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 막 비기너 턴을 할 수 있는데요.
비기너 턴에 업다운을 가미하면 너비스턴이 된다고 하는데
업다운은 왜 해야되는건가요?
속도 조절을 위해서 해야되는건가요?
너비스턴 좀 설명해주세요.
(동영상으로도 잘 이해가 안되서 문의드려요!!)
글로 설명하기가 힘들지만 ㅋㅋㅋ
비기너를 벗어나서 배우게 되는것들을 눈, 슬로프에 대한 반발력이라 보시면됩니다.
님도 타시다보면 속도가 너무나서 슬로프에서 통통 튀면서 넘어졌던 기억이 있으실겁니다.
이것이 슬로프에 대한 반발력이죠
속도를 내면 그만큼 눈에서 튀어나갈수 있습니다. 눈을 평면이 아니잖아요!
\그래서 턴을 하면서 경사가 급하거나 속도가 높아지면 설면을 누르고 가야하는데 배이직턴으론 그러질 못합니다.
그래서 너비스..... 카빙.... 슬라이딩 턴등 여러가지 턴이 나옵니다.
초급에서 너비스턴에 익숙해지면 경사도를 높여보세여
그럼 왜 업다운을 하면서 설면을 누르면서 타야되는지 아실겁니다.
너비스턴에 대하여 단순히 이야기 하자면 방향을 틀고자하면 설면에 누르고 있는 몸을 세워서 핸들링하고 다시 그이외의 순간은 설면을 누르고 간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박자 타이밍 순서등을 다 제외하고요......
속도는 반발력과의 싸움입니다.
업다운은 정캠버 데크일때 최고의 효력을 발휘합니다. 정캠버로 설명을 드리면 실제로 캠버가 설면에 떠 있는 관계로 라이딩 할때는 이 캠버(보드 중앙부분)을 눌러서 유효엣지를 설면으로 박아야 보드가 말리면서 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렇게 탈때는 압력을 가해서 캠버를 눌러주고 턴동작시(실제로는 엣지 체인지죠)에는 보드를 누르는 압력을 빼주면 캠버가 다시 위로 뜨게 되어 마찰이 줄면서 엣지체인지를 쉽게 하게 되는 겁니다. 중요한건 압력을 줬다 뺐다 해야하는데 이게 꼭 업다운은 아니죠. 초급라이딩시 이러한 리듬감을 익히는 차원에서 누를때는 자세도 다운하면서 눌러라. 압력을 뺄때는 실제 다리에서 누르고 있던 힘만 빼주면 되는데 그게 잘 안되니 일어서면서(업) 압력을 빼고 턴하고 턴이 되면 다시 눌러라(다운해라). 이말입니다. 중급이상의 경사면에 가서 이렇게 배우고 가서 턴하면 안되죠? 왜냐? 턴을 할때 일어서면 경사도에 의해서 쭉 슬립으로 미끌리는 현상으로 넘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이때에는 반대로 다운된 상태에서 다리를 점점 피면서 라이딩을 하죠. 이렇게 다리가 다 펴지면 순간적으로 몸전체를 다시 다운하면서 턴을 하는데 이때 하체가 보드를 눌러서는 안됩니다. 배부터 엉덩이까지를 중심으로 상체는 내리고 하체는 끌어올리듯이 몸을 움츠리면서 턴을 하고 다시 다리를 펴면서 라이딩을 하는데 이걸 다운언웨이티드 턴이라 합니다. 다운하면서 체중(웨이트)는 빼라는 의미지요. 반대 같지만 요지는 하납니다. 탈때는 압력(프레셔)를 주고 턴시에는 압력을 빼라. 이말입니다. 역캠버의 경우는 캠버가 오히려 바닥으로 향해있어 무리한 다운시 턴이 터지는 경우가 발생합니다.
제가 아는 한도내에서 말씀드릴께요 업다운을 하게되면 턴이 좀더 빠르게 된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속도가 올라갈수록 업다운을 하면 안정적인 보딩이 가능하게되요
다운시에 데크가 눌리면서 안정적으로 되더라구요
그리고 업시에는 데크가 살짝 들리면서 턴이 들어가는데 정캠같은경우 데크 중심부가 들려서
턴이 빠르게 되요
그리고 이건 주서들은건데 카빙턴을 하는 이유가 속도를 유지하며 턴을 하기 위함이라고 하더라구요
최대한 속도감소없이 턴하며 내려오는게 궁극적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