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번글이 두서가 없고 제가 보아도 무슨말인지 몰라서 수정했습니다.

정성을 드려 써야 하는데 워낙 필력이 없다보니  그렇게 되었습니다.

밤새면서 수정했는데 저의 머리가 빙빙 돌는 군요 이만 잠자야 겠어요ㅠㅠ

 

먼저 알아야할 사항

1  업 이란 무었인가---다리가 펴지고 몸이 일직선이 된 상태(프레스와 연관 금지, 그냥 상태임)

 

2  다운 무었인가--다리가 접히고 몸이 쭈그러진 상태(프레스와 연관 금지,그냥 상태임)

 

3  주의 할점-- 업, 다운 (업=프레스뺀다, 다운=프레스 준다라고 연관시키면 다운언웨이트를 이해하지 못함)

 

4  프레스는 업 상태에서도 줄 수 있고, 또는 다운 상태에서도 줄 수 있음.

 

******업 언웨이트 에 대하여

*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보딩 방식

* 다운의 자세에서 프레스를 주는 방식

* 다운 을 프레스로 인식하지 말것

* 업의 자세에서 체중을 빼라 (다리가 펴지고 몸이 일직선이 된 상태) -체중빼는 이유 엣지체인지 위함

===============================================

******다운 언웨이트

*  빠른 속도, 위험 인지시 급격한 에지첸지, 모글 등에 사용함

* 다운시 체중을 빼라 ( 몸을 낮추면서 프레스 주라는 것이 아님에 주의)

*  업의 자세에서 프레스를 준다 (다리가 펴질때 프레스를 준다)

 

*  다운이란 말을 프레스 주라는 것으로 인식하면  다운언웨이트를 절대로 이해 하지 못함.

* 다리가 펴지고 몸이 일직선의 될때 프레스가 정점이 됨 - 이시점에서 다리를 접으면서  엣지 체인지 함.

* 약간의 허리 로테이션을  (로테이션 많이 줄 시간이 없음) 주면 박진감이 배가됨.

****연습을 원하시면 --토턴시 다리를 쭉 펴고 몸을 일직선으로 만들면서 프레스를 줍니다. 프레스가 강하게 느껴지면 다리를 접어 보세요. 감이 잡힐 겁니다.

 


 

그리고여

눈 많이 왔을때 급사면에서

급사면은 낙차가 크쟎아요 큰낙차를 이용해서

낙하시 보드 베이스로 다리펴면서 눈을 치고

순간(압력이 옴과 동시에 다리 접으면서  질주하면

스펀지를 밟는 느낌이 나고 눈발이 가슴까지 올라오면서

기분이 짱나요. 

한번 해보세요.
혹시 이런 느낌의 턴을 해보신분 있나요?

새로운 턴인줄 알았는데  결국은 다운 언웨이티드턴으로 결론 지었습니다.

엮인글 :

vapor(&)rainbow

2013.02.17 12:08:09
*.36.135.54

좋은글이네요. 제가 다운언웨이티드턴을 연습하고 있다고 했더니 어떤 강사자격증있는 사람이 그러더군요 그턴은 5년전에 유행했던 턴이야 지금은 누가하는 턴이 대세야 그러면서 저에게 한마디 더 던지더라구요 숏턴의 목적이 뭐야?라고... ㅎㅎ 자격증이 너무 남발 된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ㅎㅎ

알리알리짱

2013.02.18 09:55:14
*.54.2.233

감사합니다.

멋진 다운언웨이티드 턴, 업 언웨이티드턴을 완성하셔셔

보드강국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OhSean

2013.02.17 14:08:42
*.50.20.41

"업, 다운 을 프레스와 연관 시키지 말것"

 

키 포인트를 팍 집어주시네요.

그림, 비디오 보다 요 한문장이 핵심.

 

 

예전엔.....구지 왜 이런걸 구분 할까.... 생각했었는데,

독거보더 묵언 이미지 수행이 아닌이상,

여러 보더들과 기술적 대화의 공통 용어가 필수 더군요.

도움이 됩니다.

 

 

반면

 

숏턴의 목적?

카빙의 목적?

한때 요런것도 고민 했었는데,

괜히 논쟁에서 우쭐대는 공격수단일뿐,

보딩이나 기술 토론에 큰 도움이 안되는것 같다는 생각.

 

 

 

알리알리짱

2013.02.17 18:27:36
*.146.43.126

글을 이해하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꾸뻑^^

 

글로 표현 하자니

"업=프레스빼고  다운=프레스 주라"는  고정관념을 버려야  다운 언웨이트를 이해할 수 있다는 취지 입니다.

