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번쨰 요령입니다.

앞선 글과 마찬가지로.. 저는 독학으로 부딫혀가면서 배웠습니다.

그냥 정규코스를 강습받으시는게 제일좋은 방법이지만...

 나는 도저히 안된다...

 그게 어떻게 되는가!!

하라는데로 하는데 내몸은 인류의 진화과정 밖에 있다!

이런 분들을 위해서 작게 나마 야매 팁, 요령을...그리고 자신감을 드리고자 써봅니다.^^

 

사실 수많은 자세들이 있는데 안전성의 제외하고 자세들의 핵심은 폼이 나느냐 안나느냐입니다.

간지죠.

여기서 이야기 할 것은 업다운입니다.

엄청나게 많이 들었는데 그게 뭐? 라고 하시는 분들이 많을지도 모른단 생각이 들어요.

저처럼 몸으로 부딫히신 분들은 특히 더...

하지만 업다운을 잘하는 것은 라이딩시 안정감을 부여하고 수월한 엣지체인지를 통해서 리드미컬하고 유기적인 턴라이딩을 실천할 수 있게합니다.

쉽게이야기해서 넘어질까봐 턴할때 불안불안 하고 달달달 떨리는 자세가 아니라 부드럽게 턴하고 안정적으로 주행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그런 것이 가능할까요?

 

바로 이것입니다.

그림판으로 그린그림이라 양해를....

updown.jpg

 

 

위 그림에서 별표가 무게중심입니다.

무게중심이 낮아지면 진행체 전체의 안정감이 높아지고 주행시 좌우로 흔들리기 힘들죠 그리고 프레스 때문에 데크가 펴져서 안정적으로 엣지를 길게 사용하게 되면서 주행이 안정감있어집니다.

이렇게 주행중에 턴을 하고싶다 그러면 무게중심을 올린 업을 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좌우로 (보드위에서는 앞뒤가 되겠죠?) 쉽게 흔들수 있고 프레스가 약해져서 데크의 마찰력이 약해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턴을 할 수 있게 됩니다!!!

즉 안정감있게 가다가 짜르고 쉽게 턴을 할수 있기 때문에 업다운이 필요하다 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함정이 있습니다.

특히 다운에서 함정인데요...

다운은 몸을 낮추는 것이지 몸을 숙이는 것이 아닙니다.

다음 그림을 보시죠.

pq.jpg

 

마찬가지로 별표는 무게중심입니다.

몸을 숙이는 경우 몸전체는 낮아지지만 무게중심이 보드를 벗어나므로 앞으로 또는 뒤로 고꾸라지게됩니다.

많은 분들이 "토우턴할때 앞으로 넘어질 것 같아요"라는 질문을 하시는 이유이리라 생각 되어집니다.

그러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좌측입니다. 무게중심을 낮출 때는 그 무게중심이 보드 위에 있어야 안정적입니다.

고로 앞에서 본경우 저렇게 오각형모양처럼 되겠죠^^

그냥 "몸을 낮춰야해" 가 아니라 "무게중심을 보드에 가깝게 해야해"가 좀더 정확한 표현이라고 하고싶네요^^

일반적인 턴을 연습할 때 무릎을 통한 업다운을 조금씩 연습하면 나중에도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고 훨씬 자세가 이뻐집니다.

수구리업다운말구요!!!!

 

그리고!!! 나는 아직 S자로도 못가는데 업다운이 왠말이냐!!! 라고 생각하시는 분들!

낙엽으로 업다운 연습이 가능합니다!!!

 

처음 시작할때부터 진행방향을 보고 다운하시구요. 프레스주시면서 주행하고 멈출때 쯤 천천히 일어나면서 업을 하시는 겁니다.

회전관성이란 녀석때문에 다운했을 때 보다 업을하면서 익스텐션하면 속도가 줄게되거든요^^

이런식으로 업다운에 익숙해진 다음에 로테이션! S자로 진급하시면 훨씬 이쁘고 알차게~!!! 자세를 만드실 수 있을꺼에요!!!

 

물론!!! 전문가의 친절하고 체계적인 강습을 받는 것이 가장좋습니다..

 

다만 업다운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하여

그리고 어느순간 막힌 독학보더들의 원포인트를 위하여 부족한 실력이지만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언제가 될지 모르지만 다음이시간에 뵈요^^

 

 


칠리

2013.02.06 22:29:31
*.43.162.30

참 재미있게 잘써주셨네요~~~~감사합니다~^^

YanGil

2013.02.06 22:31:36
*.7.38.15

아휴 아닙니다. 제가 감사하죠^^!!

샤오사랑

2013.02.06 22:54:06
*.219.53.63

5각형 그림은 이해가 힘드네요 ㅠㅠ

무슨 뜻인지 ㅜㅜㅜㅜㅜ

YanGil

2013.02.06 22:51:17
*.7.38.15

허리만 수구려서 ㄱ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그대로 앉고 상체가 진행방향을 보니까 진행방향에서 볼때는 보드, 어깨, 머리가 오각형이 되는거죠^^ 중요한것은 무게중심의 위치인데 5각형으로 그린 가장 큰 이유는 무릎만 굽혀서 기본자세 그대로 내려가는 것을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에요^^

 

 

그냥... 이런느낌일까요??

제목 없음.jpg

첨부

샤오사랑

2013.02.09 14:58:40
*.209.138.16

아하 이제 이해가 됩니다 ^^

댓글 감사해요~~~

윤쟈

2013.02.07 11:10:41
*.239.44.130

진짜 최고세요!

YanGil

2013.02.07 12:21:45
*.194.22.146

끄헝~ 감사합니다!!^^

하얀상처

2013.02.08 11:12:47
*.196.28.21

저같은 독학보더에게 단비와 같은 좋은 말씀이십니다!

YanGil

2013.02.08 12:43:10
*.194.22.146

끄헝... 저도 독학보더라.. 이리저리 굴르면서 . 옳은길을 찾아해매고 있답니다.. ㅠㅜ

반중력

2013.02.22 06:24:28
*.178.29.211

몸 낮추려면 고개 세운 채로 팔을 최대한 보드에 가깝게 낮추면 다운은 저절로 됩니다. 


다운이라는 것이 상체를 아래로 누르는 것이지 의도적으로 다리를 굽혀서만은 안되는 이유가, 다리만 낮추다 보면 무게 중심이 허리 위로 가게 되어 그렇습니다. 

가장 좋은 것은 어깨를 땅으로 누른 다는 느낌으로 쭈욱 내리시거나, 팔꿈치를 내리시면 됩니다. 


상체를 숙이는 방식은 후경카빙에서 사용합니만, 이 때도 고개는 서 있어야 합니다. 



반중력

2013.02.22 06:26:08
*.178.29.211

외람된 이야기지만, 


어깨를 누르는 것을 잘 하는 외국 프로라이더 중에, 호그모가 있죠. 


에어 후, 어깨를 다운 시켜버립니다. 다리만 접는 것이 아니라. 


그래서, 에어 동작이 이쁘죶.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sort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