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차 보더입니다. 슬로프는 휘팍 펭귄이고요

한번도 기본적인거부터 배워본적이 없고 오로지 헝그리보더에서 잘타시는분들 동영상과 댓글들

박정환 선생님 김현식 선생님 동영상만 봐오면서 연습하고 했습니다. 지금은 영상찍어준 사부에게서 배우기시작했고요

장비를 사고 보드를  타기시작한건 작년 2월부터고요

시즌권 끊어서 타기시작한건 올시즌부터 타기시작했습니다.

 

 

지금 타고있는 자세에서 고칠점이라든가 아니면 기본이안되어있다고 하시면 기본부터

다시 연습할거고요 고칠부분있으면

고치도록하겠습니다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연습을 하였으면 좋겠다 뭐 이런 얘기

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저도 헝그리보더 에서 배워나가고 있는것처럼 선배님들의 진심어린 조언으로 제가 훗날 잘타게된다면 저또한

올챙이적을 기억하면서 다른분들의 동영상에도 성심성의껏 답변과 댓글을 달아주도록 노력하겠습니다 ^^

엮인글 :

시넌

2014.12.16 15:05:45
*.227.226.175

느낌상 토턴이 잘안되시죠?

 

어깨를 좀더 닫아주세요~

 

턴은 시선 어깨 골반 데크 순으로 움직이게 되어있습니다.

 

시선을 좀더 주시면 어깨도 어느정도 따라오리라 생각됩니다.

 

힐턴은 상체만 더 눕히시면될것같은데

 

지금 자세가 상체는 후경에 엉덩이는 전경인느낌인데

 

올바른 자세를 잡고 타시는게 좋긴하지만 그게 전체적으로 되지않는다면

 

차라리 상체  하체 전체를 전경을 주시고 타시는것도 나쁘지않다고 생각합니다.(속도가빠를수있으니 주의하시구요)

 

많이보셨다는 영상과 본인의 자세가 무엇이 다른지 한번 비교해보셔요~~~~

 

빠른스킬업되시길~ 안보하세요~

안생

2014.12.17 13:36:37
*.194.146.197

시넌님 좋은 지적 감사드립니다 해주신말씀대로 신경쓰면서 연습하겠습니다

백만송이장미

2014.12.16 16:57:45
*.148.112.149

토에서 힐 넘어갈 때는 살짝 열려 있는 어깨를 로테이션 삼아서 보드를(테일을 조금 더) 밀어내면서 엣지체인지하고 있고

힐에서 토 넘어갈 때는 로테이션에 의한 반동(엣지전환을 하고서 바로 로테이션을 해제)으로 역시 보드를(테일을 조금 더) 밀어내면서 엣지체인지를 하고 있습니다.


엣지체인지를 급하게 하려하지 마시고 (그래서 완경사에서)


슬라이딩턴을 하시려거든, 로테이션으로 (힐턴 들어갈 때는 노즈쪽 종아리로 하이백을 밀어서 누르듯이, 토턴 들어갈 때는 노즈쪽 무릎을 구부리면서 정강이로 부츠텅을 밀어서 누르듯이)

노즈쪽 엣지를 먼저 넘겨서 누르고 이어서 테일쪽 엣지도 같이 눌러주는 느낌으로 하시면

노즈는 설면을 가르면서 나아가고 테일은 눈을 밀어내는, 슬라이딩턴이 됩니다.


익숙해지시면, 조금 더 급사 공략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로테이션을 더 크게 하면서 엣지체인지 직후부터 눈을 밀어내는 연습을 하시면 되구요.

펜스방향으로 눈을 밀어낸다는 마음으로.


카빙턴을 하시려거든, 노즈와 테일쪽 엣지를 동시에 넘기면서 눌러야 합니다.

그러려면 데크에 비틀림이 만들어져 있으면 안 되므로 로테이션을 하지 말아야 하는데

급하게 엣지를 넘기려 하면 역엣지에 걸릴 수 있으므로

이전 턴 후반에 기울기를 세울 때, 업으로써 확실하게 슬맆을 차단하고

베이스로 1초이상 주행하고서 기울기를 넘긴다는 마음으로, 데크에 비틀림이 만들어지지 않도록 신경써야 합니다.


힐턴에서는 엉덩이가 왼발쪽에 가 있어서 상체를 오른쪽으로 기울이고 있고 오른팔도 올라가 있는데

어깨 오픈 등으로 인해서 테일쪽에서 엣지각이 더 작은 비틀림이 만들어져 있고, 엣지각을 확보하는 데 자신이 없어서입니다.

엣지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무릎을 조금 더 펴거나 고관절을 조금 더 구부려야 합니다.

