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페이지에 덕스탠스의 위험성(http://www.hungryboarder.com/index.php?mid=Colum&page=2&document_srl=31979053) 이라는 글을 읽다가 덕스탠스에 대한 개인적 소견을 밝혀봅니다.

일개 보알못이기에 감히 글을 쓰는게 부끄럽지만, 개인적인 생각을 정리하겠습니다.


첫번째, 덕스탠스는 위험하냐? 

답은 '예' 라고 하겠습니다. 하지만 '얼마나' 위험하냐 고 묻는다면 전향각이나 덕스탠스나 똑같이 위험하다고 대답하겠습니다. 

보더분들 다들 스쿼트 열심히 하고 계시죠? 스쿼트 할때 가장 기본은 '무릎이 지면에 수직이 되도록' '무릎이 발의 길이보다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 이상 무릎이 앞으로 빠져나가게 되면 힘을 근육이 아닌 무릎 관절이 받기 때문에 무릎은 손상을 입을 수 밖에 없습니다. 여기서 질문. 보드타실때 스쿼트 자세로 지면과 무릎을 수직으로 세워서 타시는 분? 무릎이 발보다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자세를 잡고 타시는 분? 아마 없을겁니다. 덕스탠스고 전향각이고 어차피 무릎에는 손상을 받게 됩니다. 게다가 설면의 이레귤러까지 몽땅 무릎으로 받는 무리를 하고 있는 중이지요. 알지만 그냥 타는거죠. 안타고 오래사느니 즐겁게 타고 일찍 죽겠어. 덕스탠스가 위험하다기보다는 보딩이라는 운동 자체가 무릎에는 좋지 않은 운동입니다.


두번째, 덕과 전향각 중 어느쪽이 더 안정적인가.

정지상태에서의 안정성을 이야기하자면 당연히 덕스탠스가 안정적입니다. 트릭 후 랜딩시의 착지와 불안정한 요소가 생겼을때, 또 스위치라이딩을 감안하여 안정성을 이야기하자면 당연한 이야기겠지요. 제자리에서 높이뛰기를 하고 덕스탠스로 떨어지는게 안정적일까요 전향각으로 떨어지는게 안정적일까요. 자연스럽게 힘을 빼고 다리를 벌리고 서면 11자로 선 자세보다 발을 약 15도쯤 벌린 상태가 가장 안정적일 것입니다. 덕스탠스지요. 우리 몸의 자연스러운 각도의 자세입니다. (물론 덕을 어마어마하게 벌리시는 분들도 있지만 제외하겠습니다.)


세번째, 그런데 왜 덕스탠스는 위험하다는 소리가 나오나.

하지만 여기서 보드라는 운동의 특징이 개입됩니다. 보드는 정지상태의 운동이나 전방을 향해 가는 운동이 아니라 측방을 향해 가는 운동입니다. 측방으로 갈 때도 똑같을까요? 여기서 덕스탠스의 위험성은 생기게 됩니다.

← 진행방향덕 bbp.jpg

 진행방향  전향 bbp.jpg

   


빨간색 선이 발의 각도입니다. 파란색 선은 어깨선 검정 선은 몸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입니다. 그림이 발퀄이라ㅠㅠ 죄송힙니다. 올드스쿨의 정석이지요. BBP. 덕스탠스는 BBP자세에서는 훨씬 안정적인 자세를 보여줍니다. 반대로 BBP를 지키는 자세에서는 전향각을 두게되면 오히려 어색한 자세가 나오게 되지요. BBP자세를 지키게 되면 덕스탠스는 그다지 위험하지도 않고 안정성이 뛰어난 좋은 자세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테크니컬 라이딩이라 불리는 상체를 열고 타는 일본 스타일의 카빙이 유행하게 됩니다.


