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에 잘맞는 부츠를 사신분은 이전의 칼럼이나 강좌를 참조하시면 좋겠습니다
이하는 그냥 편하게 생각나는대로 적어보겠습니다,,


작년에 센터링을 위해 불철주야 검색 신공을 하다가
결국 부츠중심이 어딘지 내눈엔 비슷비슷해보여 사용한 방법입니다.

검색결과 확실히 알수있었던 정보
- 센터링이 빗나가면 쏠린쪽의 엣지가 잘박힌다. 반대쪽은 잘 안박힌다 (같은힘일때)

집에서..
(데크에 바인딩이 결합된 상태)

1. 일부러 가장 앞(스탠스의 개념이 아님, 노즈를 바라보고 오른쪽)으로 바인딩 결합
   부츠신고 바인딩 채운다 (부츠 화장실에서 바닥 닦아야 했음 OTL)
   토엣지 힐엣지 해본다
   가장 뒤로 센터링 해본다
   토엣지 힐엣지 해본다

  - 쏠린쪽의 엣지로는 쉽게 넘어가지만 반대쪽은 박자가 늦고 힘이 더들거나 몸을 더 기울여야했음
    감을 충분히 느껴보자!
    (토우쪽으로 밀착시킨경우 힐엣지 할 때
    롤러스케이트 뒷꿈치브레이크 달린거마냥 뒤가 긴 걸 느낄수있다)
  
2. 바인딩을 조정후 (센터가 맞는다고 생각하는 위치에) 부츠만 끼워 넣는다
  - 부츠의 중심부가 데크의 중앙라인을 지나는지 본다
  - 데크 뒤집고 부츠 앞과 뒤 나온정도가 같은지 본다
  
3. 부츠 신고 바인딩 채운후 토엣지 힐엣지 해본다
- (1)에서 감을 충분히 잡았다면 여기서 미묘한 차이를 잡을 수 있음

4. 힐엣지 토엣지 모두 균등한것 같다 --> 바인딩 조립 칼럼 감사해요 (이 칼럼 제외)
   미묘하게 한쪽 엣지가 잘되는 것 같다 --> a번으로..

   부츠중심이 정확히 맞게 올려졌는데 왜!@쀍?!! 엣지감이 다르지?
   만일 다이어트 중이라면..
   필자처럼 여기서 엄청난 부츠 신고 벗기, 바인딩 위치 조절하기를 반복하면 된다
  


   결국 눈으로 보기에 부츠 코가 데크밖으로 더 삐져나오고 뒷꿈치가 덜 삐져나온 상태가
   맞는 센터링이 되었는데
  
   이유는...
   1. 발모양, 이월 사이즈 자금사정 등에 의하여 사이즈가 맞지 않는 부츠인 경우
   2. 이너부츠, 부츠벽 두께 등의 영향으로 그럴수도 있을까?;;;;

   필자는 1 의 경우로 (2에 대한 책임회피)
   부츠를 데크 가운데 올려도 실제 발은 부츠 앞이 비어있는 상태였기 때문이었음

 --------------------;----------------------   발가락쪽
 -----------------------;-------------------------  밑창, 부츠 코
                                 ; = 발의 중심, 부츠 중심

    부츠가 발에 잘 맞는다면 부츠 외형만보고도 센터링이 가능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엔 위의 그림처럼 발에 센터링을 맞춰야 한다
    (혹시라도 완전 큰 사이즈를 샀다면 엣지보다 먼저 부츠가 닿으니 낭패)

  그렇다면 발의 중심은 어디인가?

  a. 발바닥 아치모양의 중간이라 생각하심 됩니다. 복숭아 뼈보다는 앞쪽
     1. 방바닥에 선다
     2. 한발로 선다
     3. 토엣지 힐엣지하듯이 살짝살짝 넘겨본다
     4. 시소의 중앙처럼 기점이 되는 부위를 확인
     5. 문제의 부츠를 신는다 (보드 탄다 생각하고 최대한 피팅)
     6. 4에서 확인한 부분이 부츠의 어디인지 확인 (필자는 부츠 바닥 아치에서 뒷꿈치 쪽이었음)
     7. 부츠신고 서서 3 을 해보고 6에서 확인한 포인트가 맞는지 재확인  
     8. 6에서 확인한 포인트가 데크의 중앙에 오도록 바인딩을 셋팅
     9. 부츠 한쪽이 삐져나온 모양이 마음아프지만 힐엣지 토엣지가 균등한 감으로 이루어진다
         꼭 평지에서 엣지를.. (방바닥이 평지가 아닌분들을 위한 배려)
    10. 즐겁게 보딩하면서 새부츠에대한 욕망을 억누른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2
3297 기술(테크닉) 카빙턴? 왜 할까? [54] grindays 2008-12-11 101 18684
3296 일반 라이딩은 무엇일까요? 과연 어떤 라이딩이 ... [38] 로그너 2009-06-01 101 7324
3295 초보를 위한 강좌 고작 스노보드 17년차가 초보 스노보더에게 ... [43] 바람켄타 2015-12-08 101 12629
3294 일반 5년차 주말보더의 즐거운 스노우보드 [67] A.K.A.xoon 2008-09-29 101 7912
3293 기술(테크닉) 지빙 (프론트 , 백 , 보드 슬라이드 , 립 슬... [21] 레메 2009-06-11 101 11335
3292 보드장에서의 절약법 ************* 이벤트 시작 *************** 소장백 2002-09-23 100 2252
3291 기술(테크닉) 하프파이프에대한 고찰~~~(하프파이프 버티... [8] volcomsnow 2007-01-22 99 4416
3290 기술(테크닉) 깡이냐 이론이냐!! [26] volcomsnow 2009-05-04 99 7443
3289 기술(테크닉) 퓨전을 말하자.. [84] 1093 2009-02-15 99 7315
3288 해외원정 휘슬러 보드장 즐기기 #2 (라이딩) [7] backy 2008-01-22 99 5776
3287 기술(테크닉) 턴 카빙 쉽게 다가 가기 ㅡㅡ [10] 상계동 랩퍼 2006-11-26 98 10404
3286 CASI ★공식 보드 입문 동영상 강좌(초보자에서 상... [9] 봄이아빠 2005-09-13 98 9337
3285 장비 구입 고글을 질러보자~! [19] 2009-09-18 98 12115
3284 일반 밑에 아스마님글(일러스트...)에대한 첨부 [6] One fine day 2002-04-11 97 2128
3283 기타 정말 모르는데 지르신분들을 위해 사진촬영 ... [24] 사진밥먹고 ... 2009-02-11 97 7013
» 초보를 위한 강좌 당신의 센터링은 안녕하십니까? [9] 3˚엣지 2008-02-17 97 9924
3281 장비 관련 부츠 - 아직도 발 아픈 부츠를 억지로 신으... [64] 로그너 2008-02-29 97 14907
3280 장비 튜닝 숀화이트 트레이스 헬멧 사포질할때 tip [4] 어화둥둥 2008-10-20 97 6555
3279 기타 시즌방을 하고 싶다면 한번쯤 읽어보시면 좋... [15] 2008-09-29 96 7604
3278 기술(테크닉) 턴에 대한 이해 - 1. 충돌하는 턴 file [71] Lunatrix 2015-02-10 96 249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