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밑에 제가 단 댓글이 그냥 글로써는 설명하기가 미흡한 거 같아서,

이렇게 영상과 그림을 포함해서 알기 쉽게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1. 스피드 카빙



JSBA 데몬인 미키코지 의 프리라이드 동영상입니다. 출처는 소울카버님 블로그입니다.


거의 모든 카버들이 시작하는 카빙방식이고, 거의 모든 프리스타일/프리라이드 보드를 쓰는 카버들이 쓰는 방식입니다.
잘 보시면 완전한 반원을 그리는 일이 별로 없습니다.
"턴을 잘라 활강을 한다" 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보드는 슬로프를 기준으로 그렇게 많이 세워져 있지 않으며,
동영상의 2초내에 잘 보시면 부츠의 끝이 보드의 에지를 넘는 현상-붓아웃(boot out)-을 보실 수 있습니다.
스피드 카빙은 보드를 슬로프에 그렇게 많이 세우지 않으므로 붓아웃이 어느 정도 있어도 별로 상관이 없습니다.


그리고 미키코지는 크로스 언더 기술을 통해서 보드의 베이스가 눈과 닿는 시간을 최대한 줄여,
보드에 축적되는 에너지를 최소화해서 속력을 조절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크로스언더 동영상.
스노우보드의 베이스가 슬로프에 닿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에너지의 증가를 줄여 속도를 조절합니다.
또한 스노우보드에 축적된 에너지를 엣지의 압력으로 변환하고 또한 보드의 비틀어짐과 약간의 점프를 통해 소비됩니다.

가장 간단한 연습방법은, 초보슬로프에서 카빙시 엣지 체인지때 점프 (에어투카브)를 하는 것입니다.
카빙을 하는데도 속력이 점점 줄어드는 것을 느끼실 수 있을 겁니다.




2. G-포스 카빙



2005년 익스트림카빙 동영상중 하나인 "Lifted"의 한 부분입니다. 라이더는 패트리스 피바/쟈크 리예.
보시면 턴의 중간 (즉, 카빙이 그리는 반원의 중간사이) 에 턴이 급격해집니다.
이것은 보드에 축적된 에너지가 속도가 아니라 보드를 구부리는데 쓰여서, 이런 급격한 턴이 가능한 것입니다.
실제로 패트리스와 쟈크의 카빙을 본 사람들은 의외로 속력이 느리게 보인다는 것에 의아해합니다.



간단히 말해서 G-포스 카빙은 턴시 보드를 최대한 많이 세우는 것 (85도까지)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보드에 축적된 에너지가 원심력으로 보드의 캠버반대 방향으로 쏠리고,
그 결과 에너지가 보드를 구부리는 데에 쓰여 타이트한 턴이 가능하고 남는 에너지는 라이더에게로 가서 턴의 중간때 압력을 느끼게 되는 겁니다.

이런 이유때문에 이런 알파인 보드의 설계에는 보드의 엣지 그립력을 아주 중요시하며,
잘 정설된 슬로프에서만 이 기술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장점은, 연속적으로 카빙턴을 해도 속력이 잘 안붙는 다는 것에 있습니다.

제가 실제로 본 바에 따르면 고수급이 되면 강설인 상급자 코스에서 아주 좁고 타이트한 턴들을, 다른사람이 한두번할 때 약 3번 정도 턴을 할 수도 있습니다.

빠른 엣지 전환, 타이트한 턴, G-포스의 압력으로 인해서 G-포스 카빙을 할 때의 느낌은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과 같습니다.





2008년 스위스 지날에서 찍은 익스트림 카빙 동영상. 라이더는 핀란드의 Antti (Antti Autti 아닙니다)
잘 보시면 턴마다 보드를 세우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 라이더는 또한 크로스 스루 기술울 구사합니다.


거의 모든 알파인 카버들이 쓰는 방식이고, 카텍 프리라이드 바인딩과 알파인 프리라이드 보드를 이용한 소프트 부츠 카빙으로도 구현이 가능합니다. 일반 프리라이딩/프리스타일 보드로는 설질이 최상급이지 않는 이상 힘듭니다 (에지가 슬로프에 잘 안 달라붙고, 보드의 구부러짐을 눈이 받쳐 주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무었보다, 대부분의 프리스타일/프리라이드의 보드의 회전반경은 10이하이고, 이것은 이상적인 G-포스카빙을 위한 회전반경이 아닙니다.




위의 카빙곡선들을 잘 보시면 턴이 상당히 타이트한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보드에 생성된 압력으로 인해 눈이 위쪽으로 흩뿌려지는 현상이 G-포스 카빙의 한 특징입니다.





G-포스 카빙 사진: 보드가 많이 세워진 걸 보실 수 있습니다.
또한 토엣지를 잘 보시면 붓아웃이 거의 없다는 것도 아실 수 있습니다.




G-포스 카빙 사진: 보드가 많이 구부러진 걸 보실 수 있습니다.



