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즌에 데크에 대해 이것저것 찾아 보다가

데크 공법들에 대해 많이 알게 되었습니다.

초보분들이나 기존에 아시던 분들도 장비 구입시

고려사항이 되실듯 해서

제가 정리하면서 한번 끄적끄적 올려 봅니다. ^^;;

 

 

스노우 보드는 여러 가지 공법 또는 소재가 들어 가게 되는데요

핸드메이드 데크인 Contract 에 대해 알아 가다 보니

저희두 모르는 부분이 많아서 이참에 정리를 해 보았습니다.

스노우보드 장비 업글 하시구 실력이 늘으시다 보면 어느정도 아시게 될 내용이긴 하지만

먼저 알아 놓으면 좋지 않을가 해서 올립니다. ^^

 

위에 있는 마크 들은 Contract Snowboard 홈페이지에서 캡쳐 한것이며

브랜드 별로 마크가 다를수 잇습니다.

 

1. Triax - triple fiber

 Triax-tripel fiber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라이딩시 힘전달 및 탄성을 좋게 하여

 라이딩시 엣지 변화에 빠른 반응을 보일수 있는 공법입니다.


2. X-Reactive flex System

X 형의 카본과 Kevlar 라는 고강력 섬유를 사용하여 라이딩시 떨림 방지 및 엣지 그립감을 향상 시켰으며,

 라이딩시 빠른 반응 및 팝핑시 부드러운 느낌을 전달할수 있습니다.

브랜드별 데크에 따라 X 형일수도 있고 11자형 또는 11+X 형태의 카본이 들어간 제품이 나오기도 합니다.


3. WoodCore (우드코어)

WoodCore(나무)를 사용하여 내구성 및 무게 감소, 라이딩시 떨림을 최소화 합니다.

우드코어일 경우는 적정한계체중을 꼭 고려해서 데크를 구입하셔야 해요

적정체중을 초과한 몸무게이실 경우 데크 뿌러 집니다. ^^;;;

 

4. Extruded Base (익스트루드 베이스)

일반적인 보드에 많이 쓰이는 베이스 공법으로 보통의 데크들에 쓰이는 공법입니다.

특징으로는 왁싱시 신터드 베이스에 비해 왁스가 적게 들며

자주 왁싱을 안해도 어느정도의 속도감이 나오는 베이스 입니다.

단, 왁싱을 한상태의 베이스로는 신터드 베이스가 속도감이 좀더 우월합니다.

 

5. Sintered Base (신터드 베이스)

라이딩시 속도 향상을 하기 위한 베이스 공법으로 일반적으로 베이스 면에 물길을 내준 베이스입니다.
일반적으로 관리가 Extruded Base 에 비해 많이 들어 가며 내구성이 좀더 좋은 Base 공법 입니다.

위에 말한거와 같이 신터드 베이스가 왁스를 더 많이 먹는 편이며, 왁싱시의 스피트감은 익스투르드 베이스에 비에 우월합니다.


6. Trip Technology (트립 공법)

Trip Technology 공법은 보드의 tip과 tail이 만나는 사이드컷 부분의 엣지를 끌어 올려

장애물 진입시 좋은 진입 각도와 안전한 Landing 및 직선 주행시 안전하게 라이딩하도록 하는 공법으로 일반적인 데크보다는 파크나, 박스(장애물)를 넘나드는 데크에 많이 들어 가는 공법입니다. 보통의 박스 진입시 각을 조정하기 위해 엣지 각도를 깍는 경우가 많은데요. 이 공법이 들어간 데크는 일반적인 데크와의 엣지각과 차이가 있습니다.

 

7. Twin-Tip (트윈팁)

트윈팁 데크 입니다. 이는 앞과 뒤가 길이 및 너비등이 동일한 데크를 말하며 이와 반대로

진행방향이 좀더길고 후미(테일)이 좀더 넓은 데크들은 디렉셔널 데크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트윈팁 데크는 양발을 스위칭하며 라이딩과 그라운드트릭등을 하기 편한데크로 인식이 되어 있고

디렉셔널 데크는 초급용 데크 또는 라이딩용 프리스타일 데크로 인식이 되어 있는 편입니다.

