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글게시판 이용안내]

독일 vs 한국

조회 수 768 추천 수 0 2013.02.05 20:39:47
 

독일 ‘73만원’ 대학등록금도 없어지나… “젊은이들 빚 때문에 학업포기 안돼”

국민일보|입력2013.02.05 18:21
 

가장 비싼 대학등록금이 학기당 500유로(약 73만원)에 불과한 독일에선 이마저 전면 폐지될 가능성이 커졌다.

독일 16개 주 가운데 등록금을 받는 2개 주에서 잇따라 폐지 움직임이 감지되고 있다. 등록금 제도가 있는 바이에른주(州)에서 이를 없애기 위한 국민청원이 진행 중이고, 니더작센주 지방선거에서는 등록금 폐지 공약을 내세운 중도좌파 성향의 사회민주당-녹색당이 승리했다. 나머지 14개 주는 등록금이 없다.

4일(현지시간) 독일 지역신문 마인포스트에 따르면 지난달 17일 시작된 바이에른주 등록금 폐지 국민청원에 지역민의 14.4%(130만명)가 서명했다. 이 지역 국민청원 최소 정족수인 94만명을 넘어섬에 따라 바이에른주 의회가 곧 주민투표 실시 여부를 결정한다. 최근 지역지 설문조사에서 주민 72%가 등록금 폐지에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의회가 주민투표를 실시할 가능성이 높다. 바이에른주 대학 가운데 가장 비싼 등록금은 한 학기당 500유로다.

국민청원은 이 지역 최대 정당인 기독교사회당(CDU) 당수이자 바이에른주 총리인 호르스트 제호퍼를 비롯해 시민사회 각계각층이 지지하고 있다. 대학등록금 폐지운동연합(DGB)의 노르베르트 치른작 사무국장은 "등록금은 부당하고 비사회적"이라며 "금 수저를 물고 태어나지 않은 젊은이들에게 등록금은 빚을 지게 하고 학업을 포기하게 한다"고 당위성을 설명했다.

등록금이 있는 또 다른 주인 니더작센주도 등록금 폐지 절차를 밟을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달 지방선거에서 승리한 사회민주당-녹색당은 이미 등록금 폐지를 공약으로 내건 상태다.

이로써 독일 대학등록금 역사는 폐지, 부활에 이어 다시 폐지로 향하게 됐다. 청강료 명목으로 소액의 등록금을 받던 독일 대학들은 1970년 함부르크 지역 대학생들이 납부를 거부하면서 잇따라 등록금을 폐지했다. 당시 청강료는 현재 돈으로 환산하면 250유로(약 37만원)였다. 이후 2007년 7개 주가 등록금 제도를 부활시켰으나 여론 반대로 이 중 5개 주가 폐지했다. 현재 2개 주에서만 등록금을 받는다.

박유리 기자 nopimula@kmib.co.kr
<goodnewspaper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사회 복지가 잘된 서구 유럽은 국가가 완전히 책임을 지고 있는 공교육 체제이다. 때문에 초등학교부터 대학까지 등록금이라 는 개념이 없다.

 

국립대학은 인재양성, 부의 재분배와 사회적 형평성을 실현하면서 사회통합에 기여하고 있다. 독일 학생들에게 수업료 없는 대학은 최소한의 기회균등을 보장하기에 국민 통합과 사회평화의 안정성을 지켜주는 디딤돌로 여겨지고 있다.

 

대학등록금이 없는 나라

특히 교육경쟁력 1위로 평가받고 있는 핀란드를 비롯하여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등 북유럽 국가에서는 대학교까지 완전 무상교육.체코, 아이슬란드, 슬로바키아,오스트리아, 에서는 대학등록금이 없다. 게다가 덴마크에서는 정부가 대학생들 열공하라고 매월 50~60만원을 주고, 스웨덴에서는 20세가 되면 1인당 2천만원 정도씩 지급한다. 핀란드와 함께 교육강국으로 손꼽히는 아일랜드 역시 대학등록금이 무료다.

프랑스: 한 해 등록금이 15만원~20만원 정도

독일: (연방국가라 각 주마다 상황이 조금씩 다르기는 하지만) 대학별로 100유로(17만원정도) 에서 140 (24만원정도)유로 사이의 등록수수료를 지불하고 있다, 아예 등록금이 없는 주도 많다. 심지어 독일의 교육촉진법은 어려운 학생에게 생활비까지도 유·무상으로 보장해 주고 있다.

