왁스에 대한 고찰.

 

1. Hydrocarbon wax


6-paraffin.jpg 

하이드로카본 왁스는 저렴하면서도 가장 일반적인 레저용으로 사용하는 기본왁스입니다.

40여년간 자리를 지키고 있고 지금도 자리를 지키고 있죠.

구성분은 Hydrogen(수소)과 비대칭 탄소원자 (Carbon atom)의 결합으로 만들어진 Hydrocarbon입니다. 가장 저렴한 생산단가를 가지고 있습니다. 원유로부터 추출하거나 석탄으로부터 합성해서 생산 합니다.

 

파라핀은 큰입자인 macrocrystalline입니다. 그 옆에 붙은 것들이 microcrystaline 하이드로카본이죠. 큰입자는 요즘 고가 데크의 신터드 베이스에는 들어가 뿌리를 내리기 힘듭니다. 마이크로크리스탈린이 얼마나 들어가 있느냐가 왁스 내구성을 좌우하는 거죠. 소멸 보다는 소실로 사라지는 양이 더 많다는 거죠.

 

wax의 단단함은 보통 왁스 라벨에 표기를 해놓습니다.

여러분이 가지고 있는 왁스에 라벨이 있으면 살펴보세요. REF 22 라던지 REF 24 같은 숫자가 있을 겁니다. 숫자에는 단단함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단단함을 알아보는 방법은 하이드로카본의 연결체 숫자로서 표시 합니다.

숫자가 낮은쪽 에서 높은쪽 으로 기체상태 액체상태 고체상태가 결정됩니다.

예를들면 기름같은 점성이 적은 액체일땐 6, 베이비 오일은 16.

고체상태의 무른 왁스는 19부터 26까지입니다.

보통 무른 왁스는 22부터 24정도를 사용합니다. 26후부턴 단단한 왁스 단계로 들어가고 보통 30 정도를 단단한 왁스로 사용하며 초(수퍼)단단한 왁스는 합성으로 만들어지고 50까지 갑니다. 돌맹이 수준이라고 합니다.

 

 

2. 왁스의 전달.

(1) 왁스가 신터드 베이스에 들어가는 도식.

 7-wax-delivery.jpg


(2) 폴리에틸렌 베이스의 비결정영역 (amorphous region)


8-p-tex.jpg

위: 현미경으로 찍은 스키베이스의 폴리에틸렌 텍스쳐 . 빈공간들이 보임.

아래 도식 : *Crystalline region : 결정부분  / Amorphous region : 비결정부분

 

1974년 스키의 베이스는 폴리머 폴리에틸렌 소재의 베이스 였습니다. 화학수준이 높아지면서 대단히 긴 연결고리를 가진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UHMWPE) 수지를 개발하게 됩니다. 마찰력이 획기적으로 줄어든 고급 베이스의 소재로 현재는 대부분의 스키와 보드 베이스로 이 소재를 사용합니다. 그리고 이 소재를 가지고 신터드방식이라는 소결공정을 통해 베이스를 생산합니다. 입자를 뭉치게 하는 소결 방식이므로 비결정영역은 필연적으로 생기게 됩니다. 그러므로 왁스가 베이스에 들어가는 과정에는 베이스에 비결정영역이 존재해야 합니다. 결정구조에는 들어갈 틈이 없는거죠. 틈을 노려야하죠. 이 틈은 고급 베이스일수록 작습니다. 그러므로 위 사진의 도식처럼 베이스 비결정영역의 크기와 왁스의 마이크로크리스탈린 결정체의 수량과 크기의 상관관계가 핫왁싱 품질을 좌우합니다. 매크로크리스탈린 파라핀은 베이스 바깥에서 팔만 내밀고 있고 내부로 들어간 마이크로크리스탈린 동생이 잡아주고 있는 거죠마찰력이 적고 발수력이 높은 고급진 왁스인 Fluorocarbon wax도 마찬가지로 적용됩니다.

핫왁싱의 세계도 깊게 들어가면 또다른 세계가 존재합니다.

베이스내 밀도(saturation)를 높여주는 왁싱과 여러 왁스를 혼용해서 1 layer로 왁싱하는법과

각각의 왁스로 층을 만드는 다층왁싱 3 layer , 5 layer 왁싱법도 존재 합니다.


9-production-base.jpg


 간단한 팁으로 :핫왁싱을 한 후 식히는 시간을 천천히 길게 가져야 합니다.

고급 데크일수록 다리미가 지나간 후의 베이스 온도를 60도 이상 올라가게 하지 마세요. 

저는 온도측정용 레이저총으로 측정을 합니다.

여담으로 검은 베이스는 카본이라는 첨가소재가 들어간 것이라 검은 것이죠.

투명 반투명 불투명 상관없이 베이스 소재의 급수는 제조사가 맞출 수 있습니다.

 

그럼 여러분들이 구매한 데크의 베이스 재료에 대한 정보입니다.

 

10-base-level.jpg


 

현재 제가 사용하는 베이스 왁스용 왁스입니다.

 

20151121_190122.jpg


마플러스, 갈륨 , 홀멘콜, 스윅스 왁스의 베이스 왁스입니다

베이스 왁스는 저렴한 가격으로 뿌리를 만들고 그것에 레이어 왁싱을 아는 사람들이 사용하거나 나는 그냥 하이드로카본 왁스로 만족하겠다는 사용자들에게 유용한 왁스입니다.

