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용평에서 서식중인 불우한 유부보더입니다.

우선 제 약력(?)을 알려드리면  강사자격증 하나 없으며, 나의 스승은 동영상이요, 나의 친구는 동영상을 모토로

슬로프에서 지인 몇명(회사동료 및 동생)을 제외한 동호회 가입경력도 전무한 라이더입니다.

특히 올시즌은 5회도 라이딩을 못탔으며, 회사에서 동영상을 보며, 이미지 트레이닝으로 라이딩만 수백번 타고 있는 중입니다.

 

게다가 이 설연휴에 출장 및 업무로 사무실에서 멍때리다 최근에 라이딩 하면서 느낀점을 간략히 남겨보고자 합니다.

심도있고 자세한 칼럼은 아니고 날림 칼럼이니 비추천도 환영합니다. ^^

 

제가 04년도에 처음 보드에 입문했을때 헝그리보더에 화두는 단연 카빙이었습니다.

당시 유행은 고릴라턴(상체를 닫고 타는 카빙)이었고 어깨를 열면 다굴이 당하던 시절이였죠

그러던중 08년(?)쯤부터 슬라이딩턴이 유행을 하고, 최근엔 급사카빙이 유행을 하기 시작하더랬죠

저또한 이러한 유행(?)에 맞춰 나름 동영상 선생님들의 강의와 함께 라이딩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도 요즘카빙을 하면서 문제점이 하나가 생겼는데 토턴시 역로테이션을 통한 어깨를 오픈한 상태로

턴 진입을 하다보니 토턴시 전반적으로 뒷발에 하중이 너무 집중이 되다보니 자세가 불안정해지더라고요

또, 상체와 슬로프가 가까워지면서(뒷무릎이 슬롶에 닿거나, 손을 쓸게 됨)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그래서 열려있던 상체를 닫아준다는 생각으로 타니 앞쪽 골반을 눌러주면 앞발도 같이 눌리면서 턴이 안정이

되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 골반을 신경쓰면서 타는 것이 여간 신경쓰이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어디서 주워들은 린아웃에 대해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린아웃.JPG

(대부분 린아웃 그림은 저작권때문에 제가 그림판에서 급조한 그림이니 네이x나 다x에서 검색하시면 더 좋은 그림을

보실 수 있습니다.)

 

제가 생각하는 린아웃은(정확한 지식이 아님) 어깨를 사면에 수평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그래서 토턴시 역로테이션으로 인한 오픈자세로 진입후 어깨를 닫아줌과 동시에 어깨를 슬롶과 수평을 맞춰준다라는

생각으로 턴을 하니 골반과 함께 허리도 턴의 안쪽으로 눌러주니 더 안정된 라이딩을 할 수 있었습니다.

 

힐턴도 마찬가지로 로테이션과 함께 어깨를 수평으로 맞춰준다는 느낌으로 하니 허리가 턴의 안쪽으로 들어가면서

훨씬 엣징이 강해지고 턴이 전반적으로 안정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이전 자세로는 레드메인에서 카빙은 불안해서 시도를 잘 안했는데 이러한 느낌을 느낀 이후로는 레드 중상단이상에서

롱카빙을 하여도 턴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었습니다.(잘 하지는 못합니다. ^^;;;) 

 ikumi.JPG

ikumi2.JPG

제가 좋아하는 라이더는 제프 챈들러하고 미야자키 이쿠미입니다.

위 캡쳐는 미야자키 이쿠미의 토턴과 힐턴의 이미지입니다.

저는 위와같은 이미지로 턴을 하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급결론으로 카빙시 골반 및 허리를 턴안으로 넣어주면 훨씬 강한 프레싱과 안정적으로 턴이 가능하다

다만 이 골반 및 허리를 사용하기에 조금 어려움이 있으나 이것을 린아웃(어깨의 라인을 슬롶과 수평되게 맞춤)을

통해 수월하게 적용할 수 있다가

제가 생각한 칼럼의 주 내용입니다.

 

급하게 쓴 칼럼이니 비추 및 지적(내용수정) 환영합니다. ^^ 전 쿨하니까요

남은 시즌 안전보딩 하세요


또다른내일

2013.02.11 09:36:55
*.205.79.221

좋은 내용 잘 봤습니다.

그럼 토턴시 어깨를 열고 진입해서 슬로프 라인과 어깨라인을 수평을 맞추기 위해 어꺠를 점점 닫으면서 

턴을 마무리 해야 하겠군요. 

어깨를 닫는 시점은 어디쯤 인가요? 턴의 중반인지 턴을 마무리 하면서 닫는지.


민스™

2013.02.11 10:34:36
*.157.217.149

턴의 종류(롱,미들,숏)에 따라 천천히(롱) 빨리(숏)의 차이는 있지만 로테이션(닫는, 여는) 시키는 시점은 턴의 종류와 상관없이 같다고 생각하는데 저의 경우엔 폴라인으로 하강하는 느낌을 좋아해서

토턴의 시작과 동시에 닫기 시작하여 턴의 정점에서는 하체와 상체가 거의 일직선(?)으로 진행하다 턴의 마무리에 상체를 하체보다 더 로테이션 시키는데 마무리는 상체(왼팔)를 쳐준다는 느낌으로 하고 있습니다.

힐턴은 반대로 닫혀있던(토턴 마지막에 쳐주면서 닫았던) 상체를 열기 시작하면서 정점에 거의 오른손이 다리 사이에 오는 정도로 하다 마지막에 마찬가지로 상체(왼팔)로 쳐준다는 느낌으로 턴을 마무리합니다.