오스트리아, 벨기에: 평균360유로(64만원)

네델란드: 1445유로(250만원정도)

18세부터 27세까지의 대학생들은 학생 재정지원에 관한 법령에 해당된다. 정규 중등 또는 고등교육에 등록한 모든 학생들은 집에서 독립한 경우에는 한 달에 470길더(약 225천원)를 그리고 집에서 다니는 학생들은 160길더(약 76천원)를 상환하지 않아도 되는 기본 보조금을 받을 권리가 있다. 부모의 수입에 따라 학생들은 추가의 재정 협조를 정부에 요청할 수 있다. 이것은 부분적으로 그들이 공부를 마칠 때 얼마간의 이자와 함께 상환해야 하는 대출이며, 기본 보조금과 같이 얼마간의 추가 보조금은 완벽한 선물이 된다. 재정적 지원을 받은 모든 학생들은 학생 대중교통 무료승차권('OV카드')을 받을 자격이 있다. 그것은 주말이용권 혹은 주중이용권을 선택하여, 네델란드 전역을 대중교통 수단을 제한 없이 사용하여 자유 여행할 수 있는 것이다.

스페인: 420유로(74만원정도) 사이에서 720유로(128만원정도) 정도의 등록금을 지불

어떻게 유럽은 등록금이 거의 무료일까? 단지 이들 나라가 돈이 많아서일까?

그것은 바로, 교육에 대한 가치관이 다르기 때문. 이들 나라에서는 교육을 상품으로 바라보지 않기 때문. 교육은 물이나 공기와 같은 공공재이며, 사회구성원들이 두루 차별 없이 누릴 수 있는 재화여야 한다는 것. 이들 국가에서는 ‘교육 기회 균등’이 그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사회적 합의가 있는 것이다.


유럽에서 사실 ‘교육 기회 균등’은 좌파들만 주장하는 게 아니다. 자본주의 체제를 지키고자 하는 우파들, 자유주의자들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는 원칙이다. 교육 기회가 평등해야 교육을 통한 계층 이동도 가능하고, 그래야 자본주의가 예전의 신분사회와는 다르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교육 기회 균등’은 자본주의가 그럭저럭 잘 굴러가기 위한 기본 요건인 셈. 바로 그렇기 때문에 ‘모든 국민이 신앙이나 성별, 사회적 신분, 경제적 지위 등에 관계없이 각자의 능력에 따라 교육을 받을 수 있어야 한다’는 ‘교육 기회 균등’의 이념이 근대 국가의 공교육제도의 발달과 함께 대부분의 국가에서 채택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대한민국 헌법도 이를 분명히 명시하고 있다.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헌법 제31조 1항)

영국제외하고 서유럽 대부분의 국가가 대학까지 무상교육이다.

 

그러나

한국에서 무상의보, 무상교육은 민노당이나 진보신당 정도에서 주장하는 데, 빨갱이 취급받는게 현실이다. 그러나 OECD 회원국 기준으로 보면 오히려 그렇게 하지 않거나 그에 준하지 않는 제도를 시행안하는 나라가 소수다.

 

한국에서는 대학졸업장이 신분 상승의 기회와 수단 중의 하나로 인식되어 왔지만 어느 틈엔가 대학진학은 경제적 능력이 없는 사람에게는 점점 어렵게 되었고, 설사 진학한다 하더라도 어려운 주위여건 때문에 학업을 계속 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 더욱이 인간다운 삶을 누리기 위해서는 대졸 정도의 학력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교육열만큼은 어느 국가보다도 높다. 권력과 부를 누릴 수 있는 수단인 교육에서 기회가 균등하지 못하다는 것은 결국 기득권층에게 기득권을 유지, 보장 및 세습시켜 사회적 불평등을 가져온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세칭 일류대 합격자 수 분포는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부유하고 생활이 안정된 서울 강남출신 합격자수가 상대적으로 빈곤한 강북출신보다 월등히 많고, 또 농촌출신보다 도시출신 합격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고, 관리직·전문직 종사자 자녀의 합격 비중이 점점 높아져 가는 것이 현실이다. 이는 경제적 약자나 시골 수험생들의 머리가 나빠서가 아니라 주변 환경이나 부모의 경제력 때문에 교육환경이 좋지 않았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아무리 ‘수익자 부담 원칙’이라지만 사회 통합을 이루기 위해서는 등록금 인상은 한번쯤 재고되어야 한다. 지금 우리가 가진 과제 중의 하나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이미 제도화되고 고착되어가고 있는 기회의 불평등을 통한 가난의 세습을 제도적으로 개선하여 소외 계층의 자녀들이 대학 교육을 안심하고 받을 수 있도록 교육의 기회 균등을 실현시켜 나가는 것이다. 자유민주주의 시장경제 하에서 치열한 경쟁에서 오는 결과의 평등은 이루기 힘들겠지만, 출발선상에 있는 누구에게나 기회의 균등을 보장하는 것이 사회 평화를 위한 최소한의 안전장치이며 교육의 공공성을 높임과 동시에 이것이 결국 사회통합과 국민통합으로 사회분열과 혼란을 막을 것이다.  

