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글게시판 이용안내]

명문대생 절반이

조회 수 626 추천 수 0 2013.01.28 02:33:26

명문대생 절반 ‘상위 30%’ 부유층 자녀?

 

 

 
명문대생 절반 ‘상위 30%’ 부유층 자녀?
지난해 국가장학금 신청자 분석
이대·서울교대·고대·포항공대 등
11개대서 소득8분위 이상 50% 넘어
대학 진학도 소득따른 양극화 심각
한겨레 박수진 기자기자블로그

지난해 국가장학금 신청자 분석
이대·서울교대·고대·포항공대 등
11개대서 소득8분위 이상 50% 넘어
대학 진학도 소득따른 양극화 심각

이화여대·포항공대·고려대 등 이른바 ‘명문대’ 재학생의 절반 정도가 소득 상위 30%에 해당하는 상대적 부유층 자녀들인 것으로 추산할 수 있는 자료가 나왔다. 대학 재학생들의 계층 분포가 구체적 수치로 드러난 것은 처음이다.

24일 안민석 민주통합당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받은 ‘2012년 1학기 국가장학금 신청자 소득분위 분포 현황(신입생 제외)’을 보면, 이화여대·서울교대·포항공대·고려대 등 11개 대학에서 국가장학금을 신청한 학생 가운데 소득 8분위 이상에 속하는 경우가 50%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분위는 전체 가구를 소득에 따라 10개 그룹으로 나눈 것으로, 분위가 높을수록 소득이 많다. 8분위는 2012년 기준으로 가구당 연 환산소득이 5371만원을 넘는 계층이다.

자료를 보면, 국가장학금 신청자 가운데 소득 8분위 이상 재학생이 가장 많은 대학은 이화여대였다. 이화여대는 국가장학금 신청자 가운데 59.6%가 소득 8분위 이상이었다. 서울교대(57.6%), 포항공대(55.9%), 고려대(54.8%), 경인교대(54.2%)가 그 뒤를 이었다. 서울대(52.9%), 서강대(52.2%), 홍익대(51.1%), 연세대(50.8%)도 국가장학금 신청자 중 소득 8분위 이상의 비율이 소득 1~7분위 학생보다 많았다. 소득 8분위 이상 신청자가 50%를 넘는 11개 대학 가운데 8곳은 서울에 위치한 대학이다.

국가장학금 신청자들의 소득분위 통계는 전체 대학생 중 상위층 분포를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다. 대학생 가운데 국가장학금을 신청하는 비율이 매우 높아 통계의 표본이 큰데다, 여기에 포함되지 않은 학생들은 부유층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2012년 1학기의 경우 전국 336개 대학 재학생 204만명 가운데 153만명이 국가장학금을 신청해 신청률이 75%에 달했다. 지난해는 7분위까지만 국가장학금 지급 대상이었지만, 학생들은 자신의 소득분위를 잘 알지 못해 8분위 이상 학생도 상당수 신청했다. 국가장학금을 신청하지 않는 학생은 소득 수준이 높아 국가장학금 수혜 대상이 아니라고 생각하거나 성적이 국가장학금 수혜 기준(이전 학기 B학점 이상)에 미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연세대 09학번 이아무개(23)씨는 “나는 소득분위에 해당하지 않는 것 같아 신청 안 했다. 친구들 가운데 신청하지 않은 경우도 집안이 넉넉해서 장학금이 필요하지 않거나 성적이 안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말했다.

이번에 공개된 대학생들의 소득분포 현황은 교육 양극화 현상의 심각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임은희 한국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수능 성적 우수자가 서울 강남 등에 많다는 통계로 소득에 따른 교육 격차의 심각성이 제기된 바 있는데, 대학 진학 역시 같은 결과를 보여준다. 소득에 따른 교육양극화 현상은 이제 사회가 해소책을 고민해야 할 정도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장수명 한국교원대 교수(교육정책학)는 “한국 대학은 특목고 출신, 수능 성적 우수자 등 우수한 아이들을 뽑는 데만 골몰한다. 그러나 미국만 하더라도, 학업을 따라올 수 있는 잠재력만 평가되면 적극적 우대 정책을 통해 약자를 훨씬 배려한다. 한국 대학도 재학생의 계층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한 학생 선발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수진 기자 jin21@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김용준 총리” 발표에 빵터진 기자실, 무슨 일?
이외수 “그러시라지 뭐”…연고대 교수들 비판에 ‘쿨’
박근혜 측근들 “도대체 누구와 상의하냐”
이동흡, 폴란드 출장 중에 낙산사에 현금 기부?
현대모비스 순정부품 ‘폭리’


기사등록 : 2013-01-25 오전 07:05:43 기사수정 : 2013-01-25 오전 11:48:10
한겨레 (http://www.hani.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엮인글 :

Jay-Z

2013.01.28 04:09:53
*.194.153.153

상위 30프로면 부유층이 아닌데......