제가 고정관념에 빠져서 다운언웨이트를 이해하지 못했고요  이론을 정립하지 못하였으니  턴이 되다가 안되다가 엉망이었습니다.ㅠㅠ

이론이 정립이 되니깐  

업언웨이트  다운언웨이트  자유자재로 구사합니다.(폼은 엉망이라도 나의 의지대로 맘대로 바꾼다는것 또하나의 즐거움입니다.^^)

 

다소 어려운 글이 될 수도 있습니다.

이글을 이해하셔서

몰랐던 분들이  또다른 보딩의 매력을 즐기셨으면 합니다.

 

 

gons

2013.02.17 22:27:27
*.19.168.165

올해 시작한 초본데요.

제가 생각하는게 맞는가 궁금하네요.

 

업 언웨이트 - 다운할때 다리에 힘을 주고 상체를 내려서 주저앉는 느낌.

                    업할때 다리에 힘을 빼고 상체를 올리는 느낌.

다운 언웨이트 - 다운할때 다리에 힘을 빼고 다리를 올려 접는 느낌.

                        업할때는 다리에 힘을 주고 다리로 눈을 미는 느낌.

 

이런 이미지로 연습하는데 맞는건가요?

알리알리짱

2013.02.18 10:27:45
*.54.2.233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뜯어서 보면 틀린것도 있어요 ㅋ)

글이라 의사를 전달하는데 한계가 있습니다. 이점 감안하세요.

단지 프레스에 대한 말씀이 없어서

부연합니다. 

업 언웨이트 - 다운할때 다리에 힘을 주고 상체를 내려서 주저앉는 느낌으로 프레스를 준다.(자신의 체중을 눈에 싣는다)

                    업할때 다리에 힘을 빼고 상체를 올리는 느낌.(완전히 일어서라는 의미-이때 하늘로 솟구친다는 느낌)

 

이렇게 하는 이유는  엣지체인지를 원활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그네 타듯이 엣지 체인지 하면 "그네턴"이 되는 것이예요.(초보 중급 동영상 보면 그네턴을 많이 이용하는게 보여요-나쁘다 좋다는 없어요 즐기면 되니까요)

지ㅁ스ㅇ

2013.02.17 23:54:26
*.35.48.33

잘봤습니다

 

그런데 다운=프레스로 인식하면 절대로 다운언웨이티드를 이해 못하는건 아니라고 생각하네요^^

 

시각을 바꿀 수 있는냐 없느냐의 차이일뿐이죠..그리고 다운을 주는 본질적인 이유를 이해 못해서 인것 같고요^^

 

하지만 저도 얼마전까지 다운언웨이티드가 잘 이해 안갔던건 사실이고 이글은 저같은 이해력 딸리는 사람들에게 다운언웨이티드를 설명 해줄 수 있는 좋은 글인 것같네요^^

 

좋은밤되세요~

알리알리짱

2013.02.18 09:50:41
*.54.2.233

글을 쓸땐  자기 중심적으로 쓰게 됩니다. ㅜ ㅜ

제가 다운이 프레스로 인식이 되었어요.

당연히 "다운 언웨이트" 를  프레스를 주면서 언웨이트 라고 여겼지요.

이것이  이해가 되다가 안되다가 합니다. (어떤때는 이해가 되기도 합니다.ㅠ)

그러니까  턴이 왔다리 갔다리 하게 되더군요.

턴이 되기도 하고 안되기도 한고 - 미치겠더군요. 여러가지 동영상 아무리 봐도  해답을 못찾겠더군요.

그래서 그러한 표현을 썻습니다.

님에게 혼선을 초래하였다면

바다와 같은 아량으로 용서하여 주세요.

지ㅁ스ㅇ

2013.02.18 12:11:35
*.111.5.144

아니에요 그렇게 까지말씀하시면 제가 너무 죄송하지요 저도 무지하게 헷갈렸던데 사실인데요
너무 신경쓰지마세요 그져 저도헷갈렸던부분이고 해서관심있게 보다가 글을 남겼을뿐입니다
많은분들께 도움이되는 글을 남기셨어요
좋은하루보내세요

고메

2013.02.19 11:33:43
*.127.225.31

항상 글들을 보면 비추는 뭘까요 ㅎ

요즘들어 2개를 섞어서 타는데 보딩이 무지 더 재밌어졌습니다

엣지체인지 후에 호를 그리며 탈때는 다운 (리바운딩을 하면서 날을 찍어버립니다)

직선구간에서는 다음 턴까지 천천히 업하면서 프레스 주면서 타고 있어요

문제는 상체는 보조적인거 같아요 우선 다운하면서 구부렸던 무릎을 펴주는게 우선이고

거기에 상체까지 펴주면 더 효과가 좋은거 같아요

응용하면 날이 불안할때 살짝살짝 일어서면서 프레스주는 센스~

단점 : 허벅지 장단지가 평소보다 더 무리가서 장시간 보딩 시 허벅지 장단지 터져요 -_-

알리알리짱

2013.02.19 14:55:41
*.54.2.233

그쵸!  섞어타면   잼있쵸!

