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헝글 문답에 왝스에 관한 이야기도 많이 올라오고 해서

5년간 스노우보드를 저의 손으로 제작한 경험을 바탕으로 스노우보드 왝스 및 왝싱방법에 대해서 정보를 전달하려 합니다.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1. About bases


1-1. 스노우보드 베이스는 PE(폴리에칠렌)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를 하게되며, 제조의 방법에 따라서 익스트루디드 또는 신터드로 나뉘며 최근에는 열전도율이나 전기음성도의 특징들을 유도하기 위해서 그라파이트, 갈륨등의 분자를 첨가하는 베이스들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1-2. 익스트루디드 베이스는 PE분자를 고온으로 녹여 사출성형법으로 제조된 베이스로 베이스에 미세한 구멍이 없으므로 왝싱을해도 별로의미가 없습니다.(콜드왁싱을 추천합니다.)


1-3. 신터드 베이스는 PE파우더를 소결공법을 이용하여 굳힌 후 과일깎듯이 얇게 깍아낸것으로서 소결공법 특성상 생기는 미세한 구멍이 있습니다. 따라서 신터드 베이스는 왝스를 머금을 수 있고 이때부터 왝싱의 기술이 발전된것이 아닌가 생각이 됩니다.


1-4. 그라파이트. 불소 그리고 갈륨등의 분자를 신터드 베이스에 첨가한 베이스들이 요즘에 많이 출시되고 있는것 같습니다. 이는 열전도율을 높여 라이더의 압력으로 부터 생기는 수분을 더 잘 생기게 하거나 전기음성도를 높여 물과의 반발력을 높여 활주력을 높이는데 의미를 두고 있습니다만, 불소(테프론)가 첨가된 베이스는 접착성능 때문에 잘 사용되지 않고 있고 그라파이프, 갈륨을 이용한 베이스 역시도 많은 브랜드들(특히 프리스타일)에서 사용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2. About Waxes


2-1. 왝스는 탄소와 수소로 이루어진 탄화수소중합체로서 보편적으로 파라핀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왁스의 기본재료로 파라핀이 이용되고 있고요. 많은 분들이 양초로 왝싱을 해도 되지 않느냐라고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은데 사실을 해도 상관은 없습니다만 파라핀으로 왝싱을 하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2-2. 스노우보드는 눈(얼음)과 마찰이 계속일어나게 되므로 베이스의 마모가 상당합니다. 그래서 물과의 반발력을 높여 마찰계수를 줄이기 위해서 왝스를 바르게 되었죠, 하지만 파라핀은 물성상 너무 무르기 때문에 생각보다 마모가 잘 읽어나게 되었고 이런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첨가물을 섞게 됩니다. 그것들은 파라핀보다 탄소를 더 많이 가지고 있는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왝스라던지 신세틱 왝스들이 되겠네요 또한 구분을 하기위한 색소도요...


2-3. 왝스를 보시면 보통 온도별로 사용하게 되어있는데 이유는 이렇습니다. 온도별로 눈의 결정의 날카로움이 다르기 때문에 베이스보호를 위해서 성분을 달리하게 되는것이지요, 저온용은 딱딱한 왝스(강하지만 활주력은 약간 떨어집니다) 고온용은 약간 말랑한 왝스(무르지만 활주력이 좋죠). 그외에도 모든온도에서 사용하는 유니버셜 왝스도 있습니다. 또한 새제품의 베이스를 위한 준비왝스로 베이스왝스라는것이 있는데 이것은 베이스에 왝스를 잘먹이기 위해서 굉장히 잘녹을수 있게 제조되어있습니다. 


2-4. 왝스는 기본적으로 하이드로카본왝스 입니다만, 플루오르(불소)나 그라파이트(흑연)가 첨가된 왝스들도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활주력을 높이기 위해서 제작된것들 입니다만 가격이 비싸죠,,,


2-5. 불소는 전기음성도가 매우 높은 분자로서 물과의 반발력이 매우 크므로 활주력이 굉장히 좋습니다. 그리고 먼지나 기타오염물들과(음전하) 반발력도 뛰어나서 기타오염물이 신터드 베이스의 구멍을 막는것을 애초에 방지할 수 있어서 베이스 관리면에서 좋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비쌉니다.