콧꾸뇽이벌렁벌렁

2013.01.28 08:06:34
*.198.11.143

상위권으로 가고 싶엉~

깡통팩

2013.01.28 09:13:07
*.218.112.140

부의 대물림.... 교육의 대물림.....

왜 결혼하나.. 편하게 살지..

2013.01.28 10:16:53
*.68.242.185

재벌 비스무리 해지면 벌써 교육하는 방식이 일반 서민들과 달라지겠죠.

돈이 많기 때문에 굳이 부모자격증이 없어도 전 분야의 전문가들을 자녀 옆에 둘 수 있어 자녀가 삐뚤어지거나 엉뚱한 방향으로 가는 것을 막을 수 있지만,

일반 서민들은 바보기때문에 무조건 공부만 시키려 들죠.
각종 학원에 보낸다던가.. ㅋㅋ
결국 나중에 커서는 돌연변이가 만들어지는 거...
(의사가 되도 의학 지식만 머리속에 잔뜩 있지 의사자질이라던가, 기타 다른 사람으로써 갖춰야될 것들이 부재한 사람이 나오기도 하죠. ㅋㅋ)

돈이 없는 일반 서민들은 부모자격증 필수라 봅니다.
본인 스스로 아동, 양육 전문가가 되야된다고 봅니다.

애 낳기 10년전부터 미리 부모가 될 자질을 집중적으로 키워놔야됩니다.
(서민은 보통 머리가 보통이니깐 10년은 노력해야될 듯..)

하지만 현실은 일단 낳고나서 생각하자죠. 수 많은 시행착오를 겪지만 이미 키워놓은거 다시 되돌릴 수는 없다는...
(물론 애를 계속 낳을 거라면 다시 시행착오 안 겪으면 되겠지만.. ㅋㅋ)

<<== 애가 애를 낳고 애가 애를 키우려는 현실임.. ㅎㅎㅎ


그 마져도 바쁘다는 핑계로 다음 번 양육때 제대로 반영이 안된다는..

더치베어

2013.01.28 12:34:10
*.111.214.44

더러운세상!

YapsBoy

2013.01.28 12:44:38
*.135.199.29

자식들의 합리화 ㅋㅋ

온새누리

2013.01.28 16:32:59
*.198.72.46

역시 한겨레 다운 기사군요

사회를 계층으로 나누고 대립시키는

ken3256

2013.02.04 10:41:14
*.159.104.35

결국 돈이 계층 구조를 만들어버렸군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sort
공지 [펀글게시판 이용안내] [13] RukA 2017-08-17 65538 9
861 은행 여직원 16억횡령..남친한테 바침ㅋㅋㅋ [18] 청담동며느... 2014-11-28 3579  
860 남친/여친이 안생기는 이유 점검 리스트 [9] 불타는고구마™ 2010-11-16 2605  
859 비트코인 세계최대 공장 file [2] 무주기린 2017-09-03 2230  
858 미국 GDP클라스 file [4] 청담동며느... 2016-11-18 2871  
857 과연 나는 몇개나???? [1] feel0723 2011-03-31 1540  
856 변신술 file [8] 다크호스s 2018-08-18 1912  
855 [펌/자체 종합] 인디언식, 중세식, 일본식 이름 짓기 종합 [4] 샤인보더 2012-01-13 1562  
854 한마디로 한국은 개판 [1] 그쵸 2013-02-14 718  
853 자식자랑 file Solopain 2018-11-28 1807  
852 남자 세명중 한명은 남자를 좋아한대요 [5] 용길이2 2015-06-19 1989  
851 소비에트식 도시락 섭취 [1] 불곰 2013-05-04 456  
850 노량진 수산시장 file [5] 딱보면몰라 2015-06-19 1750  
849 일요일마다 file [2] 가방끈 2017-08-22 1626  
848 대한민국 대장 8명 file [19] 청담동며느... 2015-11-18 3437  
847 20년 뒤에 봐요,,, [2] 내리막전문가 2011-09-23 2258  
846 성진국의 아기엄마들 [7] cydonia 2014-02-24 15311  
845 속담 100가지 tonal 2014-01-04 2280  
844 애들한테 스마트폰 사주지 마세요 [8] 펀글지기 2013-11-30 665  
843 여고생들아 외신탄다고 좋아할일이 아니야 [11] 국제창피 2010-11-18 3073  
842 흠뻑젖은 s라인 누님들 file [16] 예긍 2015-10-19 2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