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스노보드 리뷰어 개츠비 입니다.

스노보드를 오래타게 되고, 헝글도 오래 하게되고,

문답 게시판을 보면 1-2년전 부터 붓아웃 현상에 대해 민감하게 반응을 하시는 분들이 늘었습니다.


제가 과거 롬 스노보드 라이더 였을때,


03~05년 롬 앤썸158(허리폭 249mm)과 롬 메탈158(허리폭247mm)가 제 메인 모델이었고,

스탠스 폭은 양쪽 끝에서 한칸씩 당겨서 세팅 (바인딩 중간에서 중간기준 57~60cm 정도 였겠군요.)

바인딩 각도는 앞발 18~21도, 뒷발 -6도 였습니다.

부츠는 당시 왠만한 부츠는 지금보다 더 뚱땡이 부츠인 K2 T1 280 사이즈를 사용했었습니다.


심한 습설에는 당연히 엣지가 안걸려 밀려 자빠링 하였지만,

붓아웃 으론 인한 걱정은 해본적이 없습니다.


요즘 붓아웃에 민감해 하는 분들이 많아지는 현상을 감히 추측하자면....


1. 스탠스 폭이 좁은 햄머헤드 데크 대유행의 영향으로......

   - 160사이즈라고 봤을때, 디렉트윈 프리데크의 맥시멈 스탠스 폭은 60~64센치 정도 나오는데,

    햄머헤드 데크는 맥시멈 스탠스 폭이 52~55센치 정도입니다.

    이런 영향으로 햄머헤드가 아닌 프리데크를 타는 많은 분들도 요즘 스탠스 폭을 좁게 책정하는

   분들이 많아져서 붓아웃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이구요.    

 

2. 알파인과 프리데크의 중간정도의 스펙인 햄머헤드는 길이가 160가 훌쩍 넘어도,

     왠만하면 허리폭 250mm 가 넘지 않으며 보드크로스에 권장하는 스탠스 각도도 24~36/ 9~15도 정도

    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햄머헤드건 프리데크건 스탠스 폭을 좁게 세팅해서,

    각도는 일반 프리덱의 보편적인 각도인 12~18도/0도~3도로 사용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이렇게 사용하면 붓아웃 현상을 염려 할 수 있습니다.


3. 유명 스노보드 브랜드의 80% 이상은 유럽/북미 브랜드 입니다.

   서양인들의 평균 발사이즈는 동양인보다 1.5센치 이상 큽니다.

   그리고, 요즘 서양의 스노보드들은 예전보다 오히려 허리폭이 다소 넓어졌습니다.

   과거 롬 앤썸 158의 허리폭이 249mm 에서 252mm 로 넓어졌고,

    버튼의 커스텀 또한 158의 허리폭이 250mm 에서 252mm 로 넓어졌습니다.

    이런데도, 상대적으로 발크기가 작은 한국에서 붓아웃 걱정이 늘어난 것은

    분명히 세팅을 수정하면 붓아웃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제가 개인적으로 추천하고 싶은 붓아웃 현상 방지책은


1. 바인딩 세팅의 개선

  - 바인딩 폭을 좀더 넓게 세팅하고, 바인딩 각도 또한 좀더 각도를 틀어 줍니다.(덕풋이건 정향각이던)

   즉 프리데크에는 프리데크에 맞는 바인딩 세팅, 햄머에는 햄머헤드에 걸맞게 세팅 하라는 의미 입니다.


2. 바인딩 센터링에 유의

  -  센터링을 잘 맞추면 힐사이드 카빙, 토사이드 카빙이 모두 부드럽게 진행되어

    카빙능력과도 상관이 있기에 자신에게 딱 맞는 센터링 세팅도 아주 중요합니다.


    부츠를 실제 신었을 때, 부츠의 앞꼬다리와 뒷꿈치의 끝의 길이가 데크에서

    각각 똑같은 길이로 튀어나와야 센터링을 잘 맞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앞꼬다리가 뒷쪽보다 1센치 정도 더 튀어나와도 부츠의 형상과 바인딩의

    다소 높은 개스페달로 인해 붓아웃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 편입니다.