엮인글 :

22

2013.02.05 22:17:22
*.51.3.22

◀|
●●● http://po123.wo.ro ●●● 성인화상채팅 거유녀들 모임 핑크 ㅂㅈ 구경하러가자 ..화려한 자위쑈~~ㅂㅈ 물질질싸네~

토니모리

2013.02.05 22:25:26
*.156.35.216

학비장사..해야죠

33

2013.02.06 00:11:34
*.198.129.102

◀|
●●● http://po123.wo.ro ●●● 성인화상채팅 거유녀들 모임 핑크 ㅂㅈ 구경하러가자 ..화려한 자위쑈~~ㅂㅈ 물질질싸네~

1주일보더

2013.02.06 00:49:03
*.210.46.228

이런거 보면 힘만 빠지죠... 등록금 제도 고치려고 했다가 선거에서 응징 당했었죠..

권영대

2013.02.06 05:14:43
*.98.4.68

-_________________-;;;;;;;;;;;;;;;;;;;;;;;;;;;;;;

웃는치타

2013.02.06 06:21:07
*.97.99.47

하아..또 한숨이 늘어가는군요 ㅎ

ken3256

2013.02.06 09:00:59
*.159.104.35

에효.... 저게 투표의 힘인데..

개나소나

2013.02.06 13:34:55
*.201.90.157

무상이라고 해서 한민국처럼 우루루 몰려 죄다 가지도 않을 듯 싶네요.

아마 우루루 몰려가면 무상으로 할 수도 없지 않을까요..

이 나라는 직업에도 귀천이 많기에...

학력도 매우 중요하고...(아직까지는.. 여전히..)

솔직히 대학 가는 비율이 이렇게까지 많을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부모 등골빠지고 매우 비효율적인 구조죠.

청소부 될 사람은 미리 그쪽으로 가서 열심히 해서 성공하면 되는거지..
대학까지 나와서 청소부를.... ㅎㅎ

공부가 길이 아닌데 억지로 시킬필요 있는건지..
최소한도로 가르치고(대신 평가는 엄격하게 해서 통과는 하도록..)

빨리빨리 다른 길 찾도록 해줘야하는데,

개나소나 돼지나말이나 무조건 대학가야됨.

나중에라도 혹시라도 대학공부가 필요하면 얼마든지 갈 수있도록 구조가 개선되야된다는...

닌자보더~

2013.02.17 14:36:46
*.139.165.210

자신의 선택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모르는 국민은.........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추천 수
공지 [펀글게시판 이용안내] [13] RukA 2017-08-17 65549 9
5961 부산일보사, 신문발행 전격 중단 그네꼼수 2011-12-01 775  
5960 택배가 늦게 오는 이유 [3] 지누킴 2014-04-11 775  
5959 여고생들의 흔한 비율 [5] 요쯤 2013-05-20 775  
5958 반도 드라마계의 꿈나무 [1] 코코볼이당 2012-11-16 775  
5957 미국 경제지 선정 최고 가치상 13개 모델, 국산차는 '0' file [3] 시게노고로 2014-02-11 775  
5956 어느나라나 예쁘면 용서가 되네요 ㅋ [4] Gerry 2014-05-08 774  
5955 스마트폰 때문에.. 열시미 2012-10-23 774  
5954 천조국 여자 볼보이 클라스 [26] 다람천사 2013-11-26 774  
5953 우리가 태어날 시대를 고를 수 있다면? 과거vs 미래 file [3] Solopain 2024-03-14 774  
5952 토론의 주제......... file [4] TheGazettE 2014-06-25 774  
5951 ㅋㅋ :D 리틀 피플 2011-12-02 774  
5950 6호선 외로운 러너 file [5] 또또토토 2014-02-13 774  
5949 공안정국 사찰왕 ㅇㅇ 2012-04-10 774  
5948 신정환 돌려까기 수수수8 2014-03-23 774  
5947 - 파울로 코엘료의《브리다》중에서 - kukihaus 2011-05-02 774  
5946 원더걸스 - Be My Baby 비욘세 한국... 2011-11-08 773  
5945 [컬투쇼] 남남 소개팅 [1] DandyKim 2014-02-10 773 1
5944 50만원 결혼식 소리o file [2] 또또토토 2014-04-04 773  
5943 독수리 슛 [4] 수수수8 2014-03-01 773  
5942 달팽이별의 우주시인 [2] 폐인28호 2012-04-26 7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