 

나는 최고급 데크라서 베이스 왁스부터 제일 좋은걸 쓰겠다는 생각이 든다면

처음부터 최고급 활주용 왁스를 사용하기 바랍니다. 최고급 왁스에는 불소카본의 마이크로 크리스탈린과 더불어 좋은 구성분(granula)이 있으므로 처음부터 최고급 불소 왁스와 정전하 유도를 줄이기 위해 고불소 그라파이트 왁스를 사용하는게 좋은 방법입니다.


11-iron.jpg

BASE PREP-WAXING은 단순한 방법으로는 베이스의 비결정부분을 왁스로 채워넣는다 라고 쉽게 생각하면 됩니다.

채워넣고 베이스 위까지 왁스가 덮여져 있으면 코팅한 책커버 처럼 한꺼풀 보호하는 용도도 되는거죠.

수준을 올린다면, 내가 앞으로 어떤 라이딩을 할 것인가에 따라 채워 넣는 왁스도 선택해야합니다.

-------------------------------------------------------------------------------------------------------------------------

 

최대한 간단하게 겉핡기식으로 쓴 제 글을 정독한 보더 여러분들에겐 베이스 길들이기 왁스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겠죠.   4년전쯤 어떤 왁스를 사용했냐에 따라 바뀌는거지 베이스를 길들일 수는 없다 라고 주장하는 저와 달리 길들이기 왁싱이 가능하다 베이스가 길들여진다고 주장했던 주류들이 이제는 용어만 그런거고 베이스 왁스에 활주왁스 결합용이라고 말을 합니다만 제 3자 입회하에 베이스 왁스와 활주왁스 결합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지 이야기 한번 나누고 싶네요.   레이어를 만들줄 안다면 정확한 정보 없이 레이어를 만들지 말고 왁스간의 궁합을 왁스제조사에 물어보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다면 같은 회사 제품이나 회사가 다르면 홀멘콜, 갈륨간의 궁합을 추천 합니다. base preparation wax 는 횟수와 왁스의 품질 두 가지가 중요합니다저급한 왁스로 정성만 들인다고 되는 것도 아니고 혹자는 10번이상 해야 된다 라는 말도 하는데  물론 다다익선이지만 회수의 증대에따라 급격하게 효과가 떨어지는거라 시간이 아깝다고 느껴지네요. 그리고 현재 내 베이스에 굳어진 왁스에 다리미질만 해도 된다 라는 말도 있는데 물론 해도 됩니다. 무생물인 폴리에틸렌 플라스틱이 비명을 지르진 않죠. 그러나 이미 공기포화가 된 왁스와  공기중 존재하는 미세먼지들이 들어간 상태로 굳어진 왁스인데 다시 녹여서 베이스 비결정부분에 들이밀 만큼 내가 가난한가 를 생각해보시기 바랍니다.

 

다시 한번 강조하는 팁 : 고가의 데크의 경우 다리미가 지나간 직후(0.1-0.2) 베이스 온도 60도를 넘기지 말어라. 핫왁싱후 아주 느리게 식혀라. 가장 좋은 것은 60도 정도의 온도에서 12시간 정도 균일한 후열을 주고 식혀라.

 

다음번에 스크래핑과 브러시질 그리고 도식만 봐도 이해가 되는 엣지튠의 엣지각에 대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79
497 해외원정 뉴질랜드 원정 및 관광 후기(캠퍼밴이용) 1편 file [19] 크래지레인 2015-10-23 13 7242
496 해외원정 뉴질랜드 원정 및 관광 후기(캠퍼밴이용) 2편 file [13] 크래지레인 2015-10-24 12 4490
495 절약법 왁싱에 쓸만한 저렴하고 성능 좋은 다리미 file [18] 심장이통통 2015-10-24 7 7628
494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1. 중심축 이론 file [42] Lunatrix 2015-10-25 105 33266
493 기술(테크닉) 간단한 '토션'의 원리와 사용법 [22] Jake! 2015-10-26 21 9877
492 기타 누구나 스티커 제작할수 있다! (스압주의) file [25] Retro아톰 2015-10-29 15 11843
491 장비 튜닝 [삼촌1호 왁싱상식] -길들이기왁싱의 효과 [13] 삼촌1호 2015-10-31 10 7741
490 일반 집에서 보드복 줄여봤습니다~ file [15] chobo88 2015-11-02 3 4791
489 일반 [삼촌1호 슬로프경사]1516 주요스키장슬로프... file [25] 삼촌1호 2015-11-04 14 9812
488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2. 로테이션 [54] Lunatrix 2015-11-10 107 23648
487 일반 숏카빙과 숏슬라이딩의 차이점 [8] 카빙을합시댜 2015-11-11 2 8281
486 장비 튜닝 저비용 왁싱 방법 [6] 가루군 2015-11-12 9 5880
485 기타 기능성 보드복의 세탁에 관한 고찰 [28] 팬텀라이더 2015-11-12 15 6421
484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의 이해 file [15] ┓푸른바다┏ 2015-11-15 30 15202
483 장비 튜닝 장비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정보. 왁싱 1편 file [9] 스팬서 2015-11-16 21 8734
482 초보를 위한 강좌 상판 보호필름 - 집에서 저렴하게!! file [26] 조로아찌 2015-11-19 19 11125
481 장비 관련 매우 개인적이고 이론적인 붓아웃 계산법 file [3] B.Boong 2015-11-20 9 5960
» 장비 튜닝 장비유지관리를 위한 기본정보. 왁싱 2편 file [21] 스팬서 2015-11-21 16 8190
479 일반 보드를 위한 운동법 하나 [1] TKLee 2015-11-25 5 4296
478 기타 국내 여행지 50선 신상만타 2015-11-25   34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