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테크니컬라이딩에서의 베이직 카빙(Basic Carving)


 테크니컬 라이딩을 하면서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적어보겠습니다!!!

 가장 먼저 시도하게 되는 베이직카빙(Basic Carving) 입니다. 
기본적인 이미지는 뉴트럴포지션(Neutral Position)→노즈드랍(Nose Drop)→엣지체인지(Edge Change)→뉴트럴포지션 입니다.
엣지체인지는 2가지입니다 
토우(Toe side)→힐(Heel side), 힐 →토
그래서 위의 순서대로 반복하시면서 노즈드랍후 뉴트럴포지션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때 노즈드랍시에는 엣지가 바뀔때까지 기다리고 엣지가 바뀌면 뉴트럴포지션으로 가져가는게 중요합니다. 여기서 또, 중요한 사항은 노즈드랍시에 중심을 노즈방향으로 보냈다가 뉴트럴포지션으로 다시 꼭!!! 돌아와야합니다.
뉴트럴포지션은 말 그대로 중립자세 즉 턴의 시작이자 끝입니다. 이런 큰 이미지를 생각해 보시고 연습해보세요!!!


Neutral_Position.png

뉴트럴 포지션


2. 테크니컬라이딩에서의 오픈포지션


 테크니컬 라이딩에서 오픈 포지션(Open Position)을 사용합니다. 오픈 포지션은 상체 즉, 어깨를 데크와 수직으로 유지하고 골반을 가볍게 앞으로 틀어주는 자세를 말합니다(뉴트럴 포지션 참고). 근데 왜 이런자세를 취하게 될까요?
제가 생각하는 오픈포지션은 몸의 움직임과 데크의 움직임을 같이 가져가기 위함입니다. 오픈을 하게되면 내가 전후,  좌우, 상하의 3가지 움직임을 가져가게 되면 데크도 내 몸이 움직이는 같은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가지게 됩니다. 좀 더 빠른 반응성을 가질 수 있겠지요???


3. 테크니컬라이딩에서 힐턴이 어려운 이유


 테크니컬 라이딩에서 힐턴(Heel Turn)이 어려운 이유는 스노우보드가 비대칭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힐턴시에 엉덩이가 밖으로 빠져나오는 자세가 나오게 되는데 이렇게 엉덩이가 빠져나온 상태에서 낮은 자세를 가져가기 위해 자세를 낮추게 되면 엉덩이가 밖으로 점점 나오게 되어 밸런스에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래서 이러한 것을 보완하는 방법은 뒷무릎을 데크안쪽으로 밀어넣어 엉덩이를 최대한 데크안쪽으로 위치하게 만들고 상체는 노즈방향으로 낮추어 밸런스를 보완해주면 된다!!!!


4. 급사에서 데크가 털리는 이유


 급사에서 카빙을 하다보면 턴진입 후에 데크가 탈탈 털리면서 턴이 무너지는 상황이 발생한다. 대부분의 라이더들이 급사에서 라이딩을 할때 한번씩은 경험했을 것이다.  이렇게 급사에서 데크가 털리는 이유는 내몸의 중심이 앞으로 쏠려있기 때문이다 중심이 앞으로 가 있으면 데크의 테일(Tail)이 가벼워져서 엣지(Edge)가 설면에 제대로 엣지컨택(Edge Contact)이 되지 않아 데크가 털리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현상을 없앨려면 엣지가 체인지된 이후에 빠르게 중심을 뒤로 가져와서 테일을 무겁게 만들어 주어야 한다. 물론 처음부터 턴 진행시에 중심을 앞으로 보내지 않고 진행을 하면 되지만, 이런 라이딩은 상급라이딩이기때문에 익히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결론은 엣지체인지(Edge Change)이후에 빠르게 중심을 뒷발쪽으로 가져와서 뉴트럴포지션(Neutral Position)을 유지하는게 중요하다!!!


테크니컬라이딩에 관한 짧은 생각들을 적어보았습니다. 라이딩 하시는데 도움이 되는 글 이었으면 좋겠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95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에 관한 짧은 생각 file [25]

기술(테크닉) 테크니컬라이딩의 이해(2017년 수정판) file [17]

초보를 위한 강좌 테크니컬라이딩 팁#1 바인딩 세팅 file [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