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우보드가...자동차랑 비슷한 거 같아서...함 적어봄니다...


5) 캠버와 휠 얼라인먼트

자동차에서...차체의 무게는 서스펜션을 통해 4개의 바퀴에 집중되고....
차체의 무게가 서스펜션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기 때문에,
아래 그림처럼...바퀴가 축 방향 안쪽으로 기울어 지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바퀴의 접지력이 떨어지게 되고, 조향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아래 그림처럼...차바퀴를 처음에 약간 바깥쪽으로 기울여 놓으면...
서스펜션과 차무게에의해 눌렸을 때도...차바퀴가 정상적으로 접지되게 된다...


무게에 의해 눌려서, 기울어지더라도...바퀴의 접지력이 최대가 되도록...
바퀴를 미리 기울여 놓는 세팅...

이것이 바로...캠버(Camber)이다...


스노우보드도... 사람,바인딩, 부츠의 무게에 의해... 가운데 부분만 눌리게 되어 있어서...
양끝부분인 노즈와 테일에 힘전달이 약하게 될 수 있고...
이로인해...접지력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자동차와 마찬가지로...
눌렸을때 정상적으로 힘이 전달되도록 미리 기울기를 주는것...
바로 캠버를 만드는 것이다...

즉, 스노우보드의 캠버는 데크의 중심이 눌렸을때...노즈와 테일 베이스에 힘 배분을 해주고, 접지력을 높혀주는 장치인 것이다...
접지력은 제어 가능성과 곧바로 연결되므로, 이제 캠버가 얼마나 중요한 장치인지 알 수 있을것이다...
접지력이 떨어지면, 제어가 어려운 상태된다...
특히 정지하려는데, 정지 자세에서 좌아악... 미끄러질 수 있다...
자동차의 경우 캠버는 조향을 쉽게 해주고, 회전반경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스노우보드의 경우도 같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본다...


그럼 이제 다음과 같은 의문을 가질 수 있다...
----------------------------------------------------------
이렇게 중요한 캠버가 왜 데크의 스펙에는 나와있지 않은 걸까 ???
----------------------------------------------------------
사실은 스펙에 나와있다...
캠버는 중심을 누르는 예상되는 무게와 관련이 있는 것이고,
데크 스펙 중에 무게와 관련된 것은...딱 하나 있다...
바로 Recommended Rider's Weight Range이다....

권장 체중 범위를 벗어난 사람이 그 데크를 타면 어떻게 될까?
캠버가 덜 눌리거나, 더 눌려...데크를 설계한 조건에 맞지 않게 될것이다...
라이더는 상대적으로 데크의 특성을 느끼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미끄러지고 제어가 어려워질 수 있다...
어쩌면 보드보험율이 올라갈지도 모른다...(물론 농담이다...)

자동차에는 캠버를 조정하는 작업이 있다...
휠 얼라인먼트(Wheel Alignment)가 바로 그것인데...
아쉽게도...스노우보드에는 그런 작업이 없다...
그래서...캠버가 죽으면, 살릴 방법이 없다...
즉, 캠버가 죽으면... 데크의 수명이 끝난 것이란 말은...어느 정도는...맞는 말 되겠다...

정리하자면,
- 캠버는 중심을 누르는 무게에 의해... 데크가 휘어지더라도 데크 전체에 힘을 골고루 전달하기 위한것 이다...
- 캠버는 예상되는 무게를 고려한다.... 그래서 데크별로 Recommended Rider's weight range가 있다...
- 캠버의 기능을 고려한다면... 키보다 몸무게 기준으로 데크를 선택하는 것이 좋겠다...
- 캠버를 이해하면, 꽃보더의 데크만 보더라도, 꽃보더의 몸무게를 알아맞힐수 있다 -> 음...오차범위 큼...


* 5년만에 5편을 쓰는 군요...1~4편은 2002년에 썼었는데...
자동차 좋아하시는 분들은 함 읽어 보시길...
4) 힐엣지, 토엣지는 TCS(Traction Control System)        [바로가기]
3) 카빙과 도랑 걸치기                                   [바로가기]
2) 4륜구동에 미드쉽엔진을 장착한 스노우보드             [바로가기]
1) 뒷발차기와 후륜구동, 오버스티어                      [바로가기]


엮인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54
17 기타 택배 빨리보내기~[고속버스화물택배] [7] 피부암통키 2008-01-12 48 22458
16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1.급사 라이딩은 왜 어려울까 file [38] Lunatrix 2016-10-20 89 22757
15 초보를 위한 강좌 라이딩시 잘못된 습관(버릇)을 고치는 방법 [51] 겐세이짱 2010-02-25 56 23291
14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2. 로테이션 [54] Lunatrix 2015-11-10 107 23666
13 초보를 위한 강좌 구피? 레귤러? 본인의 정체성을 찾아봅시다! [45] 바람켄타 2011-12-27 2 24262
12 기타 겨울철 추워서 디젤차 시동 잘 안걸릴때... [16] CodeH 2011-01-18   24622
11 기술(테크닉) 턴에 대한 이해 - 1. 충돌하는 턴 file [71] Lunatrix 2015-02-10 96 24960
10 기타 스노우보드의 속도는? [38] TrustMe 2009-11-23 32 25621
9 기술(테크닉) 슬라이딩 턴의 원론적인 이해 file [54] Lunatrix 2010-03-11 109 26616
8 일반 토우턴이 어려워요? , 힐턴이 어려워요.? [41] 초밥대왕 2007-01-25 29 27889
7 기술(테크닉) 앞발 바인딩 각도가 턴에 미치는 영향 [55] 정덕진 2006-12-08 129 29547
6 기술(테크닉) 전향각으로 카빙하기.. [55] 유로카빙 2006-12-22 184 29972
5 초보를 위한 강좌 스텐스 넓이 정하기 - 넓은/좁은 스텐스 장... file [74] SBdaero 2011-12-01 28 30680
4 장비 튜닝 영상으로 보는 엣지 튜닝 법~~~~ file [7] 바람켄타 2012-09-15 1 31887
3 기술(테크닉) 자세 탐구 - 1. 중심축 이론 file [42] Lunatrix 2015-10-25 105 33290
2 의학,부상,사고 무릎 아프신분들 꼭 MRI 찍어보고 검사하세요 [41] ㅎㅎ 2009-10-17 58 37911
1 장비 관련 스노보드 적정 사이즈 선택(한계체중 별 데... file [47] 까앙 2008-09-08 63 410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