3.  높은 베이스 플레이트나 더비를 장착

  - 칸트가 들어간 베이스 플레이트 (라이드 엘헤페, 플로우 NX2, 롬 타르가 등등)를 지닌 바인딩은

   대체로 베이스 플레이트가 높은 편이라 붓아웃을 줄여 줍니다.

    그리고, 다른 베이스 플레이트가 높은 (특히 베이스 밑면에 우레탄폼이 많이 들어간 바인딩)

    바인딩 또한 붓아웃 현상을 줄여줍니다.


   더비 또한 루버 혹은 우레탄으로 만들어지거나 덧데어진 더비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시면

   붓아웃 현상은 걱정할 일이 아닐겁니다.

  하지만~!!!!!! 루버나 실리콘 혹은 우레탄 댐프가 처리되어 있지 않은 더비....그리고, 모 브랜드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찰탁 가능한 '훅'이 들어간 바인딩 제품은 라이더의 무게 압력을 분산시키지 못하여,

  코어의 파손을 초래 할 수 있습니다. 이에 현명하게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과거엔 헝글에서도 붓아웃 하면,

바인딩의 센터링과 바인딩 폭, 각도를 잘못 맞춰서 일어나는 경우가 대부분 이었는데,

햄머헤드 데크 대유행의 도래 이후부터, 붓아웃 형상에 민감한 분들이 많이들 생겼습니다.

이에 제 의견을 여러분께 전달 하면서 많은 분들의 의견을 수렴해보고자 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토론방 이용안내] [3] 루카[ruka] 2018-10-26 1 3525
1322 밑에글 보시고 여긴 사진있습니다. "본명 : 박춘신, 가명 : 박신 이 사기꾼을 조심하세요." file [62] KIMSSEM 2011-11-25 12 12551
1321 국산 카피보드복 file [58] 그런가보다 2011-07-17   12549
1320 [리서치] 당신은 전향입니까? 덕 입니까? [264] 어거스티노 2018-11-07 9 12532
1319 자신에 실력에 맞는 슬로프 이용법 [62] 레브가스 2015-09-04 3 12129
1318 보드의 끝은 결국 스키? [48] 자유게시판 2017-11-16 7 12087
1317 헬멧 착용에 대해. [130] 엄마찾아원에리 2016-12-15 21 12087
1316 턴 타이밍에 대한 고찰 file [25] F2한노 2017-02-17 3 11921
» 붓아웃 현상의 정체와 최소화 하는 방법 [17] GATSBY 2015-08-13 22 11906
1314 초중급 슬로프타는데 헤머덱이 좋다vs아니다 돈 낭비다. [82] 이여자가어딜 2018-03-31 2 11893
1313 실력은 돈을주고 사는것이다!!! [23] 대장곰보더 2007-12-08 142 11829
1312 도데체 왜?! 커스텀 보드복인가요? [36] 샤를롯 2011-07-27   11689
1311 숏턴, 미들턴은 초보에게 과연 독인가. [28] THE구피™ 2015-03-09 2 11582
1310 말랑말랑한 데크가 트릭에 좋다? [22] [Thr2e:D]_ JK 2008-01-29 117 11577
1309 막보더 이대로 냅둬도 괜찮은가?! [29] 막보더 2008-12-15 33 11565
1308 [오픈프로젝트]스노우보드 카빙연습기를 만들어 봅시다. [21] wallboy 2008-01-17 152 11543
1307 선간지 후실력? ^^ [82] 분노의쓰리 2011-02-05   11504
1306 극전향 프리스타일에 대해 [36] 으헝헝 2016-12-03 9 11463
1305 스노우보드 잘타는 법? [45] 단무지보더 2006-07-23 58 11319
1304 셀프 왁싱의 비애... [35] guycool 2015-10-29   11287
1303 스키장의 전반적인 쇠퇴는 유행이 지났기 때문입니다. file [36] 보린 2020-01-20 28 11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