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답하기 이용안내]

안녕하세요 ^^

 

독학초짜 한달차 시즌권 보더 입니다 ㅠㅠ...

 

독학으로 이래저래 할려니 죽을 맛이네요 ;;

 

 

요즘들은 궁금증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현상태는 베이직턴은 마무리하고 너비스정도입니다.

 

 

일단 초보자이다 보니 속도에 대한 이질감이 있는 편입니다;;;

 

초보자이다 보니 속도는 많이 내지는 못합니다. 그러다보니 턴 진입후 엣지를 전환하는 시점이 힐턴(9시),  토턴(3시)쯤이 됩니다.

 

데크가 폴라인과 1자가 된후 전환한다고 보는게 맞는 거 같습니다.

 

근데 속도를 내서 달리게 되면 힐턴(10시), 토턴(2시)에서 전환이 가능합니다.

 

Q1.. 이것은 속도에 따라서 엣지전환시점이 달라지게 되는 건가요?

        아니면 속도가 빠르다보니 업다운이 커져서 되고

       느리면 업다운을 크게 안해서 엣지 전환 시점이 달라지는건가요 ?

       

 

Q2. 1번 질문관 같은 맥락이기도 한데 역엣지를 하도 먹어서 날랐더니 턴에 대한 암묵적인 공포감이 생김니다.

       위의 질문대로 어떨때는 10시, 2시 에서 턴이되지만 어떨때는 역엣지를 무릎끓고 하나님께 기도를 합니다 -_-;;

       이거는 속도가 없는 상황에서 전환을 해서 인지, 업다운이 부족한것인지.

 

 

Q3. 중급자 이상에서 타게되면 토턴기준시 슬로프의 경사와 속도의 압박으로 최대한 속도를 줄인(폴라인과 데크가 수직) 상태에서

      조금씩 돌려서 천천히 내려가면 타게 됩니다.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엣지전환은 폴라인과 1자가 된후에나 전환이 가능하네요;;;;

      2시의 엣지전환을 시도하믄 .....역엣지와 인사한게 됩니다 -_-;;;; 아퍼 죽겠어요ㅠㅠ

     그래도 보호대 중에서는 괜츈하다는 파워텍 쓰는데도 ...앉아서 길게 기도 할정도의 고통이 옵니다;

      근데 경사가 조금낮아지면 속도를 좀 내서 인지 또 됩니다 ;;;.;;;;.....이건 뭥미;

 

Q4. 중급자 이상이 되믄 엣지전환 시점이 점점 빨라진다고 하는데...11시, 1시에 엣지전환을 한다는게.... 역엣지가 걸리지 않고

      가능한 이유가 이론적으로 계산이 안되네요... 어떤 원리일까요 ㅠㅠ..

 

 

이상 무릎고뱅이가 후덜덜한 초보의 질문이였습니다.

    

엮인글 :

귤!!!

2012.01.29 17:03:23
*.246.78.203

1 속도가 빨라지니 몸이 반응하여 엣지 체인지을 하는것 같습니다

2 너비스 턴은 카빙과 엣지 체인지 포인트가 다릅니다 엣지 체인지를 위해서 업하고 로테이션으로 턴하고 엣지 체인지로 마무리하세요

3, 4 너비스턴과 카빙턴의 차이점을 좀 공부하시면 해결할 수 있을것 같습니다

완죤쵸짜

2012.01.29 17:15:26
*.204.193.229

그렇다면 너비스는 턴을 완전히 마무리 되는 시점에서 엣지전환을 하고 프레스를 준다는 건가요 ^^?

귤!!!

2012.01.29 17:33:02
*.246.78.203

너비스턴의 다운이라고 말하는것은 사실 bbp입니다 카빙에서 턴을 하기위한 다운 프레스랑은 다른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너비스턴의 원리를 한번 일아보세요 헝글강좌에 잘 나와있습니다

제생각

2012.01.29 17:38:16
*.68.244.108

저도 초짜나 마찬가지지만 제 생각을 말해본다면,

(참고로 전 엣지채인징에 대한 공포는 이미 옛날에 다 뗀 놈입니다. ㅋㅋ

몸을 폴라인쪽으로 던져 엣지채인징하려고 시도하기도 하죠. ㅎㅎ)


속도가 덜한 턴(비기너, 너비스)은 아무래도 슬립이 참 많습니다.