보드를 밀어내는 느낌에다가 가슴으로 보드를 눌러주는 느낌?으로.

그리고 비틀림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자세라든가 셋팅이라든가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누구나칼럼을 참조하시고)

힐턴에서는 왼손을 오른무릎에 갖다대고, 토턴에서는 오른손을 왼무릎에 갖다대는 외향자세 연습이 좋을 거 같습니다.


토턴에서는 배를 내미는? 자세를 취하고 계신데

저속에서는 별 무리가 없지만 고속에서는 다운이 안 들어가 있는 자세라서 불리합니다.

자동차에 비유하면 차체의 무게중심이 높고 하드한 쇼바가 장착되어 있는 격입니다.

토턴 한 턴 안에서 다운업을 두어번 하는 연습으로 토턴 다운도 익히시면 좋겠습니다.

안생

2014.12.17 13:37:58
*.194.146.197

계속 이해라려고 10번정도 읽어보고있습니다 100% 이해는 하고있지는못하지만 계속 타면서 백만송이장미님이 해주신 가르침을 항상 염두하면서 연습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닭덕후

2014.12.16 19:42:51
*.211.206.229

전 그저 몇년차 영상 이런거 보면 그냥 자괴감만.... 잘타시네요

안생

2014.12.17 13:38:24
*.194.146.197

아이고 이런저한테 잘탄다고해주시고 힘이나네요 ^^

날아라가스~!!

2014.12.17 08:25:58
*.194.45.181

전반적인 턴을 만드실때 사용하시는 부분이 앵귤레이션, 즉 몸의 굽힘을 이용해서 만드시고 계시다고 보입니다요.


나쁜건 아닌데, 턴의 호가 무조건 고정되어 있고, 이것때문에 급사가시면 상당히 고생하실수 있으신데...


저라면 일단 전체적인 몸의 기울기를 써서 엣징을 만들고 그 후 앵귤레이션을 연습하는게 맞다고 생각됩니다요.


현재 펭귄이시다 보니 아무래도 시선이 고정되어 있으시고 모든 턴의 스타트가 몸의 굽힘이니 그것보다 확실하게 몸의 중심을 좌~우~로 이동시켜 보세요~

안생

2014.12.17 13:40:24
*.194.146.197

아 제가 기울기가 너무 없나보네요 몸의중심을 좌우라 네 항상 생각하면서 연습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헝글TV 故sky 추모 동영상 [24] RukA 2019-11-21 71 18003
공지 스노보드 [동영상 자료실 이용안내] ruka 2018-02-28 14 22464
17 스노보드 Noll-rounder(놀라운더) 제1회 <놀자!> [14] ATTACKEYTUN... 2016-01-08 30 3583
16 스노보드 제가 하는 턴이.. 무슨 턴인가요? [12] 영율 2015-12-29   4969
15 스노보드 추억팔이 재탕 - 박정환(grindays) 원런 [30] 고타나 2015-11-05 53 14550
14 스노보드 ATTACKEYTUNE 15/16 Opening [53] ATTACKEY 2015-11-02 92 10044
13 스노보드 박정환 just as free 끌어올림 [44] 호암 2015-03-12 70 14113
12 스노보드 2014-15 JUST RIDE!_박정환(Grindays) [78] ATTACKEY 2015-03-06 164 30015
11 스노보드 안녕하세요 박정환입니다. 오늘 배우실.... [30] grindays 2015-02-18 51 11190
10 스노보드 박정환(grindays) ONE RUN [39] 고타나 2015-02-07 65 14441
9 스노보드 박정환(grindays)의 스텝인 영상 사용기 [31] 요넥스코리아 2015-01-29 43 14923
8 스노보드 스노우스틱 라이딩: Grindays + Ricky! [35] Ricky! 2015-01-25 65 18173
7 스노보드 2년차 허접 보더...원포인트 부탁드려요 ㅠㅠㅠ [14] 금강초롱꽃 2015-01-07   4028
» 스노보드 1년차 보더입니다 많은 지적 가르침 부탁드... [8] 안생 2014-12-16   3711
5 스노보드 2013-14 안녕하세요 Grindays 박정환입니다 [45] ATTACKEY 2014-03-23 105 24779
4 스노보드 초보 렌탈보더 조언과 지적 부탁드리겠습니... [8] 최겨울 2014-02-22   1168
3 스노보드 4년차..'동영상'만보고 독학했어요..조언좀 ... [9] 객체 2014-01-27   1174
2 스노보드 삼발이를 아십니까? file [37] soondol486 2013-12-03 5 1042
1 기타 2013 KEEP IT TRICK JAM~!! file [2] ☆무한도전[... 2013-07-13   178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