짜장먹다  우동먹다   에라! 짬뽕으로 먹자!  (섞어 먹는 재미와 동격 ㅋ)

 

허벅지 실핏줄 터지죠.(실제 터지는것 아니고 느낌요)

허벅지 두께 엄청 부러버들 하지요 그쵸!

 

"다음 턴까지 천천히 업하면서 프레스 주면서"

다음엔 여기에 대해서 쓰려고 했어요.

단지 누구에게 배운 것이 아니고 스스로 깨우친 것이라

 망설여 집니다. ㅠㅠ

 

kakez

2013.02.20 06:28:02
*.7.18.28

한방에 이해되네요~ 업언웨이트에서 다운프레스 개념만 박혀서 다운언웨이트 이해안됐었거든요 ㅋㅋ 감사합니다~

알리알리짱

2013.02.20 13:45:49
*.54.2.233

앗!

갑자기 몰려오는 고마움이 .......... 감사합니다.

 

모든 보더님들이  업언웨이트 다운언웨이트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그날 까지 ㅋ

구르기만랩

2013.02.21 17:58:34
*.87.60.230

저 물어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저두 글쓰신분 처럼 걍 짬뽕으루 타구 있습니다 ㅎㅎ

그런데 다운언웨이트로 롱턴이 가능할까? 이게 저의 궁금점입니다. 이상하게 원리는 이해 가는데....

 

업언웨이트로 롱턴 하는건 몸이 받아 드리면서도... 다운언웨이트로 롱턴은... 상상도 안가고 실행도 못하겠더라구요...

 

그리고 다운언웨이트하면... 전 양허벅지 다 아픈에 이게 제대로 타고 있는지.... 궁금하네요 ㅎㅎ 가끔은 뒷발이 더 아프기도...

 

 

백만송이장미를

2013.03.10 16:05:56
*.184.130.178

다운언웨이트로 롱턴 업힐턴까지도 가능합니다

단지 프레스가 증가하는 동안 무게중심이 높아지고 무릎이 많이 펴진 상태라서

슬로프의 요철에 따른 불규칙한 프레스의 변화에 대처하기가 어려워

미들턴 이상에서는 비효율적이라고 볼 수 있겠지요

알리알리짱

2013.02.21 23:38:51
*.146.40.180

짬뽕턴 잼있죠.ㅋㅋ
 
-  다운언웨이트로 롱턴은 현재의 기술로는 힘들것으로 봅니당.
    (다만 익스트림카빙의 변곡점에서 다리를 접어 언웨이팅주면 비스무레 할것으로 봅니다)

 

-  상상하시고 개발해 내신다면 세계적인 인물이 되겠죠.

 

-  허벅지 마비되요. 마비되기전에 살며시 쉬었다가 다시 타셔야 안전합니다.
    대신 허벅지가 엄청 굵어 집니다. 

 

-  현재 다운언웨이티드 동영상은 매우 드물어요.(업다운이 명확해야 하는데 거의 그네턴 수준의  동영상이 많아요.

알나슬

2013.02.22 08:32:10
*.70.53.146

전 매우 초보입니다. ㅎㅎ 다운 언웨이티드 턴은 하지 못하고 둔덕 통과시에만 활용합니다.

1. 원심력이 없는 상황에서 (다운 액션) 와중에는 감압 발생
2. " (업 액션) " 가압 발생
3. " (액션 전후엔) 가감없는 라이더의 몸무게가 압력임

* 원심력이 있는 상황은 좀 다름. 추를 줄에 달고 돌리는 것을 상상하고 데크와 라이더가 추라면 바깥쪽으로 무게가 몰릴 수록 원심력이 커짐 다시말하면 자세를 낮출 때 가압 발생. 하지만 이건 앉아 있는 "상태"에 대한 얘기로 위 123의 액션과는 다른 얘기

저울위에서 확 앉아보고 확 일어나면서 실험^^

결론♥ 다운 언웨이티드는 다운 액션 중 감압상태를 이용하여 엣지 전환을 하는 것이고 업웨이티드 턴들은 업 액션의 끝 즉 사실상 점프 상태에서 엣지 전환합니다.

제가 이해한 바를 적어봤는데 초보라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가르침 주세용^^

백만송이장미를

2013.03.12 10:57:57
*.184.130.178

와우~ 역시~ ㅋㅋㅋ

* 문단에서,,

자세를 낮출 때 가압이 발생한다 하셨는데요

각속도와 선속도 ,, 일리는 있지만

그 다운자세에서 무게중심이 구심점과 멀어지는 정도는 너무나도 미미합니다

그 상태에서도 다운은 오히려 감압이 작용할 겁니다

알리알리짱

2013.02.22 10:12:25
*.146.40.180

제가 멀안다고 가르침 입니까^^
다만  깨우친 것을 공유하자는 차원입니다.