8. Zero Camber - 보드 중앙 또는 사이드 부분이 제로캠버인 데크 입니다.


9. 3D Snake Transition (3D 스네이크 캠버)

 

이 공법은 Contract Snowboard 의 캠버 공법인데요

보드의 3 부분에 대해 복합적으로 들어간 캠버이며, 일반적인 W캠버가 2번 들어간 캠버로 보시면됩니다.

일반적으로 알고 계신 캠버가 정캠버, 작년부터 많이 알려진 역캠버(리버스캠버라고도 불립니다.),

또한 이번년도에 인기를 끈 W캠버등이 있구요

캠버의 종류가 다양해 지는 것은 트릭에 이점을 둔 부분이 많으나 요즘은 라이딩에도 중점을 많이 두어

라이딩 및 트릭에 고루 적합한 캠버라고 볼수 있습니다.

 

이번에 장비 Tip은 위의 사항들이구요

말이 좀 어려울수도 있을듯 합니다. ^^;;

영문을 보고 해석을 해서 쓴다는게 어렵더라구요 또한 제가 아는 지식들을

적절히 추가해서 넣었는데 맘에 드셧나요?

그리 좀 두서 없더라도 이해해 주시구요.

 

혹시 제가 설명 드린 부분에서 잘못된 부분이 있으면 댓글 달아 주세요 수정할게요~~ ^^

글 퍼가실때는 센스있게 출처좀 추가 부탁드려요 본문 스크랩도 감사감사 합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39
3237 장비 관련 스노보드 길이 선택 방법.. file [18] 달팽 2009-09-10 78 12841
3236 일반 전국 주요스키장 슬로프 경사도 비교표 file [15] 삼촌1호 2013-09-25 11 12837
3235 기술(테크닉) 올바른 라이딩 자세 도출을 위한 탐구 - 실... file [34] Lunatrix 2010-02-10 58 12834
3234 헝그리 캠페인 19일 휘팍의 모습(대략 남감) [97] 최인권 2006-11-20 15 12784
3233 기술(테크닉) 스탠스의 폭에 관하여. [15] Gatsby 2008-01-30 69 12724
3232 장비 튜닝 새로산 보드 엣지 튜닝 하는 법 -DETUNE [25] ***흰눈사이... 2006-09-30 27 12722
3231 장비 관련 부츠 뒷금치가 약간 뜨거나.. 발등을 꽉 못... [23] 가루군 2009-12-16 69 12710
3230 장비 관련 26,000원으로 만드는 도난걱정없는 캐리어 ^^ [29] H@RU 2011-03-15   12678
3229 장비 관련 스텐스를 아주 잘 정리한글.. [53] 은둔하수 2006-12-28 31 12659
3228 초보를 위한 강좌 고작 스노보드 17년차가 초보 스노보더에게 ... [43] 바람켄타 2015-12-08 101 12629
3227 기술(테크닉) 닥라 참가자 몇몇에 대한 평과 아쉬운점 [220] 비로거. 2014-01-10 162 12619
3226 일반 완전생초보녀에게 로테이션을 안가르쳐 보았... [74] 심훈Film 2016-10-11 64 12615
3225 기술(테크닉) 스티커 띠는법. 스티커 떼는법. [25] 딱딱한궁딩이 2006-10-14 25 12594
3224 해외원정 여름에 스노보드 즐기기...... [27] wave 2003-03-04 76 12576
3223 장비 관련 발에 통증없이 부츠 신는 방법 ... [20] 장어구이 2016-01-07 29 12532
3222 장비 구입 부러질 수 밖에 없는 데크, 버튼에서 a/s 받... [90] 스크래치 2010-12-01 3 12421
3221 장비 구입 배고픈 보더를 위한 왁싱 장비 구입(풀셋 19... [49] ☆고질라 마... 2009-03-21 126 12404
» 장비 관련 나름 정리한 스노우보드 데크 공법 file [4] 보더_901973 2011-01-31 1 12386
3219 기술(테크닉) 카빙의 숙제와 네츄럴포지션 [34] 천현민 2016-12-13 65 12362
3218 헝그리 캠페인 나는 보더인가 양아치인가 [113] 게쉬타포 2007-01-29 11 12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