 진행방향  덕 open.jpg

 진행방향  전향 open.jpg



아 진짜 더럽게 못그렸네;; 상체를 오픈하고 전방을 바라보는 자세를 취해봅시다. 그림이 진짜 개 발퀄이네요. 다시한번 사과드립니다. 그림에서는 살짝 전방을 향하는 느낌으로 그렸습니다만, 실제 타시는 분들은 거의 상체가 폴라인을 바라볼 정도로 열고 타는 분들도 많더군요. 물론 실제의 경우에는 무릎 뿐 아니라 허리의 회전력이 들어가기때문에 그림은 하체만 생각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살짝만 각도를 틀어서 상체를 열었는데도 뒷발과 몸 사이의 각도가 엄청나게 넓은 게 보이시죠? 보시다시피 상체를 진행방향으로 열어주는 일본 스타일의 라이딩을 하게 될 경우 덕스탠스는 독이 될 수밖에 없습니다. 무릎은 경첩관절입니다. 전후운동이 주요 운동방향이지요. 회전운동에는 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개인적인 유연성에 따라 무릎관절이 굉장히 유연한 분도 뵙기는 했습니다만, 일반적인 경우에 적용하기는 힘들다고 봐야겠구요, 보통은 좌우 15도가 넘어가면 무릎의 관절과 인대, 근육은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라고 보는게 옳습니다. 이렇게 팽팽하게 긴장된 상태로 뒤틀린 무릎에 다운프레스와 설면의 이레귤러를 계속해서 받으면 무릎은 지속적으로 손상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


원글에서 자신은 전향각을 하는 편이 오히려 무릎에 무리가 더 간다 라고 말씀하셨던 분이 계셨는데요, 마찬가지로 생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전향으로 바인딩을 설정해놓고 몸은 여전히 BBP를 버리지 못하고 있다거나, 혹은 발의 각도보다 과한 상체 각도를 사용하시기 때문에 무릎에 데미지를 받는게 아닌가 추측해 봅니다. 전향각은 살짝 주고 거의 알파인에 가깝게 상체를 열고 라이딩을 한다면 무릎에는 과부하가 걸릴 수 밖에 없습니다.


결론입니다.

덕스탠스냐 전향이냐 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자신이 어떤 스타일의 라이딩을 추구하느냐에 맞는 각도를 찾는것이 중요하다. 고 결론내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들 건강하게 만수무강 보딩하시길 바랍니다.

(정작 글쓴이가 무릎이 아작난 건 함정)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897 기술(테크닉) 15/16시즌 스노보드 포커스 file [5] 문박사 2015-10-13 5 5137
2896 일반 스노보드를 위한 근육 운동 [3] TKLee 2015-10-12 5 4787
2895 기술(테크닉) 가장 기본적인 턴은 무엇일까? [7] Jake! 2015-10-11 10 4435
2894 해외원정 뉴질랜드 카드로나원정 후기입니다 file [5] 사각머리 2015-10-11 8 4119
2893 기타 동영상 편집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 팁 [3] 레브가스 2015-10-08 8 5734
2892 장비 튜닝 somethings about 왝스... [5] 귤!!! 2015-10-07 9 2861
2891 장비 관련 바인딩 나사 체결시 오류(빠가, 풀림) 해결 팁 [8] 레브가스 2015-10-06 11 5139
2890 초보를 위한 강좌 초심자에게 알려줄 가장 간단한 스노우보드... [6] Jake! 2015-10-05 28 6362
2889 기술(테크닉) How can we teach? [14] 문박사 2015-10-02 14 4081
2888 기술(테크닉) 급사 라이딩 팁 [69] 천현민 2015-09-30 87 19960
2887 일반 국내 스키장 위도, 고도 정리 file [12] 데지사마 2015-09-18 15 6192
» 의학,부상,사고 2880 번 '덕스탠스의 위험성' 글을 읽고. file [9] 설상진상 2015-09-15 11 9335
2885 장비 튜닝 헝그리) 부츠텅을 이용한 부츠튜닝 diy 해봅... file [11] 러블리실 2015-09-15 5 7236
2884 장비 튜닝 헝그리) 엉덩이 보호대를 Diy (튜닝) 해봅시다 file [8] 러블리실 2015-09-13 3 4476
2883 CASI CASI interski 2015(진행중) [2] TKLee 2015-09-11 13 2872
2882 해외원정 캐나다 휘슬러에 오시는 20대 보더분들을 위... [3] Jake! 2015-09-08 18 5758
2881 기술(테크닉) F/S 180 쉽게 하는 간단 팁 [5] 소리조각 2015-09-01 6 5028
2880 장비 관련 일본덱, 유럽덱 지름은 올해가 최적이지 싶... [4] 보린 2015-08-24 1 4457
2879 일반 초급/주말 보더를 위한 휘닉스파크 사용법 [7] 가루군 2015-08-21 9 5962
2878 일반 리조트별 장단점 정리 [38] 소리조각 2015-08-19 33 2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