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회사마다 다릅니다. 당사의 경우 공시이율형은 15만, 변액연금은 20만원부터 가능합니다.
2. 보통 10년을 많이 합니다만, 금액에 따라, 2, 3, 5, 7, 10, 10년 이상으로 되어 있습니다.
3. 10년 이상을 유지 하셔야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물가상승율을 잡기 위해선 변액연금을 추천합니다.
위험요소는 있지만, 펀드변경 등을 잘 이용하시면 공시이율 상품보다 훨씬 유리합니다.
4. 가입시 보통 60세로 지정합니다만, 요건만 충족한다면 45세부터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본인이 결정 및 변경 가능합니다.
5. 종신형으로 할수도 있고, 10년, 20년 정액형으로도 받을 수 있습니다.
* 연금보험은 비과세 혜택은 있습니다만, 소득공제 혜택은 주어지지 않습니다.
연금보험(비과세), 연금저축(소득공제)
소득공제용 연금저축과 비과세 연금보험이 있어요..
소득공제용은 연간 400만원 까지 소득공제를 받을수 있는대신 연금 수령시점에 가서 세금을 내야 하는반면
비과세 연금보험은 소득공제는 받을 수 없지만 연금개시시점에 세금을 면제받을 수 있어요.
소득공제용 연금 저축은 연금개시시점은 55세부터 가능하시구 연금 수령기간은 회사상품 마다 틀리지만 최장 30년간만 받을 수 있구요.
비과세 연금보험은 연금 개시시점은 45세부터 가능하고 연금수령기간은 종신형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고액연봉자가 아니시라면
비과세 연금이 더 나을듯 싶어요..
단 비과세 연금을 가입할때는 납입기간을 10년이상으로 하셔야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보통 납입기간은 10년으로 하시면 되실꺼예요..
연급 납입금액은 잘 알아서 소득대비 선택 하시면 될듯 해요 ^^
상품이 다양합니다 받는시기도님이정하시고 죽을때까지나오는 종신형 확정형등도 님께서 결정 보통 죽을때까지받는 종신형보다 십년확정이월수령은 더만겠죠 납입기간은 보통십년부터 길게 이십년도있고요 납입금액도 님께서결정하시는거 비과세는이자소득이 면제되니다 머 대충이런데요..... 자세히 상담을받아보시는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