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한국 보드계 초기

많은 프로들이 카시 레벨 2로 프로세계로 뛰어들었습니다.
초기, 카시 레벨은 분명 실력을 가늠하는 척도로 쓰였던 때 였습니다.
이러한 영향력을 한국 보드계 초기 카시 자격증으로 발휘할 수 있었다면
분명 카시 자격증으로 이득을 본 것은 분명합니다.
(하지만 사칭 의혹이 있으신 몇몇 분들은 이득이 본 적 없다고 정 문제가 된다면 책임을 지거나 및 박탈까지 당하겠다는 표현은 좀 심한 것 같습니다.)
이러한 표현은 "인제는 카시 자격증따윈 필요없다"는 것 처럼 들립니다.
(비싼 돈과 노력을 들여 '필요없는 자격증'을 취득한 카시 레벨러로서 이러한 표현에 기분이 많이 나쁩니다.)
지금 현재 그렇게 많은 분들이 카시 자격증에 대해서 예전처럼 생각하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그리고 프로분들 캠프 하시는데 캠프는 남을 단기간에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인데,
프로라는 타이틀은 잘타는 것이 입증된 것이지만
잘 가르치는 것까지 입증된 것 아닙니다.
예를 들어 08/09시즌 한국에 잠깐 왔던 Nev는 프로이면서도 현직 CASI Evaluator 입니다.
이벨류에이터라는 것은 강사이상의 티칭 실력을 검증 받았다는 것이지요 그것도 카시로 부터...
Nev는 현재 휘슬러와 뉴질에서 캠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휘슬러에서 가장 오래된 휘슬러 캠프 역시 CASI B.C 코디네이터이자 프로인 데니엘이 직접 운영합니다.

현재 해외에서는 단순히 잘타는 사람들이 캠프를 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잘 가르치는 것 역시 인정받은 프로들이 캠프를 열고
있습니다. (현재는 뭐든지 전문적으로 해야 살아남는 시대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프로분들 중 특히 원정캠프 하실때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을 소지하고 계신지요?
뉴질에서는 카시 자격증을 대체로 인정을 해 줍니다.
하지만 한국 자격증은 아니지요. (뉴질에서 스키장 일자리 구할때 한국 자격증 보여주면 어떤 반응을 모일까요?)
뉴질도 그렇지만, 캐나다경우만 봐도 스키장 내부규정상 해당 스키장이 인정하는 강사 또는 코칭 자격증 소지와 스키장이 인정하는 스노우스쿨 강습보험에 들어있지 않으면 시즌권 및 리프트권 박탈하여 내쫒을 수 있습니다.
(강경하게 대처 하지 않지만 스키장이 원한다면 언제든지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국 대부분의 프로들의 해외원정이 현지에서 당당하게 진행하기 또는 인정받기 힘들다는 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헝그리보더 닷 컴은 분명 한국인 스노보더라면 적어도 한번쯤은 와보는 대형 포털 사이트인 것은 분명합니다.
헝글리보더의 비로긴 회원이 펀글게시판(토론방 게시판도 아니고)에 의혹관련 글이 올라온지 얼마 안되서
의혹의 중심인 분들의 해명글이 올라왔다는 것만봐도
지금 현재 헝그리보더 닷 컴은 누가봐도 대형 스노보더 포털 사이트 인것은 분명합니다.
다만 현재 헝그리보더 닷 컴의 대부분의 게시판 글은 아마추어 글이라고 하기에도 좀 그런 신빙성 없는 글들이 많이 올라오고,
많은 프로와 회사들의 단순 홍(보처가 된 느낌을 많이 받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방문객수와 게시글이 훨씬 적은 레벨 3님들 블로그보다 알찬 정보가 적은 느낌을 받습니다.)

지금 최근에 벌어진 레벨 3 사칭 의혹을 예를 들면....

아직까지 진짜 레벨 3로 알려진 4분중
이번 일에 관련하여 언급한 적이 없습니다.(예전 컬럼글에서 의혹이 시작되고 팀카시 레벨 3 사칭자 축출글로 의혹이 증폭된 후)

개인적으로 이분들은 헝그리보더에서 이런 사칭 논란이 크게 일어난 것에 관하여 어떤 생각을 가지고 계신지 궁금합니다만....