힐사이드 턴시 토그랩: 힐사이드 G-포스 턴을 연마하기 위한 좋은 연습방법입니다.



G-포스 카빙을 위해서는 보드를 아주 많이 세워야 하며, 그것을 위해서는 부츠가 보드의 엣지바깥으로
나가지 않도록 셋업합니다. 붓아웃 현상으로 부츠가 엣지 바깥으로 삐죽 나왔을 때에는 카빙시 부츠가 슬로프에 질질 끌릴 수 있으니까요.
그러므로 G-포스카빙 셋업시에는 뒷발은 붓아웃이 안되는 각도를 기준으로 정하고, 앞발은 일반적으로 0~10도 더 높게 잡아 줍니다.
G-포스 카빙에서는 이것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저의 셋업:
알파인 익스트림카빙- 53/48 (붓아웃이 없는 뒷발의 각도 a, 앞발은 a+5도)
알파인 프리라이드 카빙- 50/45
알파인 소프트부츠 카빙-  53/48, 뒷발 칸트2/리프트2 (카텍 프리라이드 이용)
프리라이드 보드 카빙- 30/21



소프트 부츠 카빙 사진 추가 (12월 20일) 입니다.


출처는 Bomberonline.com 입니다.






라이더는 그리스의 알렉시스 앙겔리데스, 보드 길이 176, 바인딩은 Catek FR2 Limited, 각도는 47/44, 부츠는 버튼 앤디 워홀 부츠.
보드는 이 분이 만드는 G-Force 레이저 (http://www.gforcecarving.com/razor.html)
스펙 (08/09):
길이   유효에지   사이드컷   허리너비
164     141          9.1m          250mm
170     147          9.9m          255mm



이분의 바인딩이고, 소프트 부츠 카빙에 가장 이상적이라고 평가받는 카텍 프리라이드의 08/09 모델 EVO,
그런데 08/09 EVO는 스펙은 작년 최상급 Limited 모델보다 줄었으면서 (두툼한 니데커 스트랩/카본 하이백 없음) 가격은 작년 톱모델보다 70불 늘었다는... -_-ㅋ






라이더는 켄 델로시.





미국 출신 보드 제작자 (www.madd1.com) 존 길모어. 특이하게 힐턴에서 거의 완전히 누운 것처럼 보입니다.
뒷발의 각도를 보면 전경각인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분은 나이가 듬에 따라 알파인 부츠 카빙으로는 무릎에 무리가 많이 가 소프트 부츠 카빙을 자주 한다고 합니다.





보머 유저인 B-2의 상급자 슬로프 카빙. 스타일은 스피드 카빙으로 푸쉬풀턴 (턴의 중간에 보드밀기, 엣지 체인지때 보드당기기) 기술을 쓰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도움이 되었기를..^^;;

이만  꾸벅~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68
3217 기술(테크닉) 트릭시에 프레스를 주는 방법 (데크를 휘... [30] volcomsnow 2010-10-01 19 12319
3216 장비 튜닝 왁싱의 위험! [14] 바람켄타 2014-11-21 9 12274
3215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2(데크, 바인딩, ... [24] 소리조각 2011-01-06 4 12244
3214 해외-장비구입 구매대행 혹은 배송대행 15만원 맞춰 관세 ... [11] 삐헝 2009-10-17 55 12219
3213 장비 튜닝 못쓰는 휴대폰밧데리 재활용~ file [10] a소소a 2012-01-17 1 12209
3212 장비 관련 고글에 습기차는 이유중 하나 [19] 09and072 2009-02-09 78 12205
3211 장비 관련 시즌권 케이스를 만들어 보자 file [27] 제이콥투투 2009-09-16 58 12204
3210 기타 제설기 만들기... file [11] 마징가 2009-12-27 43 12155
3209 일반 캐리어 없어도 .. 5명.. 장비5개 싫을수 있... [65] 킹왕짱 2008-09-30 56 12152
3208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턴의 종류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26] 스노보드 2005-11-02 21 12148
3207 장비 관련 스탠스 조정과 바인딩 각도 조절 [20] 까앙 2005-09-22 28 12135
3206 장비 구입 고글을 질러보자~! [19] 2009-09-18 98 12116
3205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7
3204 헝그리 캠페인 차는 뭐 타고 다니십니까? [184] 헝그리보더 2007-09-28 50 12011
» 기술(테크닉) 스피드 카빙과 G-포스 카빙의 차이점을 간략... [24] leeho730 2008-12-15 73 11966
3202 초보를 위한 강좌 힐턴이 안되는 그대에게 [8] 메딕111 2017-11-28 21 11950
3201 기술(테크닉) 업다운과 프레셔 컨트롤 1 (부제: 업다운... [22] Lunatrix 2006-09-03 27 11921
3200 장비 관련 엣지 녹 제거 및 녹방지 [14] 아스카 2006-06-02 25 11920
3199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2008-11-21 52 11917
3198 기술(테크닉) 턴의 개념. [30] 날아라가스~!! 2009-03-11 108 1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