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친구의 선배가 메타넷에스엔씨에서 일하는데 갑자기 자기내 회사로 취직할 생각이 없나고 하더라구요
ERP라는 전산종합업무인가 하는 회사인거 같은데 인터넷에 검색해 봐도 거의 정보가 없던데요.
연봉은 2000~2500정도 준다는거 같던데
ERP를 주로 하는 회사 근무환경이라 이런거 어떤가요?
업무가 빡신가요? 지금 근무하는 사원의 수는 15명이라고 합니다.
보통 기업정보는 어디서 얻을수 있나요?
ERP 프로그램 만드는 회사인가요?
ERP 프로그램은 보통 기업에서 많이 쓰는 프로그램인데
ERP 하는 회사라고 하면
ERP 프로그램 만드는 회사인거 같은데요?
어떤 업무를 하게 되는지 그걸 먼저.....
개발자라면......음....
부서 마다 조금씩 틀린데요
인원이 을매 없는것으로 봐서는
부서가 나눠져 있긴하지만
다른 잡업무도 한두개씩 할듯하구요
개발팀은 JAVA 또는 .NET, 기타 등등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ERP프로그램을 만들고요
아 물론 데이터베이스 관련해서도 배우고요
때에따라서 기업의 영업, 자재, 구매, 회계, 기타등등 업무도 배워야합니다.
왜냐.....고객이 이 ERP 프로그램을 쓰는데 만드는 개발자가
이 ERP 업무에 대해서 모르고 만든다는건 말이 안되기때문에....(안배울수도...)
컨설팅이나 기획이면
영업 또는 고객의 회사 입맛에 맞게끔 프로그램을 재 구성 해서 기획서 제작도 하고
고객하고 1:1로 미팅및 프로그램의 버그나 수정사항등을 받아서 정리해서 개발자한테 전달하기도 하고...
음 쓸려면 좀 많네요
워낙 다양하니깐...
선배라는 분한테 좀 직설적으로 물어보세요
그게 답인듯
아..칼퇴하느라 댓글을 못봤네요..
여자분이 하시기엔..글쎄요..이바닥..특히 SI쪽은 여자분들 그닥 반가워하지 않습니다..
물론 잘 하시는분들도 많이 계시긴 하지만..일반적으로 야근을 시키는 입장도..당사자도 서로 껄끄러워하다보니..
업체마다 조금 다를 순 있지만..현재 여기 파견나오신 분들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우리회사는 천국이랍니다..
9시 출근..6시 퇴근..야근은 거의 없고..있어봤자..서버 오픈이나 기능 오픈때 1~2시간정도 야근..
본사에서는..주 업무는 회사에서 패키지 버전업 작업을 진행하면서..
가끔 외부 사이트에서 사고 터지면 서포트해주고..
상사 눈치보느라..퇴근 늦고..
아..위에 댓글에도 말했지만..메타넷엠씨씨랑 메타넷에스씨는 본사 위치도 다르고 환경이 다를지도 모릅니다..
이 글은 메타넷엠씨씨 기준이에요..
어느 업체가 파견을 많이 한다고 할 순 없지만..
대략 ERP 솔루션을 가지고 있다면..고객사에 파견나가서 패키지 포팅, 기능 마이그레이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등의 작업을 수행할껍니다..
파견은 필수죠..
원격으로 처리하는 것 보다는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직접 얼굴 맞대고 일하는걸 더 선호하니까..
아..칼퇴하느라 댓글을 못봤네요..
여자분이 하시기엔..글쎄요..이바닥..특히 SI쪽은 여자분들 그닥 반가워하지 않습니다..
물론 잘 하시는분들도 많이 계시긴 하지만..일반적으로 야근을 시키는 입장도..당사자도 서로 껄끄러워하다보니..
업체마다 조금 다를 순 있지만..현재 여기 파견나오신 분들 기준으로 말씀드리면..
우리회사는 천국이랍니다..
9시 출근..6시 퇴근..야근은 거의 없고..있어봤자..서버 오픈이나 기능 오픈때 1~2시간정도 야근..
본사에서는..주 업무는 회사에서 패키지 버전업 작업을 진행하면서..
가끔 외부 사이트에서 사고 터지면 서포트해주고..
상사 눈치보느라..퇴근 늦고..
아..위에 댓글에도 말했지만..메타넷엠씨씨랑 메타넷에스씨는 본사 위치도 다르고 환경이 다를지도 모릅니다..
이 글은 메타넷엠씨씨 기준이에요..
어느 업체가 파견을 많이 한다고 할 순 없지만..
대략 ERP 솔루션을 가지고 있다면..고객사에 파견나가서 패키지 포팅, 기능 마이그레이션, 데이터 마이그레이션등의 작업을 수행할껍니다..
파견은 필수죠..
원격으로 처리하는 것 보다는 아직까지 우리나라는 직접 얼굴 맞대고 일하는걸 더 선호하니까..
ERP를 하는 회사는 주로 어떤근무를 하며, 근무시간이더라던지 근무 환경이 보통 어떤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