때문에 엣지 전환시점을 빨리 가져가면 당연히 슬립으로 인해 역엣지 가능성이 매우 크죠.


속도가 빠르면 폴라인과의 각도상 역엣지 상황이 되는 경우도 슬립이 없다면 관성에 의해 역엣지로 날라가지 않고 매우 안정적인 엣지 채인징이 되죠.


그것을 알기에 과감히 폴라인쪽으로 몸을 던집니다~ ㅋㅋ


설사 어떤 실수라던가 뭔가 잘못되서 역엣지에 걸리더라도 충분한 경사라면 공중에서 한 바퀴 돌게 되는거죠.

(운 좋으면 한 바퀴 돌아 다시 제자리.. ㅋ 이 경우 멀쩡..ㅎ)



속도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시다면, 추천드리는게 바로 최상급입니다.


최상급에서 백번만 계속 내려와보세요.


중상급이 평지처럼 느껴집니다. 폴라인쪽으로 과감히 몸을 막 덕지게되는 자신감이 생기죠.


자신이 중급이나 상급등에서 속도 내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시다면 해볼만하죠.


물론 최상급에서 막연히 낙엽이나 사이드 슬링핑등으로 내려오는건 효과가 없습니다.


구간구간 마다 직활강도 해보시고 특히 최상급 슬로프에서의 엣지채인징을 시도해보세요.

처음엔 엣지채인징 시도 자체가 모험같고 두려울 수 있지만 과감히 몸을 던진다 생각하고,,

어차피 넘어져봐야 경사가 높아서 미끄러지는 거 외엔 혹은 망신살 외엔 부상같은건 없으니...

부상은 보통 평지에서 많이 생기죠. 경사가 높으면 그 만큼 충격이 덜해서리.. ㅎㅎ

닌자거북이

2012.01.29 17:36:55
*.212.46.229

1. 속도가 빨라질수록 업/다운이 크게 들어갈수있죠....그에따라 엣지 체인지 타이밍이 빨라진다고 봅니다...

 

2.역엣지안걸리는 방법이 따로 있는게 아니죠(고수분들도 역엣지는 가끔 걸리죠...)제생각에는 마일리지에따른...데크컨트롤?

    때문에 역엣지에 덜걸린다고 할 수있을거같은데요....

   보드 입문시...역엣지 경험안해보신분은 없겠죠...과정이라고 생각하시고....무서워하지마세요...

 

3.아직 속도에대한 두려움이 크셔서 그런겁니다....중/상급 슬로프는 나중에 실력을 키우시고 그때 경험하심이....

 

4.윗분말씀에 공감합니다...카빙턴과 너비스턴은 차이가 있죠.....(카빙턴은 엣지를 이용해 턴을하죠....)

 

  이상 허접한 답변이었습니다....안전보딩하시구요^^

   

Vanilla SkY

2012.01.29 18:46:14
*.12.181.150

제 짧은 소견으로는....

일단 역엣지에 대해서 말씀 드리자면

진행방향(토우든 힐이든....)으로 진행하다가 완만한 엣지체인지가 되지않은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가려할때 턱하고 걸리는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흔히 타듯이 엣지에 대한 전환이 자연스럽고 부드럽게 되어야지 역엣지가 안걸리겠죠

어차피 속도가 있다면 엣지 체인지 시점은 3시든 2시든 1시든 어디서든지 가능합니다

역엣지에 대한 가능성은 차이가 있겠죠!

보드탈때 12시(슬로프경사에대한 직각 방향) 이전부터 중심이동이 시작됩니다.

문제는 엣지체인지가 아니라 언제부터 중심이동을 시작하고 얼마나 빨리 중심이동이 되느냐 겠죠!

얼마나 짧은 시간에 엣지체인지를 하느냐에 따라서 바닥의 나타나는 카빙자국들은 더 급하게 그려집니다.

다른말로 속도에 반대하여 중심이동이 얼마나 급하게 변화하느냐도 같은 의미라고 생각됩니다.

즉 속도가 빠른상태에서 몸의 중심이동이 급변하게되면 턴은 최소한의 작은 원을 그려진다고 보면 됩니다.

보드타시다보면 슬로프 가장자리에서 숏턴하는 사람들 있죠 그분들의 중심이동을 보세요

굳이 몸의 중심이동이 아니더라도 하체의 이동을 보시면 이해가 빠르실겁니다.

