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크를 휘는 방법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아서 적어봅니다.



데크를 휘는 방법은

보통 흔히들 착각을 많이 하시는 부분이

앞발을 들어서 데크를 휠려고 하시는 분들이 많으신데요



일단 노즈를 슬로프에서 떨어트려서 앞발을 들어올린다는 개념보다

체중을 뒤로 해서 앞발의 바인딩에 달려있는 데크가 딸려올라온다는 느낌으로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사실 앞발이 떨어지는것보다 더욱 중요한건

뒷발이 떨어지는것입니다.

처음엔 뒷발이 떨어지는것에 대해서 무섭거나 불가능하게 느껴집니다.

즉 내 몸전체가 보드에 의지해서 슬로프에서 떨어져서 들려져야한다는것입니다.


자세는 일단 처음에

뒷발은 살짝 구부려 주시고 앞발은 쭉 뻣어줍니다.  (에어자세로 치면 노즈본 자세같은 모양이죠)

데크가 소프트하고 바인딩 스탠스 길이에 따라서 이런자세만 취해도 데크가 휘기도 합니다.

역켐버 데크도 요자세로 살짝 들어줘도 휘겠군요.

지빙시엔 요자세만으로도 프레스라고 하기도 하죠

데크를 슬로프에 전부 붙인 상태에서 뒷발에 체중을 거의 전부 실어 줍니다.

뒷다리에 압박이 시작됩니다. 이떄 뒷다리는 슬로프와 거의 수직이 됩니다.

하지만 요 자세로만으로는 데크가 휘지 않습니다.

지금 이자세는 데크를 휘기 위한 준비 자세입니다.


이 자세에서 체중을 더욱 뒤로 이동 시켜주면서 상체는 살짝 앞으로 향해 줍니다.

왜냐면 체중만 뒤로 이동시키면 균형잡기가 굉장히 어려워 지기 떄문이죠


이떄 중요한것은

뒷발 바인딩이 살짝 떨어질떄까지 체중을 이동시켜줘야합니다.

뒷발 바인딩이 너무 많이 떨어질떄까지 체중을 이동시켜준다면 뒤로 발라당 넘어질수도 있습니다.

뒷발에 체중을 싣고 체중을 뒤로 이동하되 뒷발로 서서 보드를 휘는게 아닌 테일로 서서 보드를 휘는 개념입니다.

체중을 뒤로 이동하면 보드가 휘면서 양발이 다 떨어지면서 몸도 살짝 위로 상승하게 되죠

처음엔 좀 생소하게 느껴집니다

요것이 포인트 인데요



체중이동을 적당히 이동해서 균형이 잡힐만큼의 양을 연습해야합니다.

뒷발 바인딩이 맥시멈까지 떨어트린 상태로 균형까지 잡을수 있을만큼 연습해야합니다.

처음엔 뒷발이 1센티 정도만 떨어지게 연습합니다.

그러다 2센티 3센티 맥시멈까지 연습해보시면 좋겠네요


뒷발 바인딩이 떨어지지 않고 앞발 바인딩만 떨어진 상태로 휜다면 제대로 프레스가 들어간 상태가 아닙니다.

뒷다리 각도는 뒤로 30도 정도 기울어집니다.

물론 뒷발 바인딩어 많이 떨어진다면 뒷발 기울기는 더욱 많이 기울겠네요



하드한데크는 뒷발이 상대적으로 좀더 많이 떨어져야 데크가 휜다는느낌이 나고요

소프트한 데크는 뒷발이 상대적으로 적게 떨어지면서 데크가 휩니다.


이런 부분떄문에 하드한 데크는 휘기 어렵다고 하시는데요

방법만 알면 어떤 데크던 프레스를 줄수 있습니다.

중요한건 데크를 휘기 어려운것보다

적당한 체중이동하기가 하드한데크같은 경우엔 그 폭이 소프트한 데크보다 적습니다.


즉 하드한 데크는 체중이동을 적게해주면 뒷발이 잘 안떨어져서 프레스가 안되고

체중이동을 많이 해주면 뒤로 넘어질 경우가 좀더 많이 생긴다는것이죠




요 상태로 1분간 유지하기를 연습합니다.

한번에 잘 되지 않습니다.

여러번 연습으로 적정한 체중이동의 힘을 알게 될떄까지 합니다.


이제 슬로프를 내려가면서 연습해봅니다.

슬로프는 경사면이기 떄문에

평지에서 연습했던것보다 뒤로 체중이동을 조금 덜 해줘도 데크가 휜다는걸 생각하시고요

대신 내려가면서 자세를 유지해야하기 때문에

중심잡기가 어렵습니다.

요 자세를 유지하면서 내려가기를 연습합니다

그러면 요것이 윌리가 됩니다.

처음엔 10센치 그담 1미터 그담 5미터 요런식으로 연습합니다.







프레스 상태로 유지하다가 테일쪽 방향으로 뒷발을 차주시면서 살짝 뒤로 이동한다는 느낌으로 뒷발을 차주시면


이것을 연속동작으로 빠르게 해주시면 알리가 됩니다.











ps. 반대로 하면 널리가...될거 같죠..??

그럴까요... ?    다음편을 기대해주세요..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72
» 기술(테크닉) 트릭시에 프레스를 주는 방법 (데크를 휘... [30] volcomsnow 2010-10-01 19 12321
3216 장비 튜닝 왁싱의 위험! [14] 바람켄타 2014-11-21 9 12274
3215 장비 구입 첫 장비구입을 위한 TIP #2(데크, 바인딩, ... [24] 소리조각 2011-01-06 4 12246
3214 해외-장비구입 구매대행 혹은 배송대행 15만원 맞춰 관세 ... [11] 삐헝 2009-10-17 55 12221
3213 장비 튜닝 못쓰는 휴대폰밧데리 재활용~ file [10] a소소a 2012-01-17 1 12209
3212 장비 관련 고글에 습기차는 이유중 하나 [19] 09and072 2009-02-09 78 12207
3211 장비 관련 시즌권 케이스를 만들어 보자 file [27] 제이콥투투 2009-09-16 58 12205
3210 기타 제설기 만들기... file [11] 마징가 2009-12-27 43 12157
3209 일반 캐리어 없어도 .. 5명.. 장비5개 싫을수 있... [65] 킹왕짱 2008-09-30 56 12153
3208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보드 턴의 종류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26] 스노보드 2005-11-02 21 12148
3207 장비 관련 스탠스 조정과 바인딩 각도 조절 [20] 까앙 2005-09-22 28 12135
3206 장비 구입 고글을 질러보자~! [19] 2009-09-18 98 12118
3205 초보를 위한 강좌 나도 턴을 하고 싶다. [28] 아드리아주 2009-11-29 61 12089
3204 헝그리 캠페인 차는 뭐 타고 다니십니까? [184] 헝그리보더 2007-09-28 50 12011
3203 기술(테크닉) 스피드 카빙과 G-포스 카빙의 차이점을 간략... [24] leeho730 2008-12-15 73 11966
3202 초보를 위한 강좌 힐턴이 안되는 그대에게 [8] 메딕111 2017-11-28 21 11952
3201 기술(테크닉) 업다운과 프레셔 컨트롤 1 (부제: 업다운... [22] Lunatrix 2006-09-03 27 11921
3200 장비 관련 엣지 녹 제거 및 녹방지 [14] 아스카 2006-06-02 25 11920
3199 헝그리 캠페인 왕초보 강습생들의 커다란 착각 [95] Gatsby 2008-11-21 52 11917
3198 기술(테크닉) 턴의 개념. [30] 날아라가스~!! 2009-03-11 108 119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