제가 말하는 의도를 이해 하신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완전한멋쟁이

2013.02.23 22:48:42
*.70.31.55

다운 언웨이트....
동영상에서 보기에 엣징(프레스)을 줄 때
일어서기동작(다리를펴면서 프레스)이라고
하네요! 영상 찾다보면 나오네요

알리알리짱

2013.02.25 11:41:58
*.146.40.180

옙!

일반적으로 배우는 "업 다운"  "업 다운"  과는

완전히 반대의 개념 입니다. 즐건 하루 되세요^^

 

백만송이장미를

2013.03.10 12:29:33
*.184.130.178

추천
1
비추천
0

업, 다운은 프레스와 뗄레야 뗄 수 없는 관계입니다

업은 프레스를 가하는 과정이며

다운은 프레스를 감하는 과정입니다

 

업언웨이트턴에서는

업 후에 보드가 직진중이므로(엣지각도가 0에 가까운)

프레스가 없어지고 턴을(엣지체인지) 하게 됩니다

업 후에 엣지체인지를 하게되므로 시간이 많이 필요하구요

다운언웨이트턴에서는

다운으로 감압하면서 엣지체인지를 하게됩니다

다운과 동시에 엣지체인지를 하므로 엣지체인지에 필요한 시간이 적게 필요하지요

 

업언웨이트턴에서 엣지체인지를 위한 업 후에는

설면의 요철에 의해 발생하는 하중에 대처하기 어렵습니다

턴에서의 일반적인 프레셔컨트롤 외에 또다른 프레셔컨트롤이 필요하게되지요

엣지체인지를 해야하는 구간에 범프가 있으면 ,,,

 

그래서, 업언웨이트턴으로 어느정도 이상의 스피드에서는

업 동작도 완전히 무릎 고관절을 펴는 것보다는 어느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엣지체인지를 해야하는 경우도 있고

다운언웨이트턴의 하중을 버티는(프레스를 주는) 동안에도

무릎 고관절을 다 펴는 것보다 어느정도 남겨두는 것이

갑작스런 하중 변화에 대처하기 용이할 것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추천 수 조회 수
공지 일반 이용안내 [9] Rider 2005-09-13 571 15308
2697 장비 관련 슬로프를 통해 본 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 file [45] leeho730 2013-03-15 10 5568
2696 장비 튜닝 바인딩의 어쩌면 불편한 진실(?) [27] 레드미라지 2013-03-13 7 4524
2695 초보를 위한 강좌 왁싱의 이해 [9] 알리알리짱 2013-03-13 5 4039
2694 절약법 휴대폰 광각렌즈~ file [6] TrustMe 2013-03-12 1 3199
2693 장비 튜닝 엣지 녹안슬게 하는 방법 중 간단한 방법 중... [13] 알리알리짱 2013-03-08 10 4559
2692 장비 튜닝 보관왁싱을 해야하는 이유 file [7] Nieve5552 2013-03-08   4143
2691 스노우보드로 쩍벌남되기? 그냥 편하게 타... file [4] 콩라이더 2013-03-07   1940
2690 기술(테크닉) 트릭 연습방법 - 응용트릭 편(연계기) [2] 성게군~ 2013-03-07 3 3383
2689 기술(테크닉) 트릭연습 - 트릭마스터 노하우 [7] 성게군~ 2013-03-07 7 3699
2688 기술(테크닉) 트릭연습 - 연습순서 [1] 성게군~ 2013-03-07 6 5809
2687 기술(테크닉) 트릭연습-이미지 트레이닝 [1] 성게군~ 2013-03-07 8 3722
2686 기술(테크닉) 스노우보드 트릭(인트로) [1] 성게군~ 2013-03-07 6 4753
2685 기타 슬로프를 통해 본 국내보더들의 불편한 진실 [28] boarderboarder 2013-03-04 6 3220
2684 일반 Your choice! : 된밥? or 진밥!! [9] guycool 2013-02-27   1428
2683 일반 페달링에 관해... 카시라이딩에 관한거에요 [21] 파랭이최고다 2013-02-25 10 2991
2682 장비 튜닝 스크래퍼 블래이드 자작기 (허접 주의) file [8] 인도유랑 2013-02-21 1 1856
2681 기타 나만의 장비보관걸이 쉽게 만들기 file [29] 사부 2013-02-21 7 2872
2680 기타 라이딩 위주 바인딩 각도 평균값 file [11] 카빙낙엽 2013-02-20 3 9381
» 기술(테크닉) 다운 언웨이트 , 업 언웨이트 의 구별에 대하여 [22] 알리알리짱 2013-02-16 6 3132
2678 장비 관련 베이스의 마모에 관한 작은 글... (2) file [2] leeho730 2013-02-15 1 1573