 

하나더 말씀드리면 속도가 없으면 님말대로 슬로프와 일자가 된후에 엣지체인지가 가능해집니다. 여기에서 엣지체인지를 하다가 속도가 없으니 빠른 전환이 안되고 그렇다보니 조그마한 진동이나 움찔한 상태에서 역엣지가 걸립니다.

속도가 어느정도 유지되고 토에서 힐 또는 힐에서 토로 엣지전환과정을 흔들림없이 지속적으로 하게되면 이론적으론 역엣지에 걸리지 않아야 합니다. 또한 실제에서도 그렇고요

몸의 중심이동을 속도를 유지한 상태에서 과감하게 시도해보세요

고속도로 커브길에서 핸들을 돌리듯이.....(만약에 잠깐 핸들을 반대로 돌렸다면.... 그게 바로 역엣지 입니다)

 

하나만 더 말씀드리면 에어 투 카빙에 대하서도 한번 생각해보세요

님이 말씀하시는 12위치는 어느정도 고수가 되면 턴을할때 그 텀을 거의 없다고 보셔도 무방할겁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생각 이지만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큐리레드

2012.01.29 19:58:20
*.189.241.123

저도 초보인사람인데요 ㅎㅎ 다른건 제가 잘몰르겠고...3번에 말씀하신건 공감이 가네요 ㅋㅋ

 

저도 타다보면 한참동안 기도할때가 있다는..ㅜㅜ(무릎보호대도 파워텍....그런데도 아프대요 ㅎㅎㅎ)

 

제 생각엔 턴을 급하게 할려고하면 꼭 기도를 하게 되더군요....상체를 급하게 돌리거나 시선만 먼저 확 돌아가던가....

 

상체는 돌아갔지만 다리쪽이 따라오지못해서 기도하게 됐던거같아요....머 아직두 잠깐씩그러긴하지만..ㅜㅜ

 

그냥 제 주관적인 생각입니다~~^^;;;  항상 안보하세요~~  제 한쪽무릎은 이미 반대쪽무릎 두배가 되있네요.ㅜ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묻고답하기 게시판 이용안내] [8] Rider 2017-03-14 83683
46106 경기권 아동강습하기 좋은 곳? [2] 씨증권 2012-01-29 233
46105 부츠가 데크보다 오버사이즈나면...?? [2] 여지모토 2012-01-29 304
46104 지방에서는 보드장비 어떻게 구입하시나요? [5] 에르난 2012-01-29 357
46103 댓글이없어서...다시올릴꼐요..ㅠㅠ흑흑전문가님들....ㅠㅠ플렛지a/s 질... file [5] 꾸짜 2012-01-29 374
46102 x games 우승한 마크 도대체 몇바퀴 회전 한건가요?? [1] by_danny 2012-01-29 278
46101 살로몬 바인딩 베이스플레이트 AS 받아보신분 있으신가요? 하늘에별따귀 2012-01-29 273
46100 양지 잔여 시즌권이..10만원인데.. [4] 이순규 2012-01-29 708
46099 데크길이 급해요ㅠㅠ [16] 뺀사마 2012-01-29 413
46098 휘팍 셔틀 비용이 있나요 [2] 아람 2012-01-29 307
46097 금일 지산 웨이브- 참이슬참이슬 2012-01-29 282
46096 데크 추천 바탈레온 트윈이블 vs 오피셜 vs 캐피타 인도어 FK 부탁드려요 [1] Chh 2012-01-29 428
46095 데크 추천 좀 부탁드려요^^ [2] 루키1006 2012-01-29 206
46094 다카인 벙어리장갑 써보신분~ [6] ROKARMY 2012-01-29 601
46093 구피냐.. 레귤러냐.. 조언부탁드려요 ㅠㅠ [10] 간지보드J 2012-01-29 401
46092 말라무트+포스+펄스 조합 어떤가요? 하라균 2012-01-29 259
46091 트릭.. 무엇부터.. [6] 트릭 2012-01-29 477
46090 몽키스타 데크 쓰시는분?? [1] 세디엘 2012-01-29 408
46089 초등학생들 보드 어떻게 가르키나요???? [5] EON`S 2012-01-29 331
46088 데크 까짐 상태좀 봐주세요 file [6] 실물작살 2012-01-29 364
46087 필굿 플라잉 밀리는 현상- [4] 은빛오렌지 2012-01-29 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