3274 장비 튜닝 커플헬멧에 세나SMH5 장착후기~~ file [18] 와플곰돌이™ 2014-12-03 3 14007
3273 기타 수제 비니를 만들어 봅시다~ (수정) [108] 신사장 2006-10-30 50 13984
3272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2.로테이션 file [16] Lunatrix 2014-11-19 19 13965
3271 CASI CASI 에서 설명하는 턴의 종류 [37] grindays 2008-12-10 64 13895
3270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3.두 개의 턴 file [48] Lunatrix 2016-12-18 147 13858
3269 기술(테크닉) 업다운 자세와 앵귤레이션의 정확한 이해 [29] 식물인간~┿_┿ 2010-11-08 4 13823
3268 장비 관련 대륙의 EG2 [27] Electric 2009-11-24 61 13794
3267 장비 튜닝 [아메바 6탄] 낡은 고글 스펀지 & 밴드 교체... [28] 똥싸개아메바 2006-08-20 31 13701
3266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의 정통은 여기뿐입니다~!~! [68] 조로아찌 2015-12-14 3 13684
3265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FS180 알고보면 쉬운 3단계 팁 file [19] 가고일~* 2011-11-01 5 13678
» 의학,부상,사고 [의학] 머리에 충격을 받으면 꼭 CT촬영을 ... [7] HT 2002-12-18 15 13670
3263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움직임 file [3] 문박사 2019-11-04 5 13670
3262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1. 전경후경과... file [32] Lunatrix 2014-01-21 46 13615
3261 장비 관련 오클리 고글 렌즈의 종류, 용도 분류 및 빛 ... [3] ... 2002-11-21 39 13584
3260 기술(테크닉) [초보] 초보가 하는 힐턴에서의 다운과 앵... file [28] 딴생각 2011-12-14 7 13563
3259 기술(테크닉) 그라운드 트릭을 좀더 쉽고 스케일 있게 하... [27] 페브리즈 2009-01-07 60 13535
3258 초보를 위한 강좌 중급자로 가기 위한 걸림돌 [30] ┓푸른바다┏ 2009-02-19 132 134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