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사와 급사의 차이는 사실 ..... 경사도 외에는 없지요


하지만 완사나 중경사에는 그렇게 잘 되던 카빙이 급사에서는 더럽게 컨트롤이 어렵고


허벅지가 터질듯한 하중을 보더가 받고 좀 편하게 카빙이 된다 싶으면 몇턴이 되기 전에


어마어마하게 생기는 가속도로 인해 턴을 멈출 수 밖에(또는 털리는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게 됩니다.



그래서 J 턴으로 연습을 열심히 하고 급사 정복을 하려 하지만


J 턴으로는 경쾌한 활주되지 않으며 급격한 감속으로 인해 다음턴에서의 밸런스를 유지할


원심력을 얻을수가 없어서 결국 급사 카빙에 대한 높은 벽을 경험하게 됩니다.  

( 제가 실제로 경험한 부분들입니다 )



제가 쉽게 급사에 카빙을 하게 된 몇 가지 팁을 공유 하려 합니다.


잘못 된 이야기라 생각 되시면 허심탄회하게 의견 나누고 좋은 방향으로 결론을 도출 되었으면 하는 마음에 댓글 환영합니다.


그럼 시작 할게요



#1. 급사에서는 기대지 마십시오

- 하이백과 부츠텅에 기대는 버릇을 버리십시오 .

- 기대지 않으면 급사에서는 당연히 데크가 사이드 슬립 상태에서도 아래로 내려 가게 될 것입니다.

- 기대지 않은채로 급사에서 멈출 수 있을 만큼 다운 포지션을 유지해 보십시오 

- 완전히 멈출 수 있는 다운 포지션을 익혔다면 사활강을 시작해 보십시오 

- 데크가 J턴을 하지 않고 산 아래쪽으로 사활강이 된다면 기울기 빼는것이 성공한 겁니다. ( J턴을 한다면 기울기를 썻다는 체크 포이트로 이용하셔도 됩니다 )

* 기울기를 뺀 채로 다운을 주는 상태 = 보더의 머리와 데크는 일직선상에 .고관절 부위는 데크 바깥으로 빠져 있는 상태가 이상적인 상태입니다.


#2. 급사에서는 S턴 개념을 버리십시오

- 실제로 보드가 만들어내는 궤적은 S자가 맞습니다.

- S자 궤적을 만들어내는 방법은 수 없이 많이 있는데요 (라이딩 주법에 따라 S턴 궤적은 자유자재로 만들어진다는 이야기)

- 급사에서는 S자의  턴 궤적 개념대로 프레스를 사용하게 될 경우 너무 느린 템포의 턴 궤적이 만들어집니다.

- 실제로 S의 9시, 3시 지점에서 가장 많은 라이더들이 힘들어하는 아래로 떨어지는 힘을 이기지 못하거나

- 억지로 하강을 이겨내고 사활강으로 진행 방향을 바꾸어도 사활강 자체의 활주 속도가 보더의 한계를 넘어버립니다.

- 급사에서는 턴의 궤적을 위/아래가 비틀어진  Z 자 모양으로 생각하세요 ( 일본쪽 데몬 영상에도 많이 있는 내용이긴 한데.. )

- 여기서의 핵심은 Z의 9시와 3시 지점에서 일어나는 급격한 방향 전환입니다.

- 폴라인 지점에서 궤적은 반대편 사활강 코스로 되어야지 아래로 떨어지는 현상이 최소화 됩니다.

- 급격한 방향 전환을 처음부터 시도할 경우 슬립이 나는건 당연합니다. 참고 슬립을 줄여보세요

- Z 자의 3시 , 9시 지점의 급격한 방향 전환 시 슬립이 나지 않고 반대 사활강 방향으로 바뀌는 순간

- 급사는 굉장히 편안한 슬롭으로 바뀌어질 것입니다.

- 어떻게 급격한 방향 전환을 하냐는 의구심은 아래 #3에서 이야기 됩니다.


#3.급사에서 힐턴이 터지는데는 양무릎의 방향이 크게 한몫

- 급사에서 토턴과 힐턴의 궤적이 다르거나 힐턴에서 유독 털리는 보더가 많습니다.

- 힐턴에서 유독 털리는 이유는 두 무릎이 바라보는 방향이 산 아래를 똑바로 바라보기 때문입니다. ( 덕 스탠스 기준 )

- 스키어는 롱/미들/숏턴 모두 무릎의 방향이 내려가는 방향과 일치합니다. 

- 알파인 역시 전향각으로 인하여 폴라인 탈출 시점부터 자연스럽게 사활강 쪽으로 무릎 방향이 형성 됩니다.

- 프리스타일 (덕스탠스기준)의 경우 힐턴이 특히 쩍벌 자세와 경직으로 인하여 무릎이 산 아래를 향해서 데크는 수직 운동 하도록 조종(Control) 되기 십상입니다. 

- 힐턴의 폴라인 탈출 시점에 아주 살짝만 무릎의 스티어링을 가고자 하는 사활강 코스로 조정한다 생각하고 스티어링을 부드럽게 가해 보십시오 . (무릎이 아플만큼 스트어링 할 이유 절대 없습니다 . 아주 적은 힘으로도 보드 컨트롤 되는 것이 하체 스티어링이잖아요 )

- 아래로 떨어지는 데크의 무브먼트는 금새 멈추고 사활강하는 것을 알게 되실겁니다.

- 이 부분 연습을 조금만 하시면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반대편 사활강 코스로 부드럽게 선회하는 것을 느끼게 되실겁니다.