2-6. 그라파이트는 카본을 태워서 만든 것으로 쉽게 흑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불소처럼 소수성(물을 싫어하는 성질)도 높고 전기음성도도 높아서 좋은 활주력을 가지고 있습니다만, 역시나 가격이 비쌉니다.


2-7. 왝스는 목적에 따라서 여러가지가 제조되어 판매되고 있고요 본인의 요구에 따라서 왝싱하는 방법들도 다양합니다...


3. About Waxing



3.1. 왝싱의 기본적인 목적은 신터드베이스에 있는 미세한 구멍들에 왝스를 녹여서 채워 베이스의 마찰계수를 줄이고 더불에 내구성을 확보하는데 있습니다. 


3.2. 왝싱을 하기전에 시트러스오일 성분의 리무버를 이용해서 베이스를 청소해줍니다. 리무버가 베이스에 많이 노출되는것이 좋지 않기때문에 리무버를 직접뿌리지 않고 티슈에 묻혀서 닦아내는게 좋습니다.(저는 시즌말에 기름때가 올라오기전에는 리무버를 사용하지 않습니다.ㅎㅎㅎ)


3.3. 그 후에 구리솔로 문질러 내는데 이것은 물길을 내어 물의 응집력때문에 발생하는 "워터석션"을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물론 전 안합니다.) 


3.4. 그후에 왁스를 베이스 위에 녹여 내어주고 아이언으로 펴발라줍니다. 아이언의 온도는 왁스를 녹였을때 연기가 나지않고 잘녹는 온도로 해주시면 되고요 한곳에 여러번 문지르거나 하지말고 힐사이드쪽 베이스의 노즈에서 테일로 한번 그리고 토사이드쪽 베이스의 테일에서 노즈로 한번 마지막으로 베이스의 가운데쪽 베이스의 노즈에서 테일쪽으로 3번만 발라줍니다. 이렇게 하는 이유는 베이스위에 아이언이 오래 머물러 있게되면 베이스 밑부분의 이팍시가 녹아서 디라미네이션(본드가 떨어지는 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입니다.


3.5. 요즘에 열풍기로 왝싱을 하는경우가 있는것 같은데 개인적으로는 비추입니다. 이유는 베이스위의 왝스를 쉽게 녹일 수 있어도 어느정도 압력이 없으면 액체의 응집력 때문에 신터드 베이스의 미세한 구멍에 잘 흡수되지 않고 표면에만 발라주는 왝싱을 하게 될수도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열풍기 왝싱을 선호하시는 분은 하셔도 됩니다.)


3.6. 왝스를 입힌 후에는 최소 2시간이상 또는 오버나잇을 하여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스크래핑할때 미세한 구멍의 왝스들이 같이 빠져나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3.7. 스크래핑은 다아실테니 그냥 넘어가고요...(점점 귀찮아지고 있네요ㅠㅠ)


3.8. 스크래핑 후에는 나일론 솔을 이용하고 꼭 물길을 내주셔야 "워터석션"을 피할 수 있습니다.


4. Preparation of Bases


4.1. 기본적으로 출고가 되는 스노보드들은 액체왝스로 기계왝싱을 하여 출고를 합니다. 따라서 핫왝싱을 하는것이 좋습니다...ㅎㅎ


4.2. 민감하신 분들은(저는 안하지만) 베이스의 상태를 끌어올리기 위해서 길들이기 왝싱을 하는데요 위에서 말씀드린 조금더 잘녹아서 미세구멍에 들어가기가 용이한 베이스왝스를 먼저 입혀내서 미세구멍에 왝스를 충분히 집어넣는 작업입니다. 하는 방법은... 

   - 베이스왝스를 녹여 베이스에 입혀내자마자 스크래핑을 합니다.

   - 베이스를 식히고 다시 베이스 왝스를 입혀내고 30분 후에 스크래핑을 합니다. (2회)

   - 마지막으로 요구에 맞는 왝스로 핫왝싱을 합니다.

과 같습니다. 베이스왝스는 잘녹고 녹아있는 상태 유지가 오래가므로 미세구멍에 왝스를 채우는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기 때문에 사용합니다.