이와 관련하여 해당 블로그를 참고하시는 것을 좋을 듯 합니다 (아직 이와 관련한 포스팅은 없습니다)
Grindays님 블로그
http://dannypark.tistory.com/
Mhlkp님 블로그
http://blog.naver.com/mhlkp
Maverick
http://blog.naver.com/maverick9933
현대 성우 팀장님의 블로그는 못찾겠네요

과연 관련 글일 헝글 또는 블로그에 올라올지는 미지수 일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많은 분들이 사칭관련 갭쳐, 우려의 목소리, 해명을 촉구하는 글들을 많이 쓰셨는데,
정말 중요한 것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이번 사칭 건은 단순 의혹이라는 점입니다.(아직 사칭관련 판결을 받은 것이 아니므로)
물론 이러한 의혹을 옹호하겠다는 것은 아니지만,
헝그리보더 닷 컴에 오시는 개개인(한명 한명의 보더들)들이 좀 더 성숙하고 현명하게 대처해야
이러한 사칭뿐만 아니라 많은 의혹 및 문제점이 있는 한국 보드계를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많은 분들은 분명 글을 올리실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누구누구의 ****의혹이 있다 또는 ****관련 의혹 캡쳐 정보식으로 글을 올리시는 편이 좋을 듯 합니다.
그리고 그들을 비판하는 것은 의혹이 확정된 다음에 해도 늦지 않습니다.

이번 비시즌에 일어난 모든 사건을 딛고 더욱 성숙해지길 바라면서......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721
3357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2) 보드를 ... [1] RiderCrew~* 2001-10-29 123 8331
3356 초보를 위한 강좌 [RiderCrew](왕초보를 위한 강좌 9) 왕초보 ... [1] RiderCrew 2001-10-30 123 5444
3355 장비 튜닝 육보드 헬멧도색 클리닉 [54] 육보드 2006-06-02 123 10524
3354 일반 [v(o)z 홀맨] 연탄길 여덟번째 이야기.. [5] 김태경 2001-12-17 122 2388
3353 기술(테크닉) 배워나가는 것. [59] 프리스타일 2009-02-24 122 8351
3352 해외원정 [코미][위슬러 연재 #1] - 위슬러시즌 패스... [4] 김종원 2001-10-24 122 14225
3351 기술(테크닉) 급사에서 카빙하기? [43] 명품뒷발 2009-02-26 121 19046
» 헝그리 캠페인 헝그리보더 닷 컴의 신빙성...그리고 자격증... [38] 헝그리 2009-07-06 118 11660
3349 초보를 위한 강좌 알파인 초급자를 위한 조언 - 두 번째. [14] 바카스™ 2009-02-27 118 5968
3348 장비 튜닝 흰색 데크용 스티커 작업 file [7] Fred 2009-04-10 117 9904
3347 기타 다른 헝글님이 벌써 올리긴 했는데.....혹시... [5] 안섭 2007-03-09 117 2851
3346 기술(테크닉) 보드 용어들.. [21] 달팽 2009-03-02 117 9696
3345 초보를 위한 강좌 헝그리사진첩에 사진을 여러장 잘~~~~ 올릴... [28] 오猫 한-* 2003-06-04 116 6699
3344 일반 [그누맨]최고가 뽑은 최고의 라이더 10명...... [3] 그누맨 2001-10-25 115 4898
3343 장비 관련 [알파인] 보드 구매가이드(번역글) [10] 신민용 2009-02-18 115 5850
3342 기술(테크닉) 보드의 사이드컷과 회전반경과의 상관관계는... [10] [...] 2009-03-04 115 7780
3341 일반 우수칼럼 지기 님께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sky 2001-11-18 114 2378
3340 기타 보더를 넘어 슬로프의 아티스트가 되는 그날... [60] JohnBird 2009-03-03 113 9060
3339 초보를 위한 강좌 중고장터 Gear ( 데크 + 바인딩 + 부츠 ) 구... [12] 어화둥둥 2009-02-16 113 8319
3338 초보를 위한 강좌 스키장에서 보더찍기 노하우^^ [10] 껀이 2009-02-26 113 91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