* 주의 사항 : 하체 스티어링의 효과는 굉장히 좋아서 잘못하면 하체 스티어링에 의존하려는 경향이 생길수도 있습니다.

하체 스티어링은 느낌만 가져가시고 토턴과 힐턴 모두 폴라인을 지나 턴 진입 시에 무릎 방향 체크만 잘 해 보셔도 좋습니다.

* 한줄 요약 : 사활강 코스로 양무릎의 방향을 만들어 보아요


#4. 급사에서 자꾸 안 되는 턴이 있다면 그건 이전의 턴의 문제일 확률이 높습니다.

- 나는 토턴은 잘 되는데 힐턴이 안 되 ... (또는 그 반대의 경우도 있겠죠)

- 이런 분들에게는 안 되는 턴 이전의 턴의 궤적이나 턴 상황에서 본인은 발란스나 포지션을 점검 해 보시기 바랍니다.

- 웃기게도 토턴 자세에 매료 되어 업 체인지도 없이(물론 다운 언웨이티든 다른 이야기지요) 힐턴을 들어가는 비상식적인 코디네이션을 연출할수도 있음을 아실거에요


#5. 급사일수록 호흡을 유지 하셔야 편안한 카빙이 가능합니다.

- 급사에서 유독 경직 된 자세로 다운포지션을 유지한채 ...카빙턴을 전개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 롱턴 : 업에서는 길고 부드러운 들숨 , 다운에서는 길고 부드러운 날숨

- 미들턴 : 업에서는 짧고 강한 들숨 . 다운에서는 길고 부드러운 날숨

- 숏턴 : 업 / 다운 모두 짧고 강한 들숨과 날숨

- 호흡의 타이밍과 데크의 무브먼트의 타이밍이 맞아 떨어지게 되면 본인 스스로 데크의 리바운딩이 강해짐을 느끼고

- 그 리바운딩을 부드럽게 넘겨서 다음 카빙턴 진입시의 에너지로 쓸수 있음을 자연스럽게 아실겁니다.


#6. 완사에서는 깊은 기울기의 카빙을 자제 하세요

- 세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속담은 사실입니다.

- 완사에서는 사실 ....... 급회전이 필요하지 않는 이상 폴라인 기준으로 깊은 각도의 카빙을 할 이유가 없지요

- 그런데 완사에서 동전줏기를 시전하는 분들이 더러더러 계십니다.

-  완사에서 동전줏기를 하려면 .. 어느 정도 .. 상체 기울기를 쓰는 버릇이 생길수 있는데

- 이 부분이 급사에서 치명적인 나쁜 습관이 되어버리는 케이스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완사에서는 살랑살랑 템포만 유지하거나  상체기울기를 주지 않은 상태에서 ... 좌우 폴라인 영역을 찍어 넘어가듯 카빙 하시기를 권합니다.



이상 카빙의 원리와는 전혀 상관없는 무식쟁이 / 비과학적 급사 카빙 팁이였습니다.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462
2977 일반 프레스 컨트롤 file [30] 선근유 2016-02-17 71 12930
2976 기타 동영상 슬로우모션 넣는 방법 file [2] 레브가스 2016-02-17 8 5790
2975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3일차 보딩 (3. 키스톤) file [33] 이클립스♠ 2016-02-17 22 3865
2974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2일차 보딩 (3. 키스톤) file [18] 이클립스♠ 2016-02-16 17 3616
2973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1일차 보딩 (3. 키스톤) file [17] 이클립스♠ 2016-02-15 17 3983
2972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초보 여행기 (2. 미국 공... file [12] 이클립스♠ 2016-02-15 13 5833
2971 해외원정 미국 원정 나홀로 초보 여행기 (1. 출국편) file [23] 이클립스♠ 2016-02-14 15 6226
2970 기술(테크닉) 리버스카빙을 익히기전에.. [5] 무주광보더 2016-02-14 7 6002
» 초보를 위한 강좌 급사 카빙을 위한 몇가지 팁 [75] orthodox 2016-02-12 47 15390
2968 초보를 위한 강좌 입문하려는 지인과 그들을 강습하는 분들을 ... file [15] DearLiar 2016-02-11 20 5836
2967 일반 비기너 카빙? [2] ★Captain.B9 2016-02-11 2 4400
2966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 초보에서 중수, 고수로 가기 위해 알... [17] 심장이통통 2016-02-04 9 8506
2965 의학,부상,사고 손해배상(스키/보드 사고)에 관한 일반적 상식 [7] 후니꾼 2016-02-02 6 3910
2964 기술(테크닉) 프리 데크의 로테이션 [2] 홍이00 2016-02-01 4 4432
2963 일반 뻙큐멘터리 6 - 이 죽일놈의 엣지각 [4] 작살러버 2016-02-01 5 3180
2962 장비 관련 비싼데크? 좋은데크? [27] 라메르-임채호 2016-01-29 67 8279
2961 초보를 위한 강좌 지난 3년간 보드를 타면서 느낀 점들(초보전용) [21] empire24 2016-01-28 14 7268
2960 장비 관련 금속보강재 티타날이란? [22] 카빙낙엽 2016-01-26 5 7560
2959 초보를 위한 강좌 곱등교정 뒷짐지지마세요 [8] 재활은보드 2016-01-26 1 7692
2958 절약법 합리적인 이동을 위한 고찰 file [5] 베어그릴스 2016-01-26 4 3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