4.3. 요즘에는 그라파이트가 함유된 베이스왝스도 많이 출시되고 있습니다. 흑연을 베이스에 충전할 수 있어서 불순물에 대한 저항도 세지고 물에 반발력도 좋아서 많이들 사용하시는것 같지만 역시나 비싸다는게 단점입니다. 그라파이트가 충전된 일렉트라 계통의 베이스에 사용하고요 또한 일반 신터드 베이스에도 사용해도 됩니다만 베이스가 까맣게 되니까 주의하세요!!!


5. Wax Layering


5.1. 설온에 따라서 다른 왝스를 쓰거나 불소가 첨가되어 있는 또는 그라파이프 왝스를 쓸때는 왝스를 혼합해서 사용하는데요 이럴때는 왝스를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5.2. 먼저 유니버셜 왝스 또는 선호하는 왝스를 학왝싱을 합니다.


5,3. 먼저한 왝스를 스크래핑 한 후에 그위에 입히고 싶은 왝스를 콜드왝싱하듯 문질러 줍니다.(많이 문질러 주세요)


5.4. 그후에 다시 핫왝싱을 하시면 훌륭하게 왝스를 혼합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6. Epilogue


스노우보드에는 왕도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왝싱도 마찬가지고요...왝싱을 하는 방법도 다 제각각이고, 딱히 틀린 방법이 있는것도 아닙니다.

그러니 기본만 지키는 선에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잘 선택해서 하시면 됩니다.


머리속에는 하고싶은 말들이 엄청 많은데 글로쓰려니 쉽지가 않네요, 시즌 얼마 안남았는데 준비 잘 하셔서 즐거운 시즌 보내시길 바랍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897 기술(테크닉) 15/16시즌 스노보드 포커스 file [5] 문박사 2015-10-13 5 5137
2896 일반 스노보드를 위한 근육 운동 [3] TKLee 2015-10-12 5 4787
2895 기술(테크닉) 가장 기본적인 턴은 무엇일까? [7] Jake! 2015-10-11 10 4435
2894 해외원정 뉴질랜드 카드로나원정 후기입니다 file [5] 사각머리 2015-10-11 8 4119
2893 기타 동영상 편집을 처음 접하시는 분들께 팁 [3] 레브가스 2015-10-08 8 5734
» 장비 튜닝 somethings about 왝스... [5] 귤!!! 2015-10-07 9 2861
2891 장비 관련 바인딩 나사 체결시 오류(빠가, 풀림) 해결 팁 [8] 레브가스 2015-10-06 11 5139
2890 초보를 위한 강좌 초심자에게 알려줄 가장 간단한 스노우보드... [6] Jake! 2015-10-05 28 6362
2889 기술(테크닉) How can we teach? [14] 문박사 2015-10-02 14 4081
2888 기술(테크닉) 급사 라이딩 팁 [69] 천현민 2015-09-30 87 19960
2887 일반 국내 스키장 위도, 고도 정리 file [12] 데지사마 2015-09-18 15 6192
2886 의학,부상,사고 2880 번 '덕스탠스의 위험성' 글을 읽고. file [9] 설상진상 2015-09-15 11 9335
2885 장비 튜닝 헝그리) 부츠텅을 이용한 부츠튜닝 diy 해봅... file [11] 러블리실 2015-09-15 5 7236
2884 장비 튜닝 헝그리) 엉덩이 보호대를 Diy (튜닝) 해봅시다 file [8] 러블리실 2015-09-13 3 4476
2883 CASI CASI interski 2015(진행중) [2] TKLee 2015-09-11 13 2872
2882 해외원정 캐나다 휘슬러에 오시는 20대 보더분들을 위... [3] Jake! 2015-09-08 18 5758
2881 기술(테크닉) F/S 180 쉽게 하는 간단 팁 [5] 소리조각 2015-09-01 6 5028
2880 장비 관련 일본덱, 유럽덱 지름은 올해가 최적이지 싶... [4] 보린 2015-08-24 1 4457
2879 일반 초급/주말 보더를 위한 휘닉스파크 사용법 [7] 가루군 2015-08-21 9 5962
2878 일반 리조트별 장단점 정리 [38] 소리조각 2015-08-19 33 21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