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보 또는 이제 중수 수준에 진입하신 분들을 위해 쓰는 칼럼입니다.


초보라는 기준을 어디에 둘 까요?


이 글에서는 글의 진행을 위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겠습니다.(단순히 글의 진행을 위한 개인적인 기준입니다.)


초보 - 데크위에 몸 전체를 놓는 사람. 몸 전체로 엣지에 압력을 실으려고 노력하는 사람. 이렇게 해야만 라이딩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 몸에 힘이 들어가 몸이 한덩어리인 사람.


중수 - 초보 때 익힌것과 같이 데크위에만 몸을 두고 싶은 마음을 버리고 필요에 따라 데크 밖으로 몸을 가져 갈 수 있는 사람. 초보 때 익혔던 데크위의 안정감을 포기 하고 데크 밖으로 몸의 일 부를 가져가며 몸을 한덩어리가 아니라 부분 부분 나누어 데크를 컨트롤 하는 사람.


고수 - 중력, 관성, 원심력, 데크의 물리적 특성 등 외부의 힘에 순응하며 이를 이용하며 물흐르듯 라이딩 할 수 있는 사람.


요즘 초보분들 중 몸을 그저 설면에 가까이 무작정 가져 가시려 몸부림 치시는 분들을 슬롭에서 보게 됩니다. 가끔 아주 가까이

가져가시기도 하시지만 전체적으로 좋은 라이딩은 못하시더군요. 일단 연속적인 턴을 구사 못하시니까요.

그런 분들의 경우는 대부분 위에 정해한것과 같이 내가 익힌 라이딩 감각으로는 데크위에 몸을 두어야 안정적이다라는 감각을 가지고 계신 그 상태 그대로 골반을 접거나 팔을 설면 쪽으로 뻣거나 하다가 안되면 한번 인클레이션(몸의 기울기)을 과하게 주시려다 균형이 아예 무너지십니다.

처음 부터 고수들의 라이딩 자세를 흉내내려고 하지마시고 비기너카빙을 연습하세요.

몸의 자세는 크게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타는 비기너 카빙을 연습하면서 배우셔야 하는 것이 그저 날로 가는 구나가 아니라 몸의 중심을 어느 타이밍에 어떻게 넘길까 하는 부분에 촛점을 맞춰 보세요. 비기너 카빙으로 라인을 점점 감듯해 보세요.

비기너카빙에서 엣지 체인지를 길고 부드럽게 해보세요.

이를 충분히 연습하셔서 몸의 중심을 어느 타이밍에 어디로 가져갈 것인가? 중력, 원심력을 이용해 어떻게 써먹을지를 고민하며 라이딩해보세요. 중력, 원심력은 우리가 저항해야 할 힘이기도 하지만 이 부분을 이용해서 라이딩이 된다는 사실을 잊지마세요.


너무 숙제만 드리는 것 같아 비기너카빙에서 좀더 말리는 턴, 좀더 엣지가 서는 턴을 하는 부분에 대해 정답은 아니지만 그 비슷한 내용을 적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엣지체이지 과정에서 속도가 일정 부분 유지 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부드러운 엣지체인기가 이루어줘야 한다. 엣지체이지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는 토턴, 힐턴 모두 90도 돌고 이후 바로 엣지체이지를 시작한다고 마음먹고 엣지체인지를 시작해본다.


2. 엣지가 바뀌고 데크 노즈가 아래쪽으로 향하기 시작하면 속도가 빨라지기 시작한다. 이 때 몸의 중심을 데크에 실고 그냥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데크가 그리는 원의 약간 안쪽으로 기울인다.( 정확한 타이밍과 얼마나 기울일 것인가 하는 부분은 개인이 판단해야하고 시행착오를 통해 익혀나가야 하는 부분이겠죠.)


비기너카빙을 통해 어느 정도 감기는 라인을 그리고 몸의 중심을 데크에 그저 실고 가는 것이 아니라 데크를 컨트롤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극적으로 이동시키는 법을 익히셨다면 그 때 고수들의 자세를 접목해 보세요. 고수들의 자세가 비로써 의미 있어집니다.

훨씬 쉽게 고수들의 자세가 나의 라이딩에 착 달라 붙어 실현됩니다.

엣지를 세우고 설면에 몸이 붙을 듯 가져가는 자세만 흉내내는 것은 우리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 자세가 최적인 상황으로 우리가 라이딩을 연출 했을 때 의미가 있습니다. 그러한 상황이란 속도와 그려지는 라인, 그리고 타이밍 입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977 일반 프레스 컨트롤 file [30] 선근유 2016-02-17 71 12930
2976 기타 동영상 슬로우모션 넣는 방법 file [2] 레브가스 2016-02-17 8 5790
2975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3일차 보딩 (3. 키스톤) file [33] 이클립스♠ 2016-02-17 22 3865
2974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2일차 보딩 (3. 키스톤) file [18] 이클립스♠ 2016-02-16 17 3616
2973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1일차 보딩 (3. 키스톤) file [17] 이클립스♠ 2016-02-15 17 3983
2972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초보 여행기 (2. 미국 공... file [12] 이클립스♠ 2016-02-15 13 5833
2971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초보 여행기 (1. 출국편) file [23] 이클립스♠ 2016-02-14 15 6226
2970 기술(테크닉) 리버스카빙을 익히기전에.. [5] 무주광보더 2016-02-14 7 6002
2969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카빙을 위한 몇가지 팁 [75] orthodox 2016-02-12 47 15390
2968 초보를 위한 강좌 입문하려는 지인과 그들을 강습하는 분들을 ... file [15] DearLiar 2016-02-11 20 5836
2967 일반 비기너 카빙? [2] ★Captain.B9 2016-02-11 2 4400
»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초보에서 중수, 고수로 가기 위해 알... [17] 심장이통통 2016-02-04 9 8506
2965 의학,부상,사고 손해배상(스키/보드 사고)에 관한 일반적 상식 [7] 후니꾼 2016-02-02 6 3910
2964 기술(테크닉) 프리 데크의 로테이션 [2] 홍이00 2016-02-01 4 4432
2963 일반 뻙큐멘터리 6 - 이 죽일놈의 엣지각 [4] 작살러버 2016-02-01 5 3180
2962 장비 관련 비싼데크? 좋은데크? [27] 라메르-임채호 2016-01-29 67 8279
2961 초보를 위한 강좌 지난 3년간 보드를 타면서 느낀 점들(초보전용) [21] empire24 2016-01-28 14 7268
2960 장비 관련 금속보강재 티타날이란? [22] 카빙낙엽 2016-01-26 5 7560
2959 초보를 위한 강좌 곱등교정 뒷짐지지마세요 [8] 재활은보드 2016-01-26 1 7692
2958 절약법 합리적인 이동을 위한 고찰 file [5] 베어그릴스 2016-01-26 4 3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