 

저의 경우입니다. ^^;;;;

 

백만송이장미를

2013.02.11 12:23:33
*.143.96.72

"제가 생각하는 린아웃은(정확한 지식이 아님) 어깨를 사면에 수평상태로 만들어 주는 것이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린아웃(외경)의 개념을 잘 못 알고 계신 거 같네요

아래 라메르님의 글에 알기 쉽게 나와있네요

린위드, 린아웃, 린인, 행온

 

어깨를 사면에 평행한 상태로 만들어주는 목적은

지나친 전경이나 후경을 방지하기 위함이라 알고 있습니다

민스™

2013.02.11 13:08:15
*.223.37.181

제가 개념을 잘못 설명한것 같네요
린아웃을 쉽게 하기위해 어깨를 수평으로 해주는 것이 좋다라고 적었어야 하는것 같네요

보드에서 말하는 린위드란 데크의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몸의 중심이 같이 움직이게 되면 린위드 몸의 중심이 데크 안쪽으로 들어가면 린인 몸의 중심이 데크 밖으로 나오면 린아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드에서 린아웃을 주려면 제 생각엔 허리를 기점으로 상체를 들어주거나(토턴시) 앞으로 굽혀야(힐턴시) 하는데요
예를들어 토턴시 배내밀고 상체 들면 그것도 린아웃 힐턴시 상체를 수구리고 타도 린아웃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말하고자 했던건 로테이션 중에 어깨를 사면에 수평으로 하면 쉽다라는것을 설명하고 싶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백만송이장미를

2013.02.11 13:25:00
*.143.96.72

레드에서 롱카빙,,, 존경합니다 ^^

민스™

2013.02.11 13:28:51
*.223.37.181

아 그리고 장미님 말씀처럼 전 중 후경 방지는 종방향의 수평이고 제가 쓰고자 했던건 횡방향위 수평을 말합니다
날림으로 급하게 썼더니 이러네요 죄송합니다

50/50

2013.02.14 08:46:37
*.197.199.75

이번주말 용평에 가는데..한번뵙고 같이 라이딩을 해봤으면하네요^^ 저두 직장인이라 자주는 못가거든요..

동영상도 찍어드릴수있는데ㅎ 기회가됐으면 좋겠네요^^ 연락처는 쪽지로~~드립니다

민스™

2013.02.15 18:20:14
*.7.24.51

안타깝게 주말은 가정에 봉사해야해서요 ㅠㅠ
전 월요일 오전 웰팍 수요일 야간 용평 들어갈듯 하네요

라이딩만1년째

2013.02.14 08:50:53
*.197.199.75

오래전..이쿠미 동영상을보며..아!!했던기억이 나네요^^ 덕분에 한번더 생각하게됩니다~

민스™

2013.02.15 18:24:55
*.7.24.51

감사합니다^*

kulcul

2013.02.22 13:38:03
*.62.172.51

제가 이해력이 좀 약해서 그런데요. " 어깨를 사면에 수평으로 하면" 이게 무슨 말인지 감이 잘 안오네요. 보드 타면서 어깨가 수평이 안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이지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추천 수 조회 수sort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807
137 장비 관련 오클리 고글 렌즈의 종류, 용도 분류 및 빛 ... [3] ... 2002-11-21 39 13590
136 기술(테크닉) 라이딩중 전경 후경의 이해 - 1. 전경후경과... file [32] Lunatrix 2014-01-21 46 13615
135 의학,부상,사고 [의학] 머리에 충격을 받으면 꼭 CT촬영을 ... [7] HT 2002-12-18 15 13673
134 기술(테크닉) [그라운드트릭] FS180 알고보면 쉬운 3단계 팁 file [19] 가고일~* 2011-11-01 5 13679
133 초보를 위한 강좌 스노우보드의 정통은 여기뿐입니다~!~! [68] 조로아찌 2015-12-14 3 13686
132 장비 튜닝 [아메바 6탄] 낡은 고글 스펀지 & 밴드 교체... [28] 똥싸개아메바 2006-08-20 31 13701
131 기술(테크닉) 스노보드 움직임 file [3] 문박사 2019-11-04 5 13702
130 장비 관련 대륙의 EG2 [27] Electric 2009-11-24 61 13800
129 기술(테크닉) 업다운 자세와 앵귤레이션의 정확한 이해 [29] 식물인간~┿_┿ 2010-11-08 4 13825
128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3.두 개의 턴 file [48] Lunatrix 2016-12-18 147 13866
127 CASI CASI 에서 설명하는 턴의 종류 [37] grindays 2008-12-10 64 13899
126 기술(테크닉) 비기너 턴과 로테이션 - 2.로테이션 file [16] Lunatrix 2014-11-19 19 13965
125 기타 수제 비니를 만들어 봅시다~ (수정) [108] 신사장 2006-10-30 50 13985
124 장비 튜닝 커플헬멧에 세나SMH5 장착후기~~ file [18] 와플곰돌이™ 2014-12-03 3 14008
123 기술(테크닉) 전향 카빙이 안되는 이유(답은 따운이다!) [29] -Double.J- 2017-09-10 50 14027
122 절약법 과속카메라..무인카메라..덜찍히는법? 덜당... [22] 김구라. 2003-09-25 11 14064
121 기술(테크닉) 카빙과 급사 - 2.급사 라이딩이 어려운 진짜... file [31] Lunatrix 2016-11-23 71 14072
120 장비 관련 스노보드 부츠 센터링 [18] 까앙 2009-07-21 105 14088
119 기술(테크닉) 널리 360 [54] 루키로컬 2008-02-19 78 14098
118 장비 관련 버튼 바인딩 셋팅 [22] BigZ 2